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메트리오링쿠스}}}[* [[람포링쿠스]]의 사례처럼 린쿠스가 아닌 링쿠스가 정확한 발음이다.][br]Metriorhynchus}}}''' || ||<-2> [[파일:메트리오린쿠스.jpg|width=100%]] || ||<#F93> '''학명''' || ''' ''Metriorhynchus'' '''[br]Meyer, 1830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상목'''}}}]] ||악어상목^^Crocodylomorpha^^|| || {{{#000 '''계통군'''}}} ||악어형류^^Crocodilyformes^^||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탈라토수쿠스아목^^Thalattosuch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메트리오링쿠스과^^Metriorhynch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메트리오링쿠스아과^^Metriorhynch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메트리오링쿠스속^^''Metriorhynch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메트리오링쿠스 브레비로스트리스(''M. brevirostris'')[* 본래 학명은 †메트오링쿠스 게오프프로이(''M. geoffroyii'')가 맞지만 [[https://academic.oup.com/zoolinnean/article-abstract/192/2/510/5952483?redirectedFrom=fulltext&login=false|2020년의 연구 논문]] 이후로 바뀌었다.]^^{{{-1 [[모식종]]}}}^^ * †~~메트리오링쿠스 수페르킬리오수스(''M. superciliosus'')~~[* 2020년의 [[https://academic.oup.com/zoolinnean/article-abstract/192/2/510/5952483?redirectedFrom=fulltext&login=false|연구 논문]]을 통해 탈라토수쿠스(Thalattosuchus)라는 새로운 속명을 부여받았다.]|| || [[파일:2BD1D7A7-0AC5-4AE5-B7E7-B2B71CC511A7.png |width=45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쥐라기]] 후기에 살던 3m 크기의 '''[[악어]]'''이다. == 연구사 == 속명의 뜻은 '알맞은 주둥이'. 여담으로 [[딱정벌레|딱정벌레]]목의 홍반디과에 속하는 곤충 중에 '''메트리오링쿠스 리피디우스'''(''Metriorrhynchus rhipidius'')라는 학명을 가진 종이 있는데, 보면 알겠지만 '''속명 중간에 'r' 하나가 더 들어가 있어서''' 학명을 인정받았다. 화석은 [[프랑스]]에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악어'라고 하면 떠오르는 생김새와는 영 딴판인데, 이는 육지에 적응한 다른 악어들과는 달리 수중 생활 위주로 적응한 악어이기 때문이다. 위 골격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길고 가느다란 머리와 기다란 몸통, 날씬한 꼬리로 구성된 유선형의 몸체를 가지고 있다. 사지는 아예 지느러미발로 진화했으며, 뒷지느러미발이 앞지느러미발보다 크다. 또 현생 악어의 울퉁불퉁한 외피와는 달리 물의 저항력을 줄이기 위해 부드러운 피부를 가졌고, [[어류]]나 [[어룡]]처럼 꼬리를 좌우로 흔들어 앞으로 나아가는 방식으로 헤엄쳤다. 주둥이는 길고 뾰족하며 원뿔형의 이빨이 달렸고, 턱에 부착된 기다란 근육을 통해 입을 크게 벌릴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어식성으로, [[두족류]]나 어류뿐만 아니라 어룡의 새끼 등 다른 해양 파충류도 잡아먹었을 것이다. 근연종으로는 [[다코사우루스]]와 게오사우루스 등이 있다. == 등장 매체 == [[파일:JfHMZqF.jpg|width=500]] [[BBC]]의 [[Sea Monsters]]에서 챕터 6에서 등장하는데 천적인 [[리오플레우로돈]]이 오기 전에 [[상어]] [[히보두스]]와 함께 [[리드시크티스]] 한 마리를 산채로 뜯어먹었다.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도 전시 가능한 고생물로 등장한다. 다만 등장 시점에는 아직 수중 생물들과 그 전시장이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인지, 지느러미발이 있는 등 수중 생활 위주로 적응한 생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게임에서는 현생 악어와 비슷한 생김새로 등장한다. --의문의 [[양서류]] 취급은 덤-- 아이스 에이지 빌리지에서는 '메트리'라고 불리는 크레타서스의 적대적이지 않은 동족이 메트리오링쿠스로 나오지만 크레타서스의 종족은 어룡이다.[* 참고로 어룡은 실제로 악어보다는 돌고래의 파충류 버전처럼 생겼다.] [[분류:메트리오링쿠스아과]][[분류:고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