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include(틀:명지대학교)][[분류:명지대학교]][[분류:대학박물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91552, #002968, #002968,#002968, #002968, #091552)" {{{+1 '''명지대학교 박물관'''}}}[br]'''明知大學校 博物館'''[br]{{{#a0cbed '''MYONGJI UNIVERSITY MUSEUM'''}}} }}} || ||||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명지대학교 명진당, 너비=100%, 높이=100%)]}}} || || '''분류'''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width=21px]] [[명지대학교]] 대학박물관 || || '''박물관장''' ||{{{#000,#e5e5e5 10대 한명기 교수[* 사학과 교수]}}}|| || '''개관''' ||1968.10. {{{#000,#e5e5e5 명지대학 학장부속실}}}[br]1979.03. {{{#000,#e5e5e5 명지대학 박물관 개관(인문캠퍼스 본관)}}}[br]1984.10. 명지대학교 박물관(자연캠퍼스 명진당) || || '''소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명진당 ([[남동(용인)|남동]]) || || '''홈페이지''' ||{{{#000,#e5e5e5 [[https://jw4.mju.ac.kr/user/museum/index.action|명지대학교 박물관]]}}}[br][[https://www.mju.ac.kr/mjukr/3126/subview.do|명지대학교 박물관 소개]]||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명진당10.jpg|width=300%]]|| ||<:> {{{#002968 '''명지대학교 박물관(명진당) 전경'''}}}||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16에 위치한 [[명지대학교]]의 대학박물관. 건물 번호는 '''3'''. 1968년 10월부터 학장부속실에서 자료를 수집했으며, 명지대학교 창립자인 방목 [[유상근]] 박사로부터 자료 1,000여점을 기증받아 1979년 3월 개관하였다. 개관 당시에는 명지대학교 [[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인문캠퍼스]] 본관 10층에 개관하였으나, 용인의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자연캠퍼스]] 완공에 따라 1984년 10월 현재의 자연캠퍼스 명진당 6층으로 이전하였다. 명지대학교 박물관은 종합박물관으로서 전통문화의 보존과 전승에 노력하며 고고, 역사, 미술, 민속에 관련된 자료들을 소장ㆍ전시함을 통해 학생들의 교육 활동을 지원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개관 이후 꾸준한 학술조사와 기증ㆍ구입 등을 통해 소장자료를 확충해 약5,000여점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소장자료 및 지역사회의 문화유적에 대한 학술연구 및 보존활동, 문화유산답사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 연혁 == || 1979.03. ||인문캠퍼스 본관에서 박물관 개관 || || 1979.0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가입 || || 1984.10. ||자연캠퍼스 명진당 6층에 이전 || || 2001.06. ||박물관 등록(문화관광부장관 제06-박-10호) || || 2001.10. ||박물관 학예사 자격증 경력인정대상기관 선정 || || 2005.04.~12.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시스템구축 6차사업 참가 || || 2009.03. ||박물관갱신등록 (문화관광부장관 제06-박-10호) || || 2011.09. ||매장문화재조사기관 재등록 || || 2016.09.~12. ||문양, 그 안에 담긴 이야기 특별전(경기도 용인시 전시지원사업)|| || 2017.04.~12. ||사람과 나무의 만남, 休 목공예 교육 및 특별전(경기도 용인시 지역문화플랫폼육성사업) || || 2020.03. ||경기도 용인시 지역문화플랫폼육성사업 선정 || == 조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91552, #002968, #002968,#002968, #002968, #091552)" [[파일:명지나무_White.svg|width=28]] {{{+1 {{{#white '''명지대학교 박물관 조직도'''}}}}}} }}} || ||<:>[[파일:명지대 박물관 조직도.jpg|width=100%]]|| || '''{{{+1 {{{#002968,#97c0ff 명지대학교 박물관 조직도}}}}}}''' || == 현황[* 아래의 각종 자료 현황은 명지대학교 박물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였다.] == === 시설 현황 === ||실명(室名)||면적(㎡)|| ||전시실||963|| ||수장고||381|| ||사무실||74|| ||정리실||97|| ||자료실||64|| ||기타||326|| ||계||1905|| === 소장 자료 현황 === ||분류||수량|| ||금속||256|| ||옥석||201|| ||토도||2,306|| ||목죽초질||1,610|| ||서화탁본||452|| ||기타||340|| ||계||5,165|| === 중요지정문화재 === ||명칭||시대||재질||구분||지정번호||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7(初雕本瑜伽師地論卷十七)||[[고려시대]]||지류||[[대한민국의 국보|국보]]||제244호||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고려시대]]||지류||[[대한민국의 보물|보물]]||제1148호|| ||신간표제공자가어구해(新刊標題孔子家語句解)||[[고려시대]]||지류||[[대한민국의 보물|보물]]||제1149호|| == 여담 == * 명지대학교가 이원화 캠퍼스인 관계로 도서관의 경우 서울의 인문캠퍼스와 용인의 자연캠퍼스에 나뉘어 있지만, 박물관의 경우 용인의 자연캠퍼스 한 곳에만 위치해 있다. * 인문캠퍼스 학생도 당연히 이용 가능하다. 단, 위치가 용인에 있어 실질적으로 학기 중 학교생활을 하며 자유롭게 오갈 수 있진 않다. * 자연캠퍼스의 도서관과 박물관 모두 명진당에 소재한다. * 명진당 인근 풀숲에는 1990년, 명지대학교 박물관이 평촌지구 귀인마을에서 발굴한 '''고인돌'''이 놓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