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모에]]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모에화)]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hePanoramicAndUttermostWriter, 합의사항1=상업 작품 또는 공공기관에서 공식적으로 등록 및 인정한 작품만을 나열하는 것으)] [목차] == 개요 == [[모에화]]의 사례들을 나열하는 문서. 모에화의 끝은 인류가 멸망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한 일이니 '''상업 작품''' 또는 '''공공기관에서 공식적으로 등록 및 인정한 작품'''만을 나열한다. 또한 특정 대상을 모에화했다는 개념이 직관적으로 드러나는 경우를 수록하도록 한다. 단순히 모에한 캐릭터를 상업적으로 내세운 사례[* ex. [[모에땅]], [[모에파치]]]나 마스코트 캐릭터[* ex. [[세피로트(마스코트)|세피로트]]나 [[무냐]]를 [[나무위키]] 모에화라고 부르거나 [[성지영]]을 [[성남시]] 모에화라고 부르는 등.], 단순히 모티브만을 따 온 캐릭터[* ex. 단순히 [[고양이귀]]를 단 캐릭터를 고양이 모에화, 오카리나를 든 캐릭터를 오카리나 모에화라고 부르는 등] 등은 수록하지 않음에 주의. == 사물 == * [[라이크 라이프]]와 [[페어리 라이프]]: [[휴대폰]]을 포함한 온갖 다양한 사물들을 모에화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HOOK사의 [[에로게]]이다. * 擬人カノジョ(의인 카노죠). 여러 사물과 음식을 모에화시킨 방치형 모바일 게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jp.seec.sim.gijinkanojo2|#]] == [[음식]] == * [[빙그레 메이커]]: [[빙그레(기업)|빙그레]]의 자사 식품 모에화. * [[아키칸]]: 음료수 캔의 모에화를 소재로 삼은 [[라이트 노벨]] 및 애니메이션. * [[요리차원]]: 각종 음식을 모에화한 중국 게임. * [[테이스티 사가]]: 각종 음식을 모에화한 중국 게임. == [[자연]] == * [[달이 내린 산기슭]]: 지층 모에화 웹툰. 실제 고생물학 박사가 그린 [[치유계]] 작품이다. * [[보석의 나라]]: 보석을 모에화한 만화 및 애니메이션. 덤으로 달팽이도 모에화했다. [[신인류|다만 스토리가 진행됨에 따라 단순한 모에화라고 설명하기는 어려워졌다.]] * [[원소주기]]: [[수소]]부터 [[뢴트게늄]]에 이르기까지 원소들을 모에화한 책. [[http://adoru0083.egloos.com/4712109|#]] * [[코스믹 코믹스]]: [[태양계]]를 비롯하여 우주의 각종 별들을 모에화한 만화. === [[동물]] === * [[고키챠]]: [[바퀴벌레]]를 모에화한 만화. * [[기생여친 사나]]: [[기생충]][* 정확히는 가상의 기생생물인 '파라시스탄스'라고 한다.]을 모에화한 [[라이트 노벨]]. * [[나와 호랑이님]]: [[호랑이(나와 호랑이님)|호랑이]], [[까치(나와 호랑이님)|까치]], [[아야(나와 호랑이님)|여우]] 등 여러 전래동화 속 신수들이 모에화되어 히로인으로 나오는 [[한국 라이트 노벨]]. * [[당진시]]청 페이스북에 올라온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598442263523755&id=935089353192386|병충해 집중방제기간 만화.]] [[미국선녀벌레]]를 모에화했다. * [[스플래툰]]: [[오징어]]와 [[문어]]를 모에화한 종족인 [[잉클링]]과 [[옥타리안]]으로 구성된 게임. * 심해랑데뷰: [[바티노무스]]를 모에화 시킨 만화로 주인공 눈에만 바티노무스가 사람으로 보인다는 설정의 만화. * [[심해어의 안코씨]]: [[초롱아귀]]인 안코를 비롯한 다양한 물고기들을 모에화시킨 만화. * [[애니멀 아이즈]]: 주인공의 눈에 동물들이 사람으로 보인다는 설정의 웹툰.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실존하는 [[경주마]]들을 모에화한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이 무슨 대자연인가]]: 특이한 번식방법이나 습성을 가진 동물들의 생태를 의인화해서 묘사하는 웹툰. * [[위 아 애니멀스]]: 다양한 야생동물을 의인화시켜 동물의 생태를 묘사하는 웹툰. * [[침략! 이카무스메|침략! 오징어소녀]]: [[오징어]]를 모에화한 캐릭터가 주인공인 만화 및 애니메이션. * [[케모노 프렌즈]]: 각종 동물을 모에화한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 * [[티라노 그녀]]: [[티라노사우루스]] 및 각종 공룡들을 모에화시킨 웹코믹. * [[모여라! 시튼 학원]]: 수컷 동물들을 제외하고 암컷 동물들을 모에화 시킨 만화이자 애니메이션[* 작품 설정상 수컷 동물은 동물 얼굴에 옷을 입는 형태이다.] * [[티라와 케라]]: 티라노사우루스와 트리케라톱스를 비롯한 여러 공룡들을 모에화한 개그 백합 만화. * [[내연동물]] : 강아지, 고양이, 카멜레온, 여우, 바퀴벌래(...)등 여러 동물들을 여성•남성으로 모에화한다. 짤툰 채널의 영상들. == [[신체]] == * [[미도리의 나날]]: 오른손을 모에화시킨 만화 및 애니메이션. * [[일하는 세포]]: 우리 몸 속의 세포 대부분을 의인화시킨 만화 및 애니메이션. * [[내 사타구니는 미소녀였던 건가]]: 남성의 성기를 모에화시킨 만화. == [[사회]] == === 회사 === * [[초차원게임 넵튠]]: 게임업계 전체를 모에화시킨 게임. * [[꽃의 안드로이드 학원]]: [[삼성전자]], [[LG전자]], [[모토로라]], [[소니]], [[HTC]] 등 휴대폰 제조회사들을 모에화한 만화. === 국가 === * 모에로 알아보는 전세계 각나라 사전: 일본에서 출간한 책. 세계 각국을 미소녀로 모에화한 내용으로 논란이 된 책이다.[[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001839387&code=41191111&cp=nv1|관련 기사]] * [[https://en.wikipedia.org/wiki/Finnish_Maiden|수오미네이토]](Suomi-neito, Maiden of Finland): [[핀란드]]를 상징하는 여신적인 존재. 본래는 모에화로서의 캐릭터는 아니고 국가의 상징적 존재이지만, '''주일 핀란드 대사관'''에서 공식적으로 수오미네이토 모에화 그림 공모전을 열기도 했다. [[http://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60561|관련 기사]] === 지방자치단체 === * [[http://ja.wikipedia.org/wiki/%E3%82%82%E3%81%88%E3%81%A1%E3%82%8A!|모에지리!]]: [[일본]]의 47개 [[도도부현]]을 모에화한 작품이다. * [[지룽소녀]]: [[대만]] [[지룽시]]를 상징하는 요소들을 모에화한 공식 캐릭터들. * [[타이베이시#s-13.1|얼싼링]]: [[대만]] [[타이베이시]]의 공식 모에화 캐릭터이다. == 소프트웨어 == * [[유니티짱]]: 게임엔진 [[유니티(게임 엔진)|유니티]]의 공식 모에화 캐릭터.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51988|관련 기사]],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54351|관련 기사2]], [[http://unity-chan.com|공식 사이트]] * [[FL-chan]]: [[DAW]] 프로그램인 [[FL Studio]]의 공식 모에화 캐릭터. * [[마도베 나나미]]: [[Windows 7]]의 일본 공식 모에화 홍보성 캐릭터 * [[윈도우8 자매]]인 마도베 유우, 마도베 아이: [[Windows 8]]/[[Windows 8.1|8.1]]의 일본 공식 모에화 홍보성 캐릭터 * [[마도베 토코]]: [[Windows 10]]의 일본 공식 모에화 홍보성 캐릭터 * [[아이자와 이노리]]: [[Internet Explorer]]의 싱가포르 공식 모에화 홍보성 캐릭터 * [[아이자와 히카루]]: [[Microsoft Silverlight]]의 대만 공식 모에화 홍보성 캐릭터 * [[클라우디아 마도베]]: [[Microsoft Azure]]의 일본 공식 모에화 홍보성 캐릭터[* 여담으로 Windows 7의 모에화 캐릭터인 마도베 나나미의 사촌이다.] == 기계 / 교통수단 == *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 대한민국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위성#s-2.1|우리별 1호]]를 모에화한 [[한국 애니메이션]]. * [[마이테츠]]: 철도 차량을 테마로 한 모에화 [[에로게]]. * [[철도무스메]] * [[가오슝 첩운 소녀]] * [[인절미(웹툰)]]: [[베가 레이서]]를 모에화한 작품. * [[휴대퐁 조이]]: 휴대폰을 SD풍으로 모에화한 만화. === 가상의 기계들 === * [[토에이 로봇 걸즈]]: [[대공마룡 가이킹]], [[마그네로보 가킨]], [[초인전대 바라타크]]의 주역 메카를 모에화한 공식 작품. * [[코즈믹 걸 시리즈]]: [[코즈믹 브레이크]]의 로봇 캐릭터들의 모에화 시리즈. * [[MS걸]]: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에 등장하는 모빌슈츠들을 모에화한 일러스트 시리즈. 피규어도 발매되었다. * [[프레임 암즈 걸]]: 프레임 암즈들을 미소녀로 의인화한 스핀오프 프라모델 시리즈. * 트랜스포머 미소녀 시리즈: 코토부키야에서 발표한 트랜스포머를 미소녀로 의인화한 피규어 시리즈. == 밀리터리 == === 전차 / 항공기 === * [[메카무스메]]: 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전차와 전투기를 모티브로 한 피규어 시리즈. * [[강철의 왈츠]]: 중국의 What's Up Game Labs에서 제작한 전차, 항공기 모에화 게임. * [[비행고등학교]]: 현용 전투기 및 폭격기, 실험기 등을 모에화한 만화. * [[에이스 버진]]: 중국의 전투기 모에화 게임. === 총기 === * [[우폿테!!]]: 총기 모에화 만화 및 애니메이션. * [[소녀전선]]: 총기 모에화 모바일 게임. === 도검 === * [[도검난무]] * [[신켄!!]] * [[요도 아라시와 후부키]] * [[무기소녀]] * [[천화백검]] === 전투함 === * [[함대 컬렉션]] * [[전함소녀]] * [[강철소녀]] * [[소녀함대]] * [[벽람항로]] * [[어비스 호라이즌]] *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 == 가상의 캐릭터 == === 삼국지연의 === * [[여포키우기]] * [[연희무쌍]] * [[일기당천(만화)]] * [[천하무쌍 여포양]] * [[삼학연의]] * [[동백전 ~마왕영애로 시작하는 삼국지~]] === 서유기 === * [[번뇌☆서유기]] * [[최유기]] === 크툴루 신화 === * [[엔젤 포이즌]] * [[기어와라! 냐루코 양]] === 기타 매체 === * [[동방 프로젝트]]: 본격 요괴 모에화 탄막 슈팅 게임. 동양의 여러 [[요괴]]와 [[상상의 동물]], [[전설]] 속 인물, [[신]] 등 다양한 매체의 존재를 모에화하였으며 일부는 [[서양]]의 전승 혹은 실존 인물에서 모티브를 따 오기도 했다. * [[오토기노 우타 ~CHRONICLE~]]: 특히 Momotroop와 Bremüsik이 모에화 성향이 강하다. * [[울트라 괴수 의인화 계획]]: [[츠부라야 프로덕션]]에서 공식으로 [[울트라 시리즈]]의 유명한 괴수, [[초수(울트라 시리즈)|초수]], 우주인들의 모에화 캐릭터를 만들어서 상품화하는 프로젝트 * [[앵그리레인저]]: [[앵그리 버드]]를 의인화시킨 만화. * [[디즈니 트위스티드 원더랜드]]: [[디즈니 빌런]]들을 의인화 또는 모에화시켰다. 보통 모에화 하면 대부분의 작품에서는 모에화 대상이 남성일 경우 여체화되거나 남자인 채로 미소년으로 모에화되지만 트위스테는 모에화 중에서는 [[남성화|여성이 남캐로 모에화]]되는 요소가 들어가는 몇 안 되는 작품이다. * [[SCP: Doki Doki Anomaly]]: [[SCP]]를 모에화시켜서 공략하는 [[미연시]]이다. ==== [[몬무스]][* 설화나 게임 등에 나오는 몬스터들을 미소녀로 모에화하는 장르를 통칭하는 말] ==== * [[몬스터 걸 백과사전]]: 판타지 속 괴수나 일본 요괴, 심지어 크툴루 신화의 신들까지 모두 모에화한 백과사전. * [[몬스☆패닉]] * [[한계돌파 모에로 크로니클]], [[한계돌파 모에로 크리스탈]] * [[몬스터 아가씨가 있는 일상]] == 실존인물 == *[[뉴턴과 사과나무]]: 과학자들을 모에화한 게임이다. * [[마리 & 갈리]]: 과학자들을 모에화한 교육 코미디 애니메이션이다. * [[모애모애 조선유학]]: [[송시열]]을 모에화한 것으로 논란을 빚은 [[라이트 노벨]]. * [[문호 스트레이독스]]: 작가들을 모에화한 이능력 배틀 액션 활극 만화, 애니메이션, 소설, 연극이다. 원작은 만화다. * [[문호와 알케미스트]]: 작가들을 모에화한 모험 판타지 웹게임이다. * [[미스 파브르의 벌레의 황무지]]: [[장 앙리 파브르]]의 모에화 라이트 노벨. * [[스트라이크 위치스]]: 조종사들 * [[영웅전희]]: 전설 속 영웅들 * [[클래시컬로이드]]: 고전음악가들 * [[Fate 시리즈]]: [[Fate/stay night|초대작]]에서부터 [[아서 왕]]을 [[알트리아 펜드래곤|모에화]]한 것으로 유명한 시리즈. 그 외에도 많은 역사적/설화 속 인물들을 모에화했다. * [[리인카네이션의 꽃잎]]: 역사적 인물&범죄자들이 환생했다는 설정으로 만들어진 만화. == 기타 == * [[그다지 모에하지 않은 여자아이]]: 일본의 고베 신문사에서 낸 채용 광고의 문제에서 유래한 캐릭터이나 실제로 이를 모에하게 만들어 소설이 출간되었다. * [[에볼라쨩]] & [[코로나쨩]]: [[에볼라 바이러스]]와 [[코로나 바이러스]]도 모에선을 맞았다. * [[시간표 소년]]: 국어, 수학, 사회, 과학이라는 4가지 [[과목]]을 '''미소년'''으로 모에화한 작품. 한국에서는 [[서울문화사]]에서 한국의 교육과정에 맞게 한국 배경으로 로컬라이징해서 출판했다. * [[주일은 쉽니다]]: 요일들을 의인화시킨 만화. * [[takt op.]] : 유명한 음악가가 제작한 교향곡을 모티브로 여체화시킨 것뿐만 아니라 아예 '''[[무지카트]]라는 [[히어로]]'''로 만들었으며 [[takt op.Destiny|프리퀄 애니메이션]](2047년)과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게임]](2067년)으로 전개되는 미디어 믹스 작품이다. * --[[아마테라스]]-- : 근대화 이전까진 남신으로 묘사되었으며 근대화 이후 여신으로 성별이 바뀌었다. 하지만 근대화 이전에도 아마테라스를 여신으로 묘사한 서적이 있어 애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