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단각목]] ||<-2> '''{{{#FFF {{{+1 모래톡톡이}}}[br]Sand hopper}}}''' || ||<-2> [[파일:Talitrus_saltator.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Talitrus saltator'' ''' (Montagu, 1808) || ||<-2> '''{{{#FFF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2.2|'''{{{#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s-2.3|'''{{{#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 || [[생물 분류 단계#s-2.4|'''{{{#000 강}}}''']] ||[[연갑강]](Malacostraca) || || [[생물 분류 단계#s-2.5|'''{{{#000 목}}}''']] ||단각목(Amphipoda) || || [[생물 분류 단계#s-2.6|'''{{{#000 과}}}''']] ||도약옆새우과(Talitridae) || || [[생물 분류 단계#s-2.7|'''{{{#000 속}}}''']] ||도약옆새우속(''Talitrus'') || || [[생물 분류 단계#s-2.8|'''{{{#000 종}}}''']] ||'''모래톡톡이'''(''Talitrus saltator'') || [youtube(2WUjPLci0N8,width=480px,height=270px)] [목차] == 개요 == [[유럽]]의 [[모래]] 해안에 폭넓게 서식하는 [[옆새우]]. 꼬리를 바닥에 두고 있다가 건드리면 접힌 복부로 튀어올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sand flea라고도 불리는데 이건 모래파리나 모래벼룩, [[모래파기게]]를 뜻하기도 한다. == 상세 == 반투명한 회색 몸에 등 일부가 검어서 언뜻 보면 새우를 닮았지만 엄연히 [[단각목]]이라 기본 신체 구조는 다른 옆새우들과 동일하다. 크기는 최대 2 cm. 두 쌍의 [[더듬이]] 중에서 제2더듬이가 더 굵고 긴데, [[암컷]]보다 [[수컷]]이 더 길다. 두 쌍의 악각 중 제1악각은 단순화되어있다. 낮에는 모래 속으로 10 - 30 cm 파들어가 기다리다가, 밤이 되면 썰물 때 나와서 해안선에 있는 [[조류(수중생물)|해조류]]를 먹고 산다. 어린 개체는 땅을 파지 못해서 낮에는 최근에 떠밀려온 해조류 속에 숨어있는다. 겨울이 되면 모래 속으로 50 cm 파고 들어가 [[휴면]]을 취한다. 5월~8월 사이에 번식하며 수명은 [[수컷]]은 21개월, [[암컷]]은 18개월이다. 위협을 받으면 접혀있던 복부를 튕겨서 스프링처럼 튀어오르는데, 높이가 십 수 cm에 달한다. == 기타 == [[갯강구]]와 비슷한 포지션이지만 [[바퀴벌레]]를 닮아 혐오받는 저쪽과 달리 [[새우]]를 닮은 통통한 외형이라 잘 보면 꽤 귀엽다. 국내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만약 비슷한 개체가 보인다면 근연종이거나 [[갯가톡톡벌레]]일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