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선수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 20%, #FFF 80%, #DF0B10)" {{{#002664 '''모제스 브라운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NBA G 리그|[[파일:NBA G League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9em" [[NBA G 리그|{{{#ffffff '''올NBA G 리그 팀'''}}}]]}}} ||<-3>2020-21 || || [[NBA G 리그|[[파일:NBA G League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9em" [[리가 ACB|{{{#ffffff '''NBA G 리그 올디펜시브 팀'''}}}]]}}} ||<-3>2020-21 || ---- ||<-5>
'''{{{#fff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fff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등번호 6번}}}''' || || [[케빈 팡고스]][br](2021~2022) || → || '''{{{#000 모제스 브라운[br](2022)}}}''' || → || '''[[빌 러셀]]'''[br]('''[[영구 결번/스포츠|영구 결번]]''')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AC Moses Brown 22-23.png|width=100%]]}}} || ||<-2> {{{#fff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No. -'''}}} || ||<-2> '''{{{#ffffff {{{+2 모제스 시르프러마 브라운}}}[br]Moses Shirief-Lamar Brown}}}''' || ||<|2> '''출생''' ||[[1999년]] [[10월 13일]] ([age(1999-10-13)]세)|| ||[[뉴욕 주]] [[뉴욕 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 || '''신장''' ||218cm (7' 2") || || '''체중''' ||111kg (245 Ibs) || || '''윙스맨''' ||224cm (7' 4") || || '''포지션''' ||[[센터(농구)|센터]] || ||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2019년도|2019 NBA 드래프트 미지명]]''' || || '''소속팀''' ||[[포틀랜드 트레일 블레이저스]] (2019~2020)[br][[오클라호마시티 썬더]] (2020~2021)[br][[댈러스 매버릭스]] (2021~2022)[br][[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22)[br][[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2022~2023)[br]웨스트체스터 닉스 (2023)[br][[브루클린 네츠]] (2023)[br][[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2023~) || || '''등번호''' ||4번 - 포틀랜드[br]9번 - 오클라호마 / 댈러스 / 클리퍼스[br]6번 - 클리블랜드[br]0번 - 브루클린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osesBrown_, 크기=24)] | [[https://www.instagram.com/moses__t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제스 브라운은 [[센터(농구)|센터]] 포지션의 농구선수다. == 선수 경력 == === [[캘리포니아 대학교/로스앤젤레스 캠퍼스]] === 명문 UCLA에서 주전 센터로 활약하며 32경기 23.4분 9.7득점 8.3리바운드 0.3어시스트 1.9블록을 기록하며 [[NCAA 남자농구/Pac-12|Pac-12]] 올프레시맨 팀 수상, 그대로 2019 NBA 드래프트에 지원했다. 이 선택이 아쉽게 됐는데, 아직 공을 다루는 기술이 투박하기 때문에 대학에 조금 더 남아서 기술을 더 다듬었어야 했다. 결국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했고 [[휴스턴 로키츠]] 소속으로 서머리그 1경기를 소화했다. === [[포틀랜드 트레일 블레이저스]] === 9월, 블레이저스 트레이닝 캠프에 합류했다. 캠프 종료 후, 투웨이 계약으로 시즌에 합류했다. ==== 2019-20 시즌 ==== 대부분을 G 리그 텍사스 레전즈에서 보내며 블레이저스에선 9경기만 뛰었다. 시즌 후 다른 계약을 받지 못하며 결별했다. ===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지스브라운OKC.jpg|width=100%]]}}} || || {{{#002d62 '''영입 오피셜'''}}} || 12월 10일 오피셜이 떴다. 투웨이 계약으로 합류. ==== 2020-21 시즌 ==== 시즌 내내 별다른 기회를 잡지 못했고 오클라호마시티 블루 경기를 위해 G 리그 버블에서 있었는데 14경기 26.4분 18.5득점 13.9리바운드 0.6어시스트 1.9블록으로 우수한 활약을 펼쳤고 올NBA G 리그 퍼스트 팀과 올디펜시브 팀을 수상했다. 다시 1군 복귀 후 [[알 호포드]]가 탱킹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강제 휴식을 주면서 주전 자지를 꿰찼다. 17일 시카고 원정에서 20득점 16리바운드 5블록으로 첫 더블더블을 달성했다. 22일 휴스턴 원정에서 13득점 14리바운드로 더블더블을 달성하면서 승리했다. 25일 [[멤피스 그리즐리스]]전에서 19득점 12리바운드 2스틸 2블록을 기록했다. 28일 [[보스턴 셀틱스]]전에서 21득점 23리바운드로 골밑을 지배했다. 다음 날 비록 2시즌 비보장, 1시즌 팀 옵션이지만 정규 계약으로 전환됐다. 4월 1일 [[토론토 랩터스]]전에서 20득점 12리바운드로 약한 랩터스 골밑을 털어 먹었다. 4일 친정팀 포틀랜드 원정에서 10득점 14리바운드로 더블더블을 챙겼다. 9일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전에서 13득점 11리바운드를 기록했으나 27점 차 대패. 14일 유타 원정에서 12득점 15리바운드 2스틸을 기록했다. 다음 날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홈 경기에서 18득점 12리바운드 2스틸 2블록을 기록했으나 팀은 38점 차 대패. 22일 인디애나 원정에서 12득점 11리바운드 2스틸을 기록했다. 5월 12일 샌안토니오 원정에서 10득점 13리바운드로 오랫만에 더블더블을 달성했다. 마지막 경기, 고의 패배에 나선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를 상대로 홈에서 24득점 18리바운드 7블록을 기록하며 초토화시켰다. --그리고 이 날 승리로 팀은 2021 NBA 드래프트 6순위로 밀렸다.-- 43경기 21.4분 8.6득점 8.9리바운드 0.2어시스트 1.1블록으로 시즌을 마쳤다. 1차 스탯은 꾸준히 적립했으나 경기 내내 뭔가 아쉬운 플레이를 많이 보여줬다. === [[보스턴 셀틱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지스브라운BOS.jpg|width=100%]]}}} || || {{{#000 '''영입 오피셜'''}}} || 6월 19일 오피셜이 떴다. ||[[보스턴 셀틱스|BOS]] get: C [[알 호포드]], C [[모제스 브라운]], 2023 OKC 2라운드 지명권 [[오클라호마시티 선더|OKC]] get: G [[켐바 워커]], 2021 BOS 1라운드 지명권, 2025 BOS 2라운드 지명권|| 셀틱스에서 가비지 빅맨으로 뛸 예정이었지만 시즌 개막 전 로스터에 들어가지 못하고 방출되었다. === [[댈러스 매버릭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지스브라운DAL.jpg|width=100%]]}}} || || {{{#bbc4ca '''영입 오피셜'''}}} || ||[[댈러스 매버릭스|DAL]] get: C [[모제스 브라운]] [[보스턴 셀틱스|BOS]] get: G [[조시 리차드슨]] || 댈러스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리차드슨과 트레이드 되었다. 팀에선 [[타이슨 챈들러]] 같은 수비형 센터 역할을 맡길 것으로 보인다. 팀에서 그저 그런 활약을 보이다 [[스펜서 딘위디]], [[다비스 베르탄스]]의 자리를 위해 방출되었다.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캐벌리어스와 계약을 맺었다.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이비차 주바츠]]의 백업으로서 [[무사 디아바테]]와 경쟁했으나, 심각한 자유투 성공률에 더해 수비력과 팀플레이마저 디아바테에게 밀려 버렸다. 부상으로 잠시 빠졌던 주바츠가 돌아온 후에는 제대로 기회를 잡지 못했고, 시즌 도중 방출되었다. === 웨스트체스터 닉스 === 2023년 3월 8일, 투웨이 계약으로 [[뉴욕 닉스]]와 계약했으나 4일만에 방출된 직후 G리그의 웨스트체스터 닉스에서 뛰었다. === [[브루클린 네츠]] === 이후 10일 계약으로 [[브루클린 네츠]]에서 뛰었다.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 2022-23 시즌 종료 뒤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와 계약을 맺었다. [각주] [[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뉴욕 시 출신 인물]][[분류:1999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센터(농구)]][[분류: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은퇴, 이적]][[분류:오클라호마시티 썬더/은퇴, 이적]][[분류:댈러스 매버릭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은퇴, 이적]][[분류:브루클린 네츠/은퇴, 이적]][[분류: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현역]][[분류:UCLA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