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포로지예주의 행정구역)]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3> {{{#017826 '''[[자포로지예주|{{{#017826 자포로지예주}}}]]의 주도'''}}}[br]{{{#017826 {{{+1 '''멜리토폴'''}}}[br]{{{#017826 '''Мелитополь {{{-2 ([[러시아어|{{{#017826 러}}}]])}}} | Мелітополь {{{-2 ([[우크라이나어|{{{#017826 우}}}]])}}}'''}}}}}} || ||<-2> [[파일:멜리토폴 시기.jpg|width=55%]] || [[파일:멜리토폴 시장.svg|width=55%]] || ||<-2> '''시기''' || '''시장'''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멜리토폴, 너비=100%, 높이=100%)]}}} || ||<-3> '''{{{#ffffff 행정}}}'''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실효지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 전체를 [[자포로지예주]]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 9월 30일에 정식으로 합병되었다.][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 '''행정구역'''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자포로지예주]] 멜리토폴[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자포리자주]] 멜리토폴 || || '''시간대''' ||UTC+2[br]UTC+3 {{{-2 (서머타임)}}} ||}}}}}}}}} || ||<-3> '''{{{#fff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인구''' ||<-2>149,926명^^[[2021년|(2021년)]]^^ || || '''인구 밀도''' ||<-2>3,016.6명/km² || || '''면적''' ||<-2>49.7km² || || '''공용어''' ||<-2>[[러시아어]] ||}}}}}}}}} || ||<-3> '''{{{#fff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시장''' ||<-2>[[갈리나 다닐첸코]][* Галина Данильченко] [include(틀:통합 러시아)] || ||<|3> '''시의회''' || [include(틀:통합 러시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4ea4 calc(22*100%/25), #aaa 0%)" {{{#fff '''22석 / 25석'''}}}}}} || || [include(틀:공정 러시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003 calc(2*100%/25), #aaa 0%)" {{{#fff '''2석 / 25석'''}}}}}} || || [include(틀:러시아 연방 공산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40a00 calc(1*100%/25), #aaa 0%)" {{{#fff '''1석 / 25석'''}}}}}} || }}}}}}}}} || || '''설립''' ||<-2> 1784년 || || '''홈페이지''' ||<-2> [[https://melitopol.zapgov.ru/|[[파일:멜리토폴 시장.svg|width=25]]]][br][[http://www.mlt.gov.ua/|[[파일:멜리토폴 시장(우크라이나).png|width=25]]]] || || '''SNS''' ||<-2> [[https://vk.com/melitopol_adm|[[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width=25]]]] [[https://t.me/melitopoladmin|[[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5]]]] {{{-2 (러시아)}}}[br][[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15396242196|[[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mlt.gov.u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2 (우크라이나)}}} || [목차] [clearfix] == 개요 == '''멜리토폴'''은 [[러시아]] [[자포로지예주]]의 주도이다. [[http://www.council.gov.ru/en/structure/regions/X3/|#]] == 역사 == [[노가이 칸국]]의 마을이 중세시대에 지어졌다. 1769년, [[러시아]] 군인들이 이곳에 요새를 건설했고, [[코사크]]들이 이곳에서 복무하였다. 1784년 [[예카테리나 2세]]가 새로 획득한 땅에 타브리다 현을 설립하도록 칙령을 내렸고, 그 해 [[포템킨 #s-1|그리고리 포템킨]]에 의해 마을이 설립되었다. 1816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지역에서 유입되는 사람들에 의해 인구수가 폭증하였고, 노보알렉산드롭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842년 1월, 도시로 승격되었고 이름 또한 항구도시 멜리타의 이름을 따서 멜리토폴로 바뀌었다. 19세기 후반에는 무역도시로 성장해, 은행과 도매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또한 주철 공장, 기계 공장, 철도차량기지도 도시 경제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1941년 10월 6일, [[소련군]]이 이곳에서 후퇴하자 [[나치 독일]]이 바로 점령하였다. 이후 [[아인자츠그루펜]]에 의해 이곳에 남아있던 [[유대인]] 전체가 점령당한 지 일주일 만에 몰살당했다. 나치 독일은 또한 이곳에 수용소를 만들어 운영하였다. 1943년 10월 23일, [[소련군]]이 다시 이곳을 탈환하였다. 87명의 군사들이 멜리토폴을 탈환한 공로로 [[훈장(상훈)/소련 #s-3.1|영웅 훈장]]을 수여받았다. 2022년 2월 24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가 침공하면서]], 멜리토폴 비행장을 폭격 및 공격하였다. 3월 1일, 시장인 이반 페도로우가 이 도시가 [[러시아군]]이 장악했다고 전했다. 러시아군이 멜리토폴을 점령한 뒤, 멜리토폴의 시민들이 [[반러]] 시위를 진행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Ox2C9amv9VM|#]] 러시아군은 3월 12일 우크라이나의 네오나치 단체 프라비 섹토르를 원조한 혐의로 페도로우를 체포하고(16일 포로 교환으로 석방) 다닐첸코를 임시로 시장 직에 앉혔다. 다닐첸코는 현 시의회를 폐지하고 인민 대의원 위원회를 꾸릴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 [[러시아]] 휘하로 들어갈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듯 시민들에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라고 했으며 [[람잔 카디로프]] [[체첸 공화국]] 수반에게 인도적 지원에 감사를 표했다. [[https://focus.ua/politics/509169-gaulyayter-v-yubke-okkupanty-naznachili-vrio-mera-melitopolya|#]] 2022년 3월 13일, 우크라이나 검찰총장 이리나 베네딕토바는 멜리토폴에서 [[군민정청]] 수립을 시도한 반역죄로 다닐첸코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같은 날, 러시아군에 의해 구금된 페도로우 시장이 권력 이양 문서에 서명해 법적으로 시장이 되었다. 러시아 TV 채널이 멜리토폴에서 방송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유통되는 정보 중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하다"라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28일, 우크라이나 SSO가 크림 반도에서 멜리토폴로 향하는 철교를 끊어놔서 주둔한 러시아군의 보급에 차질이 생겼다. 2022년 6월 7일, 타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가 임명한 갈리나 다닐첸코 멜리토폴 군민정부 시장이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와의 병합을 위한 주민투표 준비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35705?sid=104|#]] 2022년 9월 23일부터 9월 27일까지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가 자포로지예주와 헤르손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에서 진행되었다.[* 러시아는 개표 결과 4개 지역 모두에서 러시아 편입에 찬성이 우세했다고 발표했다.] 2022년 9월 30일,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이 멜리토폴이 속한 [[자포로지예주]]를 헤르손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과 함께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러시아 영토로 병합]]했다.[* 4개 지역의 모든 병합 절차는 2022년 10월 4일 마무리되었다.] 2023년 3월 2일, 거리명 변경을 위한 공공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https://melitopol.zapgov.ru/press-center-news/%d0%bf%d0%b5%d1%80%d0%b5%d0%b8%d0%bc%d0%b5%d0%bd%d0%be%d0%b2%d0%b0%d0%bd%d0%b8%d0%b5-%d0%bc%d0%b5%d0%bb%d0%b8%d1%82%d0%be%d0%bf%d0%be%d0%bb%d1%8c%d1%81%d0%ba%d0%b8%d1%85-%d1%83%d0%bb%d0%b8%d1%86/|#]] 2023년 4월 21일, 시장이 변경되었다. [[https://geraldika.ru/s/4431|#]] == 교통 == 군사 목적 비행장인 멜리토폴 비행장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제25 수송항공여단이 이곳에 배치되었다. 멜리토폴 기차역이 있으며, [[모스크바]]에서 [[크림 반도]]까지 이어지는 노선이 이곳을 지나간다. == 출신 인물 == * [[예브게니 발리츠키]] -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정치인 * [[예우헨 하체리디]] -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 기타 == * 우크라이나 측에서는 원래 러시아 멜리토폴의 시장으로 블라디미르 로고프[* 현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위원장.]가 임명되었다고 발표했으나 관련 정보가 확인되지 않아 실제로 로고프가 시장 업무를 시행했는지 여부는 미지수이다. [[https://www.pravda.com.ua/eng/news/2022/05/14/7346157/index.amp|#]] [[분류:러시아의 도시]][[분류:우크라이나의 도시]][[분류:자포로지예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