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this=, 토론주소1=WoebegoneScrawnyFlatImpulse)] || {{{#ffffff '''가짜 명언 토론 합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aeaea * 제도권 언론사에서 명언이라고 밝힌 경우 작성이 가능하다. * 네이버 명언 카테고리 내에서 존재하는 경우 작성이 가능하다. *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있는 경우 작성이 가능하다. * 기타 토론 합의가 된 경우 작성이 가능하다. * '''밈과 서브컬처 관련 예시는 작성이 불가능하다.'''[*예시 [[이명박은 배고픕니다]], [[도지삽니다]]가 대표적인 예시다. 이 경우 등재가 불가능하다. 서브컬처 같은 경우는 [[명대사]] 문서로 이동바람.] * '''위 작성 가능 조건을 하나도 충족하지 않는다면 해당 명언은 삭제한다.''' [각주] }}} ---- ||}}}}}}}}} || [목차] == 개요 == Fake quote. [[명언]] 중에서 해당 사람이 말하지 않았는데 마치 말한 것처럼 알려져 있는 '가짜' 명언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혹은 실제로는 A의 명언인데 B의 명언으로 잘못 알려진 명언도 있다. [[도시전설]]과도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유명한 사람이 직접 말했다'는 명언이라는 면에서 조금 다르다. >[[파일:fake-quote-4.jpg.png]][br]"[[인터넷]]에 올라온 [[명언]]들의 문제점은 그것이 진짜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 > '''[[에이브러햄 링컨]][* 사진 속 인물은 링컨이 아니라 [[벤저민 프랭클린]]이다.]''' 일부는 대사를 억지로 갖다 붙이는 유머에서 파생된 가짜 명언이다. 본 문서의 사진이 바로 그 예시. [[디시인사이드]] 등지에서 해당 말과는 관련없는 사진을 붙여넣고 이러한 유머를 쓰는 경향이 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comic_new1&no=3652179|활용 예]] 특히 [[블리치/시|블리치의 포엠]]과 같은 [[중2병]]스러운 문장을 [[프리드리히 니체]]나 [[마틴 루터 킹]] 등의 [[위인]]으로 화자를 설정하면 매우 그럴싸한 가짜 명언이 완성된다. 그런데 이 말이 다른 사이트/SNS에 퍼지면서 진짜 했던 말로 믿게 되는 경우도 있다. 사실 명언들 뿐만이 아니라 인터넷에 있는 정보들 중 상당수에 적용되는 이야기. 당연히 나무위키도 포함. == 목록 == * [[갈릴레오 갈릴레이]] - "[[그래도 지구는 돈다]]." * [[공자]] - "우리의 가장 위대한 영광은 무너지지 않음이 아니라 무너질 때마다 다시 일어섬에 있다." / "멈추지만 않는다면 얼마나 천천히 가는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 [[김영덕]] - "비난은 순간이고, 기록은 영원하다." * [[나츠메 소세키]] - "[[달이 아름답네요]]" * [[노모 히데오]] - "소시민은 도전하는 자를 비웃는다." * [[단테 알리기에리]] - "지옥의 가장 뜨거운 곳은 도덕적 위기의 시대에 중립을 지킨 자들을 위해 예약되어 있다."[* [[신곡]]에 실제로 나오는 어구는 "이렇게 비참한 꼴을 당하고 있다 / 사람들의 슬픈 영혼들이 / 치욕도 명예도 없이 살아 온"(Questo misero modo / tegnon l'anime triste di coloro / che visser sanza 'nfamia e sanza lodo.)이다.[[http://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2141|참고 기사]] ][* [[노무현 대통령 탄핵]]정국 당시 [[조순형]] 새천년민주당 대표가 최고위에서 써먹었던 것이 [[돌발영상]]으로 남아 있다.] * [[레이몽 아롱]] - "정직하고 머리 좋은 사람은 절대로 좌파가 될 수 없다. 정직한 좌파는 머리가 나쁘고, 머리가 좋은 좌파는 정직하지 않다. 모순투성이인 사회주의 본질을 모른다면 머리가 나쁜 것이고, 알고도 추종한다면 거짓말쟁이다."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18091281011|참고 기사]] * [[루드비히 반 베토벤]] - "운명은 이렇게 문을 두드린다"[* 베토벤의 비서였던 쉰들러가 베토벤에게 들었다면서 한 말이다.] * [[루이 14세]] - "[[짐이 곧 국가다]]."(L'Etat, c'est moi) * [[마셜 매클루언]] - "[[We Become What We Behold|우리는 우리가 보는 대로 된다. 우리가 도구를 만들듯이 도구도 우리를 만든다.]]" * [[마리 앙투아네트]] -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지]]." * [[모리 모토나리]] - "[[모리 가 3형제|화살 하나는 쉽게 부러지지만 셋이 모이면 쉽게 부러지지 않는다.]]"[* '화살의 교훈' 이야기는 멀리 [[이솝 우화]]에까지 거슬러가는 이야기이다.] * [[볼테르]] - "나는 당신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그 의견 때문에 박해를 받는다면 나는 당신의 말할 자유를 위해 끝까지 싸울 것입니다." * [[샤를 드 골]] - "나는 [[독일]]이 너무 좋다. 그래서 [[독일 분할|독일이 여러 개였으면 좋겠다]]."[* 다른 예시들과 달리, 이 말은 실존하는 유명인의 명언이 맞다. 단지 화자가 실제 화자인 [[https://en.wikiquote.org/wiki/Fran%C3%A7ois_Mauriac|프랑수아 모리아크]]가 아닌 샤를 드 골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을 뿐이다.] * [[소크라테스]] - "[[악법]]도 [[법]]이다." * [[신채호]] -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이오시프 스탈린#s-5.4|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 - "책으로 공산주의를 배우면 공산주의자가 되고, 몸으로 공산주의를 배우면 반공주의자가 된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군집붕괴현상|꿀벌이 멸종하면 인류도 4년 안에 사라진다]]." * [[유리 가가린]] - "우주에서 신을 보지 못했다" [* 지구는 푸르다라는 말은 직접 한 말이 맞다.] * [[아케치 미츠히데]] - "[[적은 혼노지에 있다]]" * [[앤디 워홀]] - "일단 유명해져라. 그러면 당신이 [[똥]]을 싸도 사람들은 박수를 칠 것이다.(Be famous, and they will give you tremendous applause even when you are actually pooping.)" * [[앨빈 토플러]] - "[[병림픽|승리해도 병신, 패배해도 병신이라면 승리한 병신이 되어라.]]" * 에드워드 불워 리튼 - "[[펜은 칼보다 강하다]]"[* 어디까지나 작가의 작품 속에 나오는 대사로, 작가 본인이 이 말을 직접 한 적은 없다. 하지만 어쨌든 작가가 쓴 말이기 때문에 인정해 줘야할지도.] * [[율리우스 카이사르]] - "[[브루투스]] 너마저(Et tu, Brute?)"[*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통해 유명해진 말로 실제 카이사르가 이 말을 했다는 증거 사료는 없다.] * [[조 토레]] - ''우리는 인간이다. [[페드로 마르티네즈|그]]는 인간이 아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졌다 * [[조지 버나드 쇼]] - "[[SHOW|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원문은 "I knew if I stayed around long enough, something like this would happen". 올바르게 번역하면 "내 언젠가 [[죽음|이 꼴]] 날줄 알았지" 정도가 된다. SHOW의 광고에서 나온 오역이 널리 퍼진 것. 이마저도 버나드 쇼의 유언이 아니라는 이야기가 있다. 자세한 건 [[조지 버나드 쇼]] 문서 참고.] * [[찰스 다윈]] - "[[적자생존|가장 강한 것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고, 가장 똑똑하다고 해서 살아남는 것도 아니다.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것이 살아남는다.]]" [* 미국의 경영학 교수인 레온 매긴슨이 종의 기원을 독자적으로 해석하면서 연설한 말이다.] * [[칼 포퍼]] - "20대에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면 심장이 없는 자다. 40대에 공산주의자라면 머리가 없는 자다."[* 칼 포퍼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없다. 이 문구는 앙셀므 배비가 에드먼드 버크의 정치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했다고 기록한 것이 원형이다. '''"스물에 공화주의자가 아닌 이는 마음의 관대함이 의문스럽다. 그러나 서른이 넘어서도 공화주의자인 이는 정신이 온전한지 의문스럽다."''' 이 문구는 공화주의자 대신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 자유주의자, 보수주의자 등으로 바꾸어 프랑수아 기조, 빅토르 위고, 스웨덴의 오스카 2세, 케년 니콜슨, 조지 버나드 쇼, 벤자민 디즈레일리, 윈스턴 처칠, 막스 베버 등이 한 말로 알려지기도 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칼 포퍼가 한 말로 잘못 알려진 "20대에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면 심장이 없는 자다. 40대에 공산주의자라면 머리가 없는 자다."라는 표현은 1946년 카먼윌(commonweal)이라는 미국 저널에서 글 유머로 나온 것이다. 이와 비슷한 말을 푸틴이 한 적은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문서 참조.] 자세한 것은 칼 포퍼 [[칼 포퍼#s-4.2|항목]] 참조.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 (달걀을 깨부숴 세우면서)"누군가를 따라 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처음 시작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정확히는 [[콜럼버스의 달걀]] 에피소드 자체가 콜럼버스 이전 시대에 존재했다.] * [[파블로 피카소]] - "나는 당신을 이렇게 그리는 실력을 얻기까지 40년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1984년 출간된 경제학 서적에서 처음 나온 말로, 피카소가 직접 이 말을 했다는 근거가 부족하다.]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선동은 문장 한 줄로도 가능하지만 그것을 반박하려면 수십 장의 문서와 증거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것을 반박하려고 할 때면 사람들은 이미 선동당해 있다."[* 괴벨스가 하지 않았지만, 그렇기에 도리어 가장 괴벨스다운 가짜 명언이라 평가받는다.] * [[펠릭스 호세]] - "헤이, [[배영수|영쑤]]! [[참교육|돈 두 댓]]!(Hey, Yeong-ssu! Don't do that!)" * [[프랑수아 트뤼포]] - "영화를 사랑하는 첫 번째 방법은 같은 영화를 두 번 보는 것이며, 두 번째 방법은 영화평을 쓰는 것이고, 세 번째 방법은 영화를 만드는 것이다." == 관련 항목 == * [[만델라 효과]] [[분류:명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