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여자 대표팀, rd1=모로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other2=풋살 대표팀, rd2=모로코 풋살 국가대표팀)] [include(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 [include(틀:모로코 관련 문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150 1%, transparent 1%, transparent 99%, #009150 99%), linear-gradient(to bottom, #D00 15%, #FFF 15%, #FFF 16%, #009150 16%, #009150 24%, #FFF 24%, #FFF 25%, #D00 25%)" [[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200]]}}} || ||<-2>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ffffff '''{{{+2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 || ||<-2> {{{#ffffff '''منتخب المغرب لكرة القدم'''}}} || || {{{-1 [[FIFA 코드|{{{#ffffff '''FIFA 코드''' }}}]] }}} ||'''MAR'''|| || {{{#ffffff '''축구 협회''' }}}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 (FRMF) || || {{{#ffffff '''대륙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 {{{#ffffff '''홈 경기장''' }}} ||[[스타드 드 마라케시]] [br] {{{-1 (Stade de Marrakech / 45,240석) }}} || || {{{#ffffff '''별명'''}}} ||أُسُودالأطلس (아틀라스의 사자) || || {{{#ffffff '''감독'''}}} ||[include(틀:국기,국명=모로코,출력= )] [[왈리드 레그라귀]] {{{-2 (Walid Regragui)}}} || ||<|3> {{{#ffffff '''주장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5em" {{{#ffffff '''C'''}}}}}} [[로맹 사이스]] {{{-2 (Romain Saïss)}}}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5em" {{{#ffffff '''VC'''}}}}}} [[하킴 지예시]] {{{-2 (Hakim Ziyech)}}}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0.5em" {{{#ffffff '''3C'''}}}}}} [[소피앙 암라바트]] {{{-2 (Sofyan Amrabat)}}} || || {{{#ffffff '''라이벌''' }}} ||[include(틀:국기,국명=알제리,출력= )]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알제리]] || || [[FIFA 랭킹|{{{#ffffff '''FIFA 랭킹'''}}}]] ||'''13위''' (2023년 10월 26일 기준 / [[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MAR|#]]) || || [[Elo 레이팅|{{{#ffffff '''Elo 랭킹'''}}}]] ||'''20위''' (2023년 7월 11일 기준[* Elo 레이팅스는 상시 나오는 것이므로, 가장 최근 A매치와 그 직전 A매치 사이의 순위변동을 기입함.] / [[https://www.eloratings.net/|#]]) || || {{{#ffffff '''공식 웹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equipedumaro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ffffff ''' A매치 최다 출전 '''}}}}}} ||[[누르딘 나이베]] {{{-2 (Noureddine Naybet)}}} [br] - '''115경기''' / 4골 || || {{{-2 {{{#ffffff ''' A매치 최다 득점 ''' }}}}}} ||[[아흐메드 파라스]] {{{-2 (Ahmed Faras)}}} [br] - 94경기 / '''36골''' || || {{{-2 {{{#ffffff ''' 월드컵 최다 득점 ''' }}}}}} ||[[유세프 엔네시리]] {{{-2 (Youssef En-Nesyri)}}}[br]- 3골 {{{-1 (2018, 2022)}}} || || {{{-2 {{{#ffffff ''' 첫 국제경기 출전 ''' }}}}}} ||[include(틀:국기,국명=모로코,출력= )] 모로코 vs [include(틀:국기,국명=이라크 왕국,출력=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3:3 '''{{{#000000,#808080 무}}}'''[br]{{{-1 ([[레바논]] [[베이루트]] / [[1957년]] [[10월 19일]])}}} || || {{{-2 {{{#ffffff ''' 최다 점수차 승리 ''' }}}}}} ||[include(틀:국기,국명=모로코,출력= )] 모로코 vs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1938-1973).svg.png|width=100%]]}}} 사우디아라비아]] 13:1 '''{{{#0000ff 승}}}'''[br]{{{-1 ([[모로코]] [[카사블랑카]] / [[1961년]] [[9월 6일]])}}} || || {{{-2 {{{#ffffff ''' 최다 점수차 패배 ''' }}}}}} ||[include(틀:국기,국명=모로코,출력= )] 모로코 vs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width=100%]]}}} 헝가리]] 0:6 '''{{{#ff0000 패}}}'''[br]{{{-1 ([[일본]] [[도쿄]] / [[1964년]] [[10월 11일]])}}} || }}}}}}}}}}}}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fff '''세계대회'''}}} || || {{{-2 [[FIFA 월드컵|{{{#ffffff ''' 월드컵 ''' }}}]]}}} ||'''[진출]''' 6회 [br]'''[최고]''' 4위 {{{-1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 || {{{-2 [[올림픽 축구|{{{#ffffff ''' 올림픽 ''' }}}]]}}} ||'''[진출]''' 7회[br]'''[최고]''' 8위/8강 {{{-1 ([[1972 뮌헨 올림픽|1972]])}}} || ||<-2> {{{#ffffff '''대륙대회'''}}} || ||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ffffff ''' 네이션스컵 ''' }}}]]}}} ||'''[진출]''' 18회 [br]'''[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1 (1976)}}} || || {{{-2 [[FIFA 아랍컵|{{{#ffffff ''' 아랍컵 ''' }}}]]}}} ||'''[진출]''' 3회 [br]'''[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1 (2012)}}} || || {{{-2 [[지중해 게임|{{{#ffffff ''' 지중해 게임 ''' }}}]]}}} ||'''[진출]''' 12회 [br]'''[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1 (1983, 2013)}}} || || {{{-2 [[팬아랍 게임|{{{#ffffff ''' 팬아랍 게임 ''' }}}]]}}} ||'''[진출]''' 4회 [br]'''[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1 (1961, 1976)}}} || ||<-2> {{{#ffffff '''기타대회'''}}} || || {{{-2 [[프랑코포니 게임|{{{#ffffff ''' 프랑코포니 게임 ''' }}}]]}}} ||'''[진출]''' 6회 [br]'''[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1 (2001, 2017)}}} || || {{{-2 [[LG컵|{{{#ffffff ''' LG컵 ''' }}}]]}}} ||'''[진출]''' 3회 [br]'''[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width=20]]{{{-1 (1999)}}} || || {{{-2 [[네루컵|{{{#ffffff ''' 네루컵 ''' }}}]]}}} ||'''[진출]''' 3회 [br]'''[최고]'''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width=20]]{{{-1 (1985)}}} || || {{{-2 [[쿠네이트라컵|{{{#ffffff ''' 쿠네이트라컵 ''' }}}]]}}} ||'''[진출]''' 1회 [br]'''[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1 (1974)}}} || }}}}}}}}}}}} || ---- ||
{{{#ffffff '''유니폼 컬러'''}}} || {{{#ffffff '''홈'''}}} || {{{#ffffff '''어웨이'''}}} || || {{{#c8ab37 '''상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150 1%, transparent 1%, transparent 99%, #009150 99%), linear-gradient(to bottom, #D00 15%, #FFF 15%, #FFF 16%, #009150 16%, #009150 24%, #FFF 24%, #FFF 25%, #D00 25%)" [[푸마(브랜드)|[[파일:Puma White Logo.png|align=center&width=15]]]][[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12]]]][br]'''[[아슈라프 하키미|{{{+1 {{{#ffffff 2}}}}}}]]'''[br][br]}}}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0 0.5%, #009874 0.5%, #009874 1.5%, #FFF 1.5%, #FFF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FFF 90%, #FFF 98.5%, #009874 98.5%, #009874 99.5%, #D00 99.5%), linear-gradient(to bottom, #D00 1%, #009874 1%, #009874 2%, transparent 2%), linear-gradient(to right, #FFF 45%, #CFCAC6 45%, #CFCAC6 55%, #FFF 55%)" [[푸마(브랜드)|[[파일:Puma Black logo.png|align=center&width=15]]]][[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12]]]][br]'''[[소피앙 암라바트|{{{+1 {{{#dd0000 4}}}}}}]]'''[br][br]}}} || || {{{#c8ab37 '''하의'''}}} || '''[[아슈라프 하키미|{{{#ffffff ,,2,,}}}]]'''|| '''[[소피앙 암라바트|{{{#dd0000 ,,4,,}}}]]'''|| || {{{#c8ab37 '''양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0000 15%, #FFFFFF 15%, #FFFFFF 17%, #dd0000 17%, #dd0000 19%, #FFFFFF 19%, #FFFFFF 21%, #dd0000 21%, #dd0000 23%, #FFFFFF 23%, #FFFFFF 25%, #dd0000 25%, #dd00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15%, #dd0000 15%, #dd0000 17%, #FFFFFF 17%, #FFFFFF 19%, #dd0000 19%, #dd0000 21%, #FFFFFF 21%, #FFFFFF 23%, #dd0000 23%, #dd0000 25%, #FFFFFF 25%, #FFFFFF)" }}}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로코]]의 [[축구]] [[국가대표|국가대표팀]]. 아틀라스의 사자들(Lions de l'Atla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 역사 == 월드컵에는 아프리카 예선에서 우승하여 1970년 [[멕시코]] 월드컵 16개국에 처음 진출해서 16강 조별리그에서 서독에게 2:1로 패배하였으나 첫골, 동유럽의 다크호스 불가리아와 1:1 무승부 첫 승점을 기록하며 70월드컵 14위를 기록하였다. 이후 같은 동네에서 열린 1986년 [[월드컵]] 24강 본선에서 잉글랜드, 폴란드, 포르투갈을 상대로 1승 2무를 거두면서 조 1위로 16강에 올라가면서 아프리카 역사상 첫 월드컵 2라운드 진출국가가 되었다. 2라운드에서 준우승을 거둔 서독에 아쉬운 0-1패로 탈락했다. 아프리카 사상 첫 16강 진출이자 북아프리카 역사상 유일한 16강 진출 기록이었다가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알제리가 32강 조별리그에서 1승 1무 1패를 기록해[* 참고로 이 1승은 대한민국과의 그 경기이다.] 2위로 16강에 오르면서 북아프리카 유일 기록은 깨졌다. 그리고 알제리도 서독의 후예인 독일과 1-2로 선전해 아쉽게 탈락했다.[* 다만 알제리는 1982년 월드컵 24강 조별리그 2차전에서 서독에게 2:1 승리를 거둔 적이 있다. 하지만 2승 1패라는 좋은 성적을 냈음에도 오스트리아와 서독간의 농간에 골득실에서 밀려 2승 1패 조 3위 월드컵 13위로 '''12강'''(당시 12강이었다.)진출 실패했다. 자세한 것은 [[히혼의 수치]] 참조] 덤으로 [[아랍연맹]] 국가 사상 첫 월드컵 16강[* 아랍연맹 가입국으로 이후에 1994년 사우디아라비아가 16강, 2014년 알제리가 16강에 올랐다.]이자 2022년 4강에 진출하여 아랍연맹 가입국 사상 첫 월드컵 4강 기록까지 가지게 되었다. 3번째로 진출한 1994월드컵 24강 본선에선 3전전패로 조최하위로 23등으로 탈락했다. 4년뒤 [[누르딘 나이베]]와 [[무스타파 하지]]을 앞세워 4번째로 진출한 1998 프랑스 월드컵 32강 본선에서는 노르웨이에 비기고 브라질에 졌다가 마지막 3차전에서 [[스코틀랜드]]를 3:0으로 이기며 1승 1무 1패 대회 18위로 아쉽게 16강에 탈락했는데 [[노르웨이]]가 행운의 패널티킥으로 [[브라질]]을 이기는 통에 극적으로 1승 2무로 16강에 조 2위(1위는 브라질로 2승 1패)로 올라갔기 때문. 모로코에선 이때 모로코가 16강에 올라갔을 것이라고 이를 갈았었다. 그리고 그 뒤로 20년간 월드컵에 나가지 못했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지역예선에서 최종전에서 비기기만 해도 본선행이 확정되는 상황이었으나 배수의 진을 치고 나온 세네갈에 0-1로 졌고, 결국 세네갈이 최종전에서 극적으로 월드컵 본선행을 따내 [[세네갈 쇼크|대회 최대의 이변]]을 일으켰다. 2006 독일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튀니지와의 경쟁 끝에 최종전 단두대매치에서 2-2 무승부에 그치며 승점 1점차로 고배를 마셨다. 2010 남아공 월드컵 예선에서는 최종예선에서 조 최하위로 밀리며 탈락했다.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도 2차예선에서 [[코트디부아르]]에게 밀려 탈락했다. 그러나 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예선에서는 최종전이었던 코트디부아르 원정경기를 0-2로 승리하는 기염을 토하며 C조 1위로 20년만의 월드컵 복귀를 확정지었다. 그렇게 복귀한 월드컵인데, 만난 팀이 스페인, 포르투갈, 이란이라는 어려운 조에 걸려버리는 불운을 겪는다. 1차전 이란과의 경기 막판 자책골을 내주며 패배하고 2차전 포르투갈에게도 호날두에게 내준 결승골을 극복하지 못하며 2연패로 탈락 확정이 된다. 마지막 3차전 스페인과의 경기에 절치부심하며 2-1로 경기 막판까지 앞서나가며 스페인을 떨어트릴 뻔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심 스페인한테 코너킥 왼쪽에서 차라고 했으나 오른쪽으로 차고 득점.jpg|width=100%]]}}}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32강 본선 조별리그 포르투갈과 스페인 경기에서 포르투갈[* 이 당시 주심은 대한민국과 독일전의 심판을 담당했던 [[마크 가이거]] 주심이였다. 암바라트는 가이거 주심이 경기가 끝난 후 호날두에게 유니폼을 요구했다고 한다.]과 스페인이 핸들링 반칙을 범했어도 유리한 판정을 내려 큰 논란이 되었다.[* 포르투갈전에서는 페페가 분명히 핸드볼을 범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심은 그냥 넘어갔다. 이에 당시 모로코의 감독이였던 르나르 감독은 가이거 주심을 찾아가 항의를 했으나 가이거 주심은 이를 무시했다. 스페인전에서도 피케가 핸드볼을 범했어도 주심은 모른 척 하고 넘겨버렸고, 스페인이 VAR를 요구하자 바로 VAR을 시행해줬는데 노골적으로 축구 강팀 특히 유럽팀에게만 유리하게 판정을 내렸다.] 모로코가 스페인을 2:1로 앞서가던 중에 스페인의 코너킥 상황에 [[http://cafe.daum.net/ASMONACOFC/gAVU/959337?q=%EB%AA%A8%EB%A1%9C%EC%BD%94|주심은 '''왼쪽'''으로 차라고 지시 했으나 스페인이 무단으로 '''오른쪽'''코너에서 패스하고 차서]] 2:2 동점골을 넣자 주심이[* VAR 판독과 오프사이드 분석 결과] 골로 인정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발생했고 모로코의 [[노르딘 암라바트]]는 오죽했으면 '''"VAR은 완전 쓰레기야!"'''라고 크게 화를 낼 정도로 스페인은 유리한 판정을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s-8]] 참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zB5PBy5hXo)]}}} || || '''오심에 분노한 모로코 팬들과 선수들, 그리고 암라바트의 일침.'''[* 영상에서는 본선 조별리그인데 조별예선으로 잘못 적혀 있다.] || 스페인이라는 이웃 라이벌들과의 경기였기에 더더욱 감정적이었던 경기였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모로코 축구의 최전성기이다. 조별리그에서 크로아티아와 벨기에, 그리고 최약체 캐나다를 만났다. 크로아티아와는 무승부를, 피파랭킹 2위 벨기에를 2:0으로 격파하였고, 캐나다는 2:1로 격파하였다. 16강에서 4년만에 다시 만난 스페인을 완벽한 무실점으로 틀어막은 끝에 승부차기까지 가서 기어이 무너뜨리며[* 이 때 스페인은 3명의 키커 모두가 골을 넣는데 실패했다.] 모로코 축구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8강에 진출하였다. 이후로도 돌풍을 이어가, 8강전에서 포르투갈까지 1:0으로 꺾고 아프리카 국가 및 아랍 국가 사상 최초로 '''월드컵 4강'''에 올랐다. [[지브롤터 해협]]을 마주보고 있는 이웃인 이베리아 반도의 두나라를 일거에 무너뜨린 셈. 더불어 모로코는 준결승에 오르기 전까지 캐나다전 자책골을 제외하고 '''한 골도 내 주지 않았다.'''[* 1990년의 이탈리아와 비슷했다. 당시 이탈리아는 단단한 수비진을 바탕으로 준결승전에 오르기까지 '''1골도 허용하지 않았고,''' 4강 아르헨티나전에서야 1골을 먹히고 승부차기에서 졌다.] 하지만 준결승에서는 프랑스의 [[테오 에르난데스]]와 [[랑달 콜로 무아니]]에게 한 골씩 헌납하면서 0:2로 졌고, [[크로아티아]]와의 3위 결정전에서도 1:2로 져서 4위를 기록했다. 전체적인 결과로 보면 1994년의 불가리아, 2002년의 대한민국과 비슷한 셈이다.[* 세 팀 다 강팀을 누르고 대회 4위라는 놀라운 업적으로 대회를 마쳤다. 다만 불가리아와 대한민국은 첫 승리를 거두기 전까지 '''한 번도 이기지 못한''' 반면에 모로코는 1986년에 조 1위로 16강을 가는 등 1998년 대회까지 4번의 출전에서 2승을 챙긴 바가 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선 1976 대회를 우승한 게 유일한 기록이며 2013 대회에서 3무 무재배로 일찌감치 본선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과 더불어 북아프리카 양강이다. 그리고 화려한 유럽파들을 자랑한다. [[첼시 FC]]의 [[하킴 지예흐]], [[세비야 FC]]의 [[유세프 엔네시리]], [[야신 부누]], [[아다나 데미르스포르]]의 [[유네스 벨한다]], [[베식타스 JK]]의 [[로맹 사이스]], [[파리 생제르맹 FC]]의 [[아슈라프 하키미]], [[FC 바이에른 뮌헨]]의 [[누사이르 마즈라위]],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아민 하릿]], [[아우트헤버를레이 뢰번]]의 [[소피안 샤클라]], [[우디네세 칼초]]의 [[아담 마시나]], [[올림피아코스 FC]]의 [[유세프 엘아라비]], [[KRC 헹크]]의 [[빌랄 엘 카누스]] 등 유럽 주요 리그 명문팀에 모로코 선수들이 많이 진출해있고, 대부분 주전이다. [[아델 타랍]]은 [[알 나스르 SC]]에서 활약하며 모로코 국가대표로 다시 컴백했다. 최근 유망주도 많이 나오고 귀화도 많이 받아들이는데, 무려 [[브라힘 디아스]]가 합류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다만 브라힘 디아스는 스페인 국가대표팀에서도 계속 붙잡아두려는 움직임이 강하다.], 월드컵 명단만 하더라도 브레스트의 [[아슈라프 다리]], 마르세유의 [[아제딘 우나히]], 번리의 [[아나스 자루리]], QPR의 [[일리아스 셰이르]], 톨루즈의 [[자카리아 아부클랄]], 오사수나의 [[압데사마드 에잘줄리]]까지 모로코계 유럽 이민 2세, 3세들이 많다. 이 덕분에 북아프리카 국가들 중에서 가장 거대한 인재풀을 지니고 있다. 바로 이러한 유럽 곳곳에 퍼진 모로코인들의 특성과 경제력 대비 월등하게 좋은 축구 인프라에 기반해 향후 아프리카에서 월드컵 우승팀이 처음 나오게 된다면 그 가능성이 가장 큰 국가로 꼽힌다.[*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벨기에 등지에 이민을 간 해외 거주 모로코 교포들이 정말 많은데, 실제로 이 점이 대표팀 전력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가 되고 있으며 모로코 본국 내에도 큰 규모의 축구경기장이 각 도시마다 존재하는 훌륭한 인프라가 깔려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푸마(브랜드)|푸마]]이다. 현재 모로코 대표팀의 성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가 바로 브라질과의 상대전적인데, 과거 브라질에게 1997년 평가전에서 0-2패,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조별리그에선 0-3 패배를 내리 당했다. 그러나 2023년 3월 26일, 모로코가 월드컵 4강 신화를 달성한 직후 모로코 탕헤르에서 열린 평가전에선 브라질에게 2-1로 승리하는 기염을 토했다.[* 물론 브라질 대표팀이 어느정도 로테이션을 가동한 전력이긴 했지만 모로코의 사상 첫 브라질전 승리라는 것은 의견의 여지가 없다.] 2030년 월드컵을 스페인, 포르투갈과 같이 개최한 덕분에 해당 대회 자동 진출이 확정됐고[* 사실 알고보면 모로코도 월드컵 개최에 열정적이었던 나라였다.], 만약 2026년 월드컵 진출에 성공하면 5번의 연속 진출을 달성하게 된다. == 역대 감독 == [include(틀: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선수 명단 == [include(틀: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센추리 클럽|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include(틀:모로코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역대전적 == === [[FIFA 월드컵]] ===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32위''' '''④⑯'''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br][[1930 우루과이 월드컵|1930년 우루과이]] ||<-9><|5> 독립 이전,,([[프랑스령 모로코]]),, ||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30]] [br] [[1934 이탈리아 월드컵|1934년 이탈리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 [[1938 프랑스 월드컵|1938년 프랑스]]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 [[1950 브라질 월드컵|1950년 브라질]]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 [[1954 스위스 월드컵|1954년 스위스]]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br] [[1958 스웨덴 월드컵|1958년 스웨덴]] ||<-9> 없음[* 모로코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br][[1962 칠레 월드컵|1962년 칠레]] ||<-9>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1966 잉글랜드 월드컵|1966년 잉글랜드]] ||<-9> {{{#C8A2C8 기권}}}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70 멕시코 월드컵|1970년 멕시코]] || 조별리그[* 첫 골(vs 서독), 첫 승점(vs 불가리아)] || '''14위''' || 1 || 3 || 0 || 1 || 2 || 2 || 6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1974 서독 월드컵|1974년 서독]] ||<-9><|2>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고, 1982년 대회에서 본선 진출국이 16개에서 24개로 늘어났다.]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1978년 아르헨티나]]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br] [[1982 스페인 월드컵|1982년 스페인]] ||<-9><|1>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86 멕시코 월드컵|1986년 멕시코]] || 16강[* 첫 승리 + 아프리카 첫 2라운드 16강(vs 포르투갈)] || 11위 || 5 || 4 || 1 || 2 || 1 || 3 || 2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br] [[1990 이탈리아 월드컵|1990년 이탈리아]] ||<-9>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1994 미국 월드컵|1994년 미국]] || 조별리그 || 23위 || 0 || 3 || 0 || 0 || 3 || 2 || 5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98 프랑스 월드컵|1998년 프랑스]] || 조별리그 || 18위 || 4 || 3 || 1 || 1 || 1 || 5 || 5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br] [[2002 한일 월드컵|2002년 한국/일본]] ||<-9><|4>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2006 독일 월드컵|2006년 독일]]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2010 남아공 월드컵|2010년 남아공]]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br] [[2014 브라질 월드컵|2014년 브라질]]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br] [[2018 러시아 월드컵|2018년 러시아]] || 조별리그 || 27위 || 1 || 3 || 0 || 1 || 2 || 2 || 4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2022 카타르 월드컵|2022년 카타르]] ||<:><-2>'''4위'''[* 4강전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 모로코 첫 8강 진출 (vs 스페인), 아프리카 첫 4강 진출 (vs 포르투갈), 아프리카 첫 4강전 (vs 프랑스), 아프리카 첫 3·4위전 (vs 크로아티아)] || 11 || 7 || 3 || 2 || 2 || 6 || 5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2026 월드컵|2026년 북중미]] || ? || ? || ? || ? || ? ||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br][[2030 FIFA 월드컵|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4위 (1회) || 6/17[*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 22 || 23 || 5 || 7 || 11 || 20 || 27 ||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항목 참조. 총 성적 '''5승 7무 11패 승점 22점'''으로 월드컵 통산 랭킹 '''32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8년 대회까지는 전체 43위를 기록하고 있었으며, 같은 대륙의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가나]],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 에게도 총 승점이 밀려 아프리카 5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모로코가 4강에 진출하며 대거 승점 11점을 획득함에 따라 전체 32위, 아프리카 2위로 뛰어올랐다. 같은 대륙의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이 브라질을 잡는 등 승점 4점을 획득하여 모로코에 승점 1점 차이로 앞서는 31위를 마크하고 있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볼드체 표기를 한 팀은 모두 월드컵 우승국들이다.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1패(1998)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2패(1970, 1986)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1무(1986)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2무(2018, 2022)[*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전에서 승부차기로 스페인을 탈락시켰다. 승부차기는 무승부로 기록된다.]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1패(2022)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불가리아]] : 1무(1970)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 : 1패(1970)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 : '''2승 1패'''(1986, 2018, 2022)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 : 1무(1986)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1패(1994)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1승 1패(1994, 2022)'''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1패(1994)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1승(1998)'''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 1무(1998)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1패(2018)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 1무 1패(2022{2회}[* 조별리그에서는 0:0으로 비겼으며, 3위 결정전에서 다시 만났을땐 1:2로 패배하였다.])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캐나다]] : '''1승(2022)''' || 대륙별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유럽]] : 4승 7무 7패''' '''[[남미]] : 2패''' '''[[아시아]] : 2패''' '''[[북중미]] : 1승''' || 오세아니아와 만난 기록은 없고, 북중미와는 카타르 월드컵을 통해 처음으로 만나게 되었으며, 5승중에 4승을 유럽을 상대로 획득하였고, 나머지 1승은 북중미를 상대로 획득했다. 특이하게 아시아를 상대로 2패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탈리아, 독일, 튀니지, 덴마크, 포르투갈'''과 더불어 아시아 팀에게 두번씩이나 패배한 팀이다. 모로코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에게 각각 패배했는데 1994년 사우디에게 패배한 직후 사우디 대표팀 주장이 경기가 끝나고 '오늘은 모든 아랍인들에게 기쁜 날입니다'라고 인터뷰하는 바람에 같은 아랍 국가인 모로코 측에서 매우 분노했던 일화가 있다. 모로코가 월드컵 전적에서 앞서있는 팀은 '''스코틀랜드, 포르투갈, 캐나다'''이며, 접전인 팀은 '''잉글랜드, 스페인, 폴란드, 불가리아, 노르웨이, 벨기에'''로 총 6개팀이며, 나머지 팀을 상대로는 열세를 기록하고 있다. 모로코에 패배를 안긴 팀은 '''독일(2패)''', '''페루(1패)''', '''벨기에(1패)''', '''사우디아라비아(1패)''', '''네덜란드(1패)''', '''브라질(1패)''', '''이란(1패)''', '''포르투갈(1패), 프랑스(1패), 크로아티아(1패)'''로 10개팀이며, 그 중에 2패를 안긴 '''독일'''을 제외한 나머지 팀을 상대로는 한번씩만 패배했으며, 이들 중 '''벨기에, 포르투갈, 크로아티아'''를 제외한 나머지 7개팀[* 독일, 페루, 사우디아라비아, 네덜란드, 브라질, 이란, 프랑스]을 상대로는 전패를 기록중이다. 그리고 가장 많은 승점을 얻어간 팀은 '''포르투갈'''로 3경기 6점이고, '''스코틀랜드, 벨기에, 캐나다'''를 상대로는 한경기씩 이겼다. 한경기 최다득점 기록은 1986년 24강 조별리그 포르투갈전 3:1 승, 1998년 32강 조별리그 스코틀랜드전 3:0 승으로 세 골이 최고 기록이다. 의외로 유럽의 중상위권 팀들을 상대로 다득점을 한 기록에, 쉽게 골을 허용하지 않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한경기 최다실점 기록은 1970년 16강 조별리그 페루전 0:3 패, 1998년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0:3 패로서 유럽과는 다르게 남미에게 매우 약한 모습을 보였다. 나름대로 80~90년대에는 아프리카에서 알아주던 강호였다. 옆나라 알제리의 억울한 패배를 두 눈 뜨고 지켜본 모로코는 절치부심 1986년 월드컵을 준비해서 24강 본선에 진출하였는데 상대가 [[잉글랜드]], [[폴란드]], [[포르투갈]]이었다. 잉글랜드와 폴란드는 전 대회에서도 눈부신 활약을 보여주었던 강호 중의 강호였고, 포르투갈은 에우제비오 이후 20년만의 월드컵 진출이어서 상대적으로 전력이 약했다[* 보고나서 의아할 수 있겠지만 사실 지금의 포르투갈이 [[루이스 피구]]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등을 배출할 정도로 유럽에서도 막강한 팀으로 알려져 있지만 1980년대만 해도 포르투갈은 이렇다할 성적을 내지 못한 '''그저그런 팀'''이었다. 1966년 월드컵에서 3위를 기록 한 이후 번번히 {{{#f00 16개국 본선 진출}}}과 82월드컵 24강 본선 진출 실패의 고배를 마셨고 무려 '''4번의 월드컵을(1970,1974,1978,1982) 제친 끝'''에야 겨우 86월드컵 24강 본선행을 확정지어 진출하였다. 이때 진출한 월드컵이 바로 모로코를 만났던 '''[[1986년 멕시코 월드컵]]''' 이었고 이 진출은 '''20년만의 진출'''이어서 감개무량의 절정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감개무량의 절정은 커녕 '''대회 17위'''로 아쉽게 16강에 실패하였고 이후로는 또 다시 '''3번의 월드컵에(1990 24강 본선,1994 24강 본선,1998 32강 본선) 못나서는 소암흑기를 연출'''하다가 오래간만에 월드컵에 진출해서 이름을 뽐내는 '''듯''' 했지만 하필 그들이 나선 월드컵은 '''[[2002년 한일 월드컵]]''' 이었고 그 대회에서 포르투갈은 '''[[히딩크호|우리에게도 기억에 남는 희대의 명장면을 남긴다.]]'''] . 물론 모로코는 최약체이자 승점자판기 신세. 하지만 이 평가를 완전히 뒤집고 잉글랜드와 폴란드에게 영혼의 무실점 무재배를 일궈내고 마지막 경기에서 포르투갈을 3:1로 잡으며 그 '''아프리카 사상 첫 2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90년 카메룬 돌풍만 기억하지만 모로코가 한 발 앞서 돌풍을 일으켰던 것. 16강전에선 대회 준우승국 서독을 만나 분투했지만 0:1로 아쉽게 패했다. 8년 걸러 1994 미국 월드컵에도 진출했지만 [[벨기에]], [[사우디아라비아]], [[네덜란드]]에게 모두 패하며 3전 3패로 짐을 쌌다. 그 중 사우디아라비아는 월드컵 첫 출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신비의 팀이었는데, 이들이 2-1로 모로코를 이긴 것이 월드컵 사상 첫 승이었다. 우습게도 경기가 끝나고 사우디아라비아 당시 주장 선수는 오늘은 모든 [[무슬림]]이 기쁜 날이랍니다~라는 인터뷰를 하여서 인구 대다수가 무슬림인 모로코에서도 어이없어 했는데 사우디아라비아에게 1:13이라는 사상 최다 실점패를 안겨준 모로코에게 대한 설욕적인 비아냥이라는 말까지 있었다. 이 때의 패배를 거울삼아 1998년 프랑스에서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다. 유럽 강호 노르웨이를 상대로 2:2로 난타전을 펼치고, 우승후보 1순위 브라질에게는 0:3으로 졌지만 노르웨이가 스코틀랜드와 무재배를 거두는 바람에 마지막 경기를 이기고 [[그런거 없다|브라질이 노르웨이에 지지만 않으면]] 16강이 가능한 상황이었다. 스코틀랜드를 상대로 '''3:0'''으로 압도하며 16강을 확정짓나 싶었는데 노르웨이가 브라질을 2:1로 잡는 이변을 일으키면서 제대로 [[끔살]]당했다. 당시 경기가 끝나고 모로코 선수들이 주저앉아 엉엉 울고 대패한 스코틀랜드 선수들이 위로하는 모습이 국내 중계에서도 나왔을 정도로 모로코 선수들이 받은 충격은 컸다. 노르웨이가 좀 말많은 패널티골로 이겼기에 모로코에서는 버럭거렸으며 아프리카 축구연맹과 같이 피파에게 항의했지만 결국 뒤엎을 순 없었다. 1982년처럼 승부조작은 아니었지만 정말 억울한 탈락이다. 이 대회 이후로 4번 연속으로 월드컵 본선 진출을 실패하다가 2017년에 가봉을 3:0으로 격파한 후 2018년 러시아 월드컵에 출전하게 되었다. 모로코 역시 알제리와 비슷하게 이름난 선수가 많지는 않지만 탄탄한 조직력과 개인기가 있고 피지컬로 밀어붙이는 팀이다. 게다가 [[아랍]] 국가라는 특성상 [[침대축구]]로도 악명이 자자한 편이다. 우리가 이란, 사우디, 이라크하면 침대축구부터 떠올리듯 아프리카 대다수의 나라들도 모로코하면 침대축구로 고개를 절레절레 짓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하지만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선 이란의 침대축구로 고전하며 자책골까지 넣어 0-1로 허무하게 패했다. 다만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선 전대회 준우승국 크로아티아와 무승부를 거둔 후 피파랭킹 2위 벨기에, 36년만에 월드컵에 등장한 캐나다를 차례로 누른 후 모두의 예상을 깨고 조 1위로 1986 멕시코 월드컵 이후 36년만에 16강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다. [[파일:모로코 8강.jpg]] 2022년 모로코는 32강 조별리그[* 다음 2026월드컵 부터는 48강 조별리그로 바뀐다.] 에서 벨기에, 16강전에서 스페인을 꺾더니 8강전에서 포르투갈마저 무릎 꿇리며 '''아프리카 축구 및 아랍 국가 역사상 최초로 FIFA 월드컵 4강 진출'''을 이루어낸다. 비록 프랑스에게 0:2로 패해서 결승 진출에 실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도 크로아티아에게 1:2로 패해서 4위로 끝냈지만, 아프리카 첫 4강이자 32개국 체제 내의 비남미/유럽 원정 4강이란 기록을 내었기에 전세계에서 박수를 받으며 본 대회 최고의 대이변과 파란의 주인공이 되었다. 모두의 예상을 깨고 조별리그에서 강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하여 강팀을 조 3위로 떨어뜨리고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한 것을 시작으로 유럽의 강호들을 연파하고 대륙 최초 4강이라는 신화를 쓴 것[* 게다가 스페인은 나란히 승부차기로 꺾은 것까지 덤.], 그리고 본 대회 준우승을 차지한 팀에게 준결승에서 아쉽게 진 뒤 다음 3, 4위전에서도 패배하여 4위를 기록한 것이 정확히 20년 전 대한민국 [[히딩크호]]의 4강 신화와 완전 평행이론일 정도로 상당히 유사했다. 이에 걸맞게 무려 11계단이나 상승하며 그동안 아프리카에서 월드컵 양강으로 평가받던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까지 제치고 아프리카 2위 승점을 기록하게 되었다.[* 참고로 현재 아프리카 1위인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과는 승점 1점 차이다. 브라질이 카메룬과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무승부만 기록했으면 아프리카 1위도 가능했다.] === [[올림픽]] === * [[2012 런던 올림픽]]: 11위[*16개팀 본선 16강 조별리그] * [[2004 아테네 올림픽]]: 10위[*16개팀 본선 16강 조별리그] * [[2000 시드니 올림픽]]: 16위(3전패)[*16개팀 본선 16강 조별리그][* 대한민국과 같은 조로 대한민국이 1:0 승] *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15위[*16개팀 본선 16강 조별리그][* 대한민국과 같은 조로 1:1 무승부 승점 1점 기록] * [[1984 로스엔젤레스 올림픽]]: 12위[*16개팀 본선 16강 조별리그] * [[1972 뮌헨 올림픽]]: 8위[*8강] * [[1964 도쿄 올림픽]]: 13위[*14개팀 본선 14강 조별리그][* 이탈리아 실격, 북한 기권으로 14강 조별리그로 진행]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7위''' || '''{{{#fff 대회}}}'''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승점}}}''' ||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width=30]] [br] [[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1957]]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30]] [br] [[195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1959]]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width=30]][br] [[196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1962]] ||<-10> {{{#C8A2C8 기권}}} || ||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br] 1963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br] 1965 ||<-10> {{{#F0C420 불참}}} ||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width=30]][br] 1968 ||<-10> {{{#F0C420 불참}}} ||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width=30]] [br] 1970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width=30]] [br] 1972 || 조별 라운드 || 5위 || 3 || 0 || 3 || 0 || 3 || 3 || 3 || ||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width=30]] [br] 1974 ||<-10> {{{#F0C420 불참}}} ||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width=30]][br] 1976 || '''우승''' || '''1위''' || '''6''' || '''4''' || '''2''' || '''0''' || '''11''' || '''6''' || '''14''' || ||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br] 1978 || 조별 라운드 || 6위 || 3 || 1 || 1 || 1 || 2 || 4 || 4 ||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br] 1980 || 4강 || 3위 || 5 || 2 || 1 || 2 || 4 || 3 || 7 || ||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width=30]][br] 1982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br] 1984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br] 1986 || 4강 || 4위 || 5 || 1 || 2 || 2 || 4 || 5 || 5 ||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br] 1988 || 4강 || 4위 || 5 || 1 || 3 || 1 || 3 || 3 || 6 || ||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30]][br] 1990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br] 1992 || 조별 라운드 || 9위 || 2 || 0 || 1 || 1 || 1 || 2 || 1 ||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br] 1994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br] 1996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width=30]][br] 1998 || 8강 || 6위 || 4 || 2 || 1 || 1 || 6 || 3 || 7 || ||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br] 2000 || 조별 라운드 || 11위 || 3 || 1 || 1 || 1 || 1 || 2 || 4 || || [[파일:말리 국기.svg|width=30]][br] 2002 || 조별 라운드 || 9위 || 3 || 1 || 1 || 1 || 3 || 4 || 4 ||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br] 2004 || 준우승 || 2위 || 6 || 4 || 1 || 1 || 14 || 4 || 13 ||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br] 2006 || 조별 라운드 || 13위 || 3 || 0 || 2 || 1 || 0 || 1 || 2 || ||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br] 2008 || 조별 라운드 || 11위 || 3 || 1 || 0 || 2 || 7 || 6 || 3 || || [[파일:앙골라 국기.svg|width=30]][br]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0]] ||<-10> {{{#f00 예선 탈락}}} || || [[파일:가봉 국기.svg|width=30]]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width=30]][br]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2]] || 조별 라운드 || 12위 || 3 || 1 || 0 || 2 || 4 || 5 || 3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br]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3]] || 조별 라운드 || 10위 || 3 || 0 || 3 || 0 || 3 || 3 || 3 || ||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width=30]] [br]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5]] ||<-10> 출전 정지[* 당초 2015년 대회는 모로코가 개최국이었으나 [[에볼라 바이러스]]로 인하여 1년 연기를 요청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CAF에서는 개최국 출전권을 박탈하였고, 모로코에게 출전 정지 처분을 내렸다. 대체 개최국으로는 적도기니가 선정되었다.] || || [[파일:가봉 국기.svg|width=30]] [br][[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7]] || 8강 || 7위 || 4 || 2 || 0 || 2 || 4 || 3 || 6 ||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br]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9]] || 16강 || 9위 || 4 || 3 || 1 || 0 || 4 || 1 || 10 || ||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30]][br]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21]] || 8강 || 5위 || 5 || 3 || 1 || 1 || 8 || 5 || 10 ||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br]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23]] || ? || ? || ? || ? || ? || ? || ? || ? || ? ||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br]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25]] || ? || ? || ? || ? || ? || ? || ? || ? || ? || || [[파일:케냐 국기.svg|width=3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width=30]] [[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30]][br] [[202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27]]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우승'''(1회) || '''18/33''' || '''70''' || '''27''' || '''24''' || '''19''' || '''82''' || '''63''' || '''105''' || === [[FIFA 아랍컵]] === || '''{{{#fff 대회}}}'''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승점}}}''' ||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30]] [br] 레바논 1963 ||<-9><|6> {{{#F0C420 불참}}} ||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br] 쿠웨이트 1964 ||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5]] [br]이라크 1966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br]사우디아라비아 1985 || ||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30]] [br]요르단 1988 ||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30]] [br]시리아 1992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카타르 1998 || 조별리그 || 5위 || 2 || 1 || 0 || 1 || 2 || 2 || 3 ||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br]쿠웨이트 2002 || '''4강''' || 4위 || 5 || 1 || 2 || 2 || 5 || 6 || 5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br]사우디아라비아 2012 || '''우승''' || '''1위''' || 5 || 3 || 2 || 0 || 11 || 2 || 11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br]카타르 2021 || 8강 || 5위 || 4 || 3 || 1 || 0 || 11 || 2 || 10 || || 합계 || 우승(1회) || 4/10 || 16 || 8 || 5 || 3 || 29 || 12 || 29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 === 한국과 A매치에서는 1996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첫 경기를 가졌으며, 2:2 무승부를 기록한 바 있다. 가장 최근 가진 경기는 2017년 10월 10일 스위스에서 맞붙은 경기로 이 때 모로코가 대한민국을 3:1로 이겼다. 당시 대한민국은 [[손흥민]], [[기성용]], [[남태희]], [[장현수]], [[이청용]], [[지동원]] 등 해외파 옥석을 가리기 위한 해외파 위주의 스쿼드로, 정예 멤버에 가까웠던 반면, 모로코는 역시 유럽파가 대부분이긴 했으나 젊은 신예급 선수들 위주로 팀을 꾸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수프 베나세르]], [[야신 보노]], [[아민 하릿]], [[아슈라프 하키미]], [[하킴 지예흐]] 등 모로코 스쿼드엔 실력있는 선수가 즐비했다.] 따라서 이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참패하자 안그래도 며칠 전 러시아에게 4:2로 대패 한 사건도 있었기에 비난을 무진장 먹게 되었다. 후에 [[신태용]] 감독은 이 경기를 치른 뒤 나름 옥석을 가린 것인지, 반년 뒤 2018 러시아 월드컵 본선 무대에선 모로코 전때 나선 선수들 중 꽤 상당수를 볼 수가 없었다.[* 이 경기 선발로 나섰던 [[이청용]], [[지동원]], [[임창우]], [[송주훈]] 등이 월드컵 본선 엔트리에서 탈락하였고, 특히 전반초반에 두골을 실점하자 가차없이 교체해버렸던 [[김보경(축구선수)|김보경]], [[남태희]], [[김기희]] 이 세명은 아예 [[신태용호]]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올림픽 대표팀끼리는 꽤 많이 맞붙었다. 역대 전적으론 모로코가 3승 2무 1패로 우세하나 정작 올림픽 본선에선 두 차례 맞붙어 1무 1패로 열세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6개국 본선 16강 조별리그]에서 1-1로 비겼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16개국 본선 16강 조별리그] 0-1로 패배했다.'''[* 하지만,한국은 같은 조의 모로코와 칠레를 1-0으로 이겼으나 스페인에게 0-3으로 참패당해 스페인과 모로코도 똑같은 2승 1패를 거두어서 골득실에서 뒤쳐져 8강 진출 실패했다.(전체 9위) 여담으로 스페인은 은메달, 칠레는 동메달을 받았다.] 가장 최근 맞대결은 2015년 11월 11일 중국 우한에서 열린 중국 4개국 친선대회로 모로코가 대한민국을 1:0으로 꺾고 승리하였고 U20청소년대표팀에서는 역으로 대한민국에게 3전패를 기록 중 ||<:>일자 ||<:> 장소 ||<:> 스코어 ||<:> 모로코 득점자 ||<:> 대한민국 득점자 ||<:> 비고 || ||<:> 1996년 3월 23일 ||<:> 두바이 알 막툼 스타디움 (UAE) ||<:> 2:2 [br] (2:1) ||<:> [[압델릴라 파흐미]] [br] [[압델크림 나지르]] || [[고정운]] [br] [[노상래]] || 1996 UAE 4개국 친선대회 || ||<:> 2001년 2월 8일 ||<:> 막툼 빈 라시드 알막툼 경기장 (UAE) ||<:> 1:1 ||<:> 오트마네 엘 아사스 || [[유상철]] || 2001 두바이컵 || ||<:> 2017년 10월 10일 ||<:> 빌 비엔느 티쏘 아레나 (스위스) ||<:> 3:1 [br] (2:0) ||<:> [[우사마 탄나네]][*2골] [br] [[이스마엘 엘하다드]] || [[손흥민]] || 친선경기 || ||<-3> 총 전적 ||<-3> 3전 1승 2무 || [각주] [[분류: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