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모로코의 대외관계)] [Include(틀:모리타니의 대외관계)]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100%]]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width=100%]] || ||<#c1272d> [[모로코|{{{#fff '''모로코'''}}}]] ||<#00A95C> [[모리타니|{{{#fff '''모리타니'''}}}]] || [목차] == 개요 == [[모로코]]와 [[모리타니]]의 관계. 모로코와 모리타니는 언어, 종교, 문화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서사하라]]를 두고 영토갈등을 벌인 적이 있다. 오늘날 모리타니의 국명은 고대 로마 시대 모로코 일대의 지명 [[마우레타니아]](Mauretania)에서 빌려온 것이다. == 역사적 관계 == === 19세기 이전 === 모로코 지역이 [[우마이야 왕조]]의 정복으로 아랍화, 이슬람화된 뒤, 모리타니 지역은 아랍의 영향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고 [[아랍어]]도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사하라 사막]]을 통해 교류가 활발했다. 모리타니 남부 지역에서 발흥한 [[무라비트 왕조]]는 북진하여 모로코 일대를 병합한 뒤 [[이베리아 반도]] 일대까지 장악하였다. 무라비트 왕조는 남쪽으로는 [[가나 제국]]을 격파하고 모리타니 남부의 [[월로프족]], [[세레르족]], [[소닝케족]] 등을 몰아내고 북쪽으로는 모로코와 이베리아 반도의 아랍인들을 합병하면서 모리타니 지역에도 아랍-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 === 19세기 ===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영국]], [[프랑스]] 등의 유럽 열강들이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세웠다. 프랑스는 모리타니 지역을 차례차례 식민지배하면서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일부로 모리타니 지역을 식민지배했다. 모로코를 두고 [[스페인]]과 프랑스는 영토갈등을 벌이다가 결국 모로코 지역은 북부와 남부가 [[스페인령 모로코]], 중부의 대부분 지역은 [[프랑스령 모로코]]의 일부로 식민지배를 받았다. 또한, 서사하라는 [[스페인령 사하라]]로 불리게 되었다. === 20세기 ===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프랑스령 식민지에서 독립 열기가 높아졌다. 스페인령 사하라에서도 독립열기가 생겼고 이후에 모리타니와 모로코는 프랑스, 스페인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스페인령 사하라도 70년대까지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다가 [[스페인군]]이 철수했다. 1975년 11월 6일에 350,000명의 모로코인들이 [[녹색행군]]을 진행했다.[[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11105500073|#]] 스페인과 프랑스의 지배에서 각각 벗어난 뒤에 양국은 서사하라를 두고 영토분쟁을 벌였다. 서사하라는 모로코에 합병되고 서사하라의 독립군은 모로코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저항했지만, 알제리로 피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서사하라의 [[폴리사리오 전선]]에 지속적인 테러를 당한 모리타니는 1979년 서사하라의 영유권을 포기했다. 1999년 10월 28일에 모리타니는 모하메드 코우나 총리를 모로코로 파견해 이스라엘과의 수교결정을 설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558578?sid=104|#]] === 21세기 === 양국은 [[프랑코포니]], [[이슬람 협력기구]], [[아프리카 연합]], [[아랍 연맹]], [[아랍 마그레브 연합]]의 회원국들이다. 모리타니와 모로코는 서사하라를 두고 영토갈등을 벌인 전적이 있다 보니 모리타니측은 알제리와 협력하고 있다. 다만, 모리타니도 모로코와는 경제교류를 하고 있다. 2007년 2월 15일에 모리타니 항공기 납치범이 모로코인이었다고 모리타니측이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0210282?sid=104|#]] 2012년초에 양국에서 이슬람의 순진함이란 영화와 관련해 반미 시위가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2267549?sid=104|#]] 2018년 7월 3일에 누악쇼트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연합 정상회의에서 나세르 부리타 모로코 외무장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아프리카 지도자들이 이주민 정책을 조율할 기구를 세우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188698?sid=104|#]] 2020년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면서 양국에서 진행할려던 경기가 취소됐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3&aid=0000097481|#]] == 문화 교류, 교통 교류 == 문화적으로 양국은 언어, 문화, 종교에서 공통점이 있다. 모로코와 모리타니는 [[아랍어]]가 공용어이지만, [[아랍어 방언]]이 널리 쓰이고 있다. 양국은 아랍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이슬람교]]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국교이다. 프랑스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어서 [[프랑스어]]가 아랍어와 함께 널리 쓰이고 있다. [[다카르 랠리]]는 모로코와 모리타니, 서사하라를 연결하고 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20&aid=0000448035|#]] 누악쇼트의 모리타니 국제공항과 모로코의 무함마드 5세 국제공항이 연결돼 있다. == 관련 문서 == * [[모로코/외교]] * [[모리타니/외교]] * [[서사하라]] * [[프랑코포니]]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아랍 연맹]] * [[아랍 마그레브 연합]] * [[아랍어]] / [[아랍인]] / [[이슬람교]] / [[순니파]]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북아프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서아프리카 국가]] [[분류:모로코-모리타니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