|| 링네임 || 望月 成晃 [br] '''望月 マサアキ''' || || 본명 || 望月 成晃 || || 생년월일 || [[1970년]] [[1월 17일]]([age(1970-01-17)]세) || || 출신지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도쿄도]] [[고토구]] || || 신장 || 175cm || || 체중 || 85kg || || 링네임 || 魂のバカ親[* 영혼의 바보부모] [br] 魂の蹴撃王[* 영혼의 축격왕] [br] Kon No Kegeou [br] Mocchy [br] Soul Of The King Of The Kicker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슈터|슈터]] || || 주요 커리어 || [[GHC 내셔널 챔피언]] 1회 [br] [[GHC 태그팀 챔피언십|GHC 태그팀 챔피언]] 1회 [br] Zero1 인터컨티넨탈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Dragon Gate 오픈 더 드림 게이트 챔피언 3회 [br] Dragon Gate 오픈 더 트윈 게이트 챔피언 3회 [br] Dragon Gate 오픈 더 오와라이 게이트 챔피언 2회 [br] Dragon Gate 오픈 더 트라이앵글 챔피언 6회 [br] King of Gate 우승 (2006년) [br] FI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오사카 프로레슬링 태그팀 챔피언 1회 [br] 오사카 프로레슬링 오사카 태그 페스티벌 우승 (2010년) [br] 도쿄 구렌타이 도쿄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도쿄 구렌타이 도쿄 인터컨티넨탈 태그팀 챔피언 1회 [br] UWA 월드 트리오스 챔피언 2회 [br] 엘 누메로 우노 우승 (2001년) [br] WAR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br] WAR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2회 [br] WAR 월드 6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Michinoku Pro Wrestling 브리티시 컴온웰스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트위스터''' [br] '''트위스터 II''' [br] '''백 트위스터''' [br] 최강 하이킥 [br] '''진 최강 하이킥''' [br] '''삼각차기''' [br] 2각 걷어차기 [br] 일각차기 [br] 스트레이드 장저 || || 테마곡 || '''傷だらけの栄光''' [br] G.W.D [br] FINAL STAGE || [목차] == 개요 == [[일본]]의 [[프로레슬러]]. == 커리어 == 발차기 등 가라테 기술을 중심으로 경기를 펼친다.[* 몇몇 기술은 모치즈키 마사아키가 존경하는 [[다카다 노부히코]]에서 유래한다.] 키타오 도조에서 데뷔하면서 도복차림으로 경기를 가지며 피트 타젤로를 상대로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야스카오카 유지와의 경기에서 첫 승리를 거둔다. 타격을 무기로 WAR 링에서 활약하며 1995년에는 해외에서도 경기를 가지는 한편 일본을 방문한 유명한 서양레슬러들과도 경기를 가진 적이 있다. 히라이 노부카즈 & 키타오 미츠하루와 팀을 이뤄 [[랜스 스톰]] & 키타하라 코우키 & 아라야 노부타카를 꺾으며 WAR 월드 6인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 것을 시작으로 서서히 커리어를 만들기 시작한다. 주니어 전사로서 BattlARTS, [[신일본 프로레슬링]], 미치노쿠 프로를 포함한 여러단체에도 참전하고, 이윽고 WAR시대에 [[울티모 드래곤]]이 설립한 토류몬에서 일대 힐유닛 M2K를 이끈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도 경기를 가지다가 토류몬에서 [[드래곤 게이트]]로 체제가 바뀐 후에도 베테랑 강호로서 최전선에서 활약한다. ZERO1에서도 준레귤러로 출연하다가 해외일정차에 드래곤 게이트가 미국에서 벌어지면서 잠시 [[CZW]]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일본으로 돌아간 후로는 [[WRESTLE-1]], [[DDT 프로레슬링]]에도 잠깐 출연하다가 드래곤 게이트에서 Dia.HEARTS을 결성하지만 해산되고, 활동하면서 어느 소속에도 들어가지 않고 와타나베 효 & 요시오카 유키로부터는 유닛 결성을 타진받아 '모치즈키 도장'이라는 형태로 유닛이 아닌 젊은 육성의 프로레슬링 도장을 시작해 사범으로서 눈을 빛나게 한다. 2019년을 시작으로 [[프로레슬링 NOAH]]에서도 활약하면서 병행하고 다녔던 전일본 프로레슬링 출연이 조금씩 줄고, 드래곤 게이트에서 활동하는 한편 NOAH쪽과 병행하며 활동하고, 2020년에 [[마루후지 나오미치]]와 같이 태그팀 챔피언에도 오르고, 2021년에는 [[스기우라 타카시]]를 꺾고 GHC 내셔널 챔피언에도 등극한다. == 기타 == * 키타오 코지[* 스모 요코즈나 출신의 프로레슬러. 장신에 큰 덩치를 가져서 나름 기대받았고 텐류 겐이치로와 함께 레슬매니아 7에 출전한 적도 있었지만 거만한 성격 탓에 실력도 별로 늘지 않았고 인성도 글러먹은 탓에 결국 프로레슬링계에서 매장되었다. 현재는 고인.]의 제자이다. * 가라테 & 아마추어 레슬링을 배운 경험이 있다. * 고등학교 시절에 집방에 [[초슈 리키]]의 포스터가 장식되어 있었다. * 프로레슬러로 데뷔하기 전에는 호텔맨으로 근무했지만 아침이 너무 빠른 생활이 참기 힘들어 2~3개월 만에 그만두었다. * 그림 센스가 독특하며 드래곤 게이트 내에서는 종종 '화백'이라고 불리고 있다. * 입장시 직전에 입장한 [[야마토 히로시]]에 대항하기 위해 생가창을 하면서 입장한 적이 있다. * 철망 매치의 대리인이 될 때는 가라데의 몸통을 착용한 '가라테 로보'가 되어 등장한다. * 수많은 단체에 자유롭게 다니던 무렵에 투룡문에 레귤러 참전을 결정한 이유는 CIMA의 카리스마성으로 미래가 있는 단체라고 했지만, 당시 악역을 맡던 모치즈키 마사아키의 입에서는 "CIMA를 망치면 맛있는 생각을 맛볼 수 있다"고 말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M's alliance)]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4|{{{#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투혼상}}}]]'''}}} || || [[코지마 사토시]] [br] (2010) || → || '''모치즈키 마사아키''' [br] '''[[나가타 유지|{{{#000000 나가타 유지}}}]]''' [br] (2011) || → || 압둘라 코바야시 [br] (2012) ||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15년''' [br] 1월 11일 || 드래곤 게이트 [br] 더 게이트 오브 데스티니 || 오픈 더 드림 게이트 챔피언십 [br] ___[[타카기 신고]]___(C) vs '''모치즈키 마사아키''' ||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70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고토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