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식용유)] Cottonseed oil [목차] == 개요 == 면실유([[綿]][[實]][[油]])는 [[목화]]씨에서 짜낸 기름을 말한다. [[식용유]], 샐러드유로 이용되며 200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참치통조림]]을 채운 기름이 바로 면실유였다. 맛은 깔끔하며 별다른 향이 없다. 타는 온도는 232 °C 목화 씨의 핵 부분에는 기름기가 많이 있다. 목화 씨의 겉껍질을 제거하고 특수한 용액으로 기름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정제하지 않은 면실유는 갈색인데다 냄새까지 나서 쓸 수가 없다. 특히 목화 씨에는 고시폴(Gossypol)이라는 유독성분이 있어서 이를 분리하지 않고 다량 섭취하면 신장염과 간장장애, 심부전, 불임 등을 초래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현대에는 고시폴을 암 치료에 활용하려는 연구도 진행하였다.] 포화지방산 26%, 불포화지방산 70% 정도로 구성된다. 콩기름이나 올리브유가 15%정도의 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에 비하면 포화지방산이 상대적으로 조금 많은 편이다. 그러나 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은 [[코코넛 오일]]이나 [[팜유]]에 비하면 그다지 높지 않은 수준이다. 이 면실유에 수소를 첨가해 굳힌 게 최초의 [[쇼트닝]]인 미국 [[프록터 앤드 갬블]] 사의 개발품 크리스코(Crisco)다. == 상세 == 산업혁명 시대 영국에서는 면직물 공업의 발전으로 목화 가공의 부산물인 면실유를 대량으로 생산해 낼 수 있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싸구려 [[생선]]과 [[감자]]를 튀기는 음식을 개발해 냈고, 이것이 영국의 토종 음식 중 하나인 [[피시 앤드 칩스]]의 유래가 되었다. [[미국]]에서는 목화 농장의 흑인 노예들이 유일하게 키울 수 있던 가축인 닭을 키워다가 이 기름으로 튀겨서 먹었고, [[프라이드치킨]]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래서 면실유나 크리스코로 튀기면 미국 남부스타일의 치킨을 맛볼 수 있다. 지금도 상업적으로 대량으로 재배하는 목화 재배 면적이 엄청나게 넓다 보니, 그 부산물인 면실유의 생산도 만만치 않다. 식용유 생산으로써 대두에 이은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참치 통조림]]에 담그는 식용유로 많이 쓰였다. 지금은 [[카놀라유]]를 쓰고 오뚜기 참치의 경우에는 [[대두유]]를 쓰고 있다. [[카놀라유]]나 [[올리브유]]에 비해 싸기 때문에 대량으로 튀김을 하는 식품산업계에서 튀김용 기름으로 많이 쓰인다. 향이 없다는 특징 때문에 식재료의 향을 중요시하는 고급 [[덴뿌라]] 식당에서 종종 사용하기도 한다. [[이세계물]], [[시간여행]] 웹소설에서 가끔 등장한다. 주로 주인공을 좌절케 하는 용도(...) 현대인의 상식은 있지만 깊은 지식은 없는 주인공이 "면화에서 면실유를 만든다고 하지 않았던가?" 하며 압착기로 짜 보는데 실제로 해 보니 웬 시커먼 기름만 떨어지는지라 도무지 튀김(특히 '''치킨''') 용도로는 못 써먹을 물건이기 때문. 현대의 면실유도 위 문단에 쓰여 있는 대로 공장에서 가공 공정을 거쳐야 사람이 먹을 만한 물건이 나온다. [[분류:식물성 식용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