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Metro Boomin}}}[br]메트로 부민'''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A09CA6A-E159-48FA-B71C-9B0C859DA90B.jpg |width=100%]]}}}|| || '''본명''' ||Leland Tyler Wayne[br]릴런드 타일러 웨인|| || '''출생''' ||[[1993년]] [[9월 16일]] ([age(1993-09-14)]세) [[미국]] [[미주리|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 '''직업''' ||[[프로듀서]], [[DJ]]|| || '''신체''' ||178cm|| || '''별명''' ||Young Metro, Metro, Boominati|| || '''장르''' ||[[힙합 음악|힙합]], [[트랩(음악)|트랩]], [[컨템퍼러리 R&B|R&B]], [[신스웨이브]]|| || '''종교''' ||[[기독교]]|| || '''솔로 데뷔''' ||[[2013년]] 믹스테잎 ''19 & Boomin''|| || '''레이블''' ||Boominate, Republic|| || '''링크''' ||[[https://instagram.com/metroboomin?igshid=MzRlODBiNWFlZ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ttps://x.com/metroboomin?s=21, 크기=22)]|| [목차] [clearfix] == 개요 == >'''Jumpman, Jumpman, Metro Boomin on production, wow![* [[드레이크]]의 곡 Jumpman 에서 인용.]''' >'''Metro Boomin Want Some More Nigga[* 메트로 부민의 [[시그니처 사운드]] 중 하나. [[Young Thug]]의 곡 'Some More'에서 Young Thug의 파트를 따왔다.]''' >'''If Young Metro Don't Trust You I'm Gon' Shoot You[* 메트로 부민의 [[시그니처 사운드]] 중 하나. [[Future]]와 자신이 스튜디오에서 작업할 당시, Future가 즉흥적으로 했던 말을 녹음해서 현재까지 메트로 자신의 시그니처로 사용하고 있다.]''' >'''Metroo[* [[Young Thug]]의 목소리]''' 본명은 릴런드 타일러 웨인[* Leland Tyler Wayne]으로 '''Metro Boomin'''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힙합 프로듀서. 2010년대 중후반 힙합의 사운드를 주도한 인물 중 하나로, '''현 시점 힙합 씬에서 매우 막강한 영향력을 자랑하는 작곡가'''이다[* 당장 10년대 트랩의 상징과도 같은 곡인 미고스의 'bad and boujee' 부터가 이 사람이 작곡한 노래이다]. 최근의 미국 힙합 씬에서 잘나간다는 래퍼부터 R&B 싱어[* 시그니처 사운드의 주인공들인 [[Young Thug]]과 [[Future]]는 물론, 신인인 [[21 Savage]], [[Kodak Black]], [[Lil Uzi Vert]], [[Gunna]]부터 [[Drake]], [[Post Malone]], [[Travis Scott]], [[Kanye West]], [[Lil Wayne]], [[Big Sean]], [[Gucci Mane]], [[The Weeknd]] 등 어마어마한 아티스트들과 작업을 했다.] 까지 작업을 하지 않은 아티스트가 적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활동량을 보여주는 프로듀서이다. 2018년 4월, 프로듀서로서 은퇴를 발표했으나, 10월 말 이를 번복하고 앨범 <[[Not All Heroes Wear Capes]]>를 발표하며 컴백했다. == 음악 스타일 == 주로 어둡고 몽환적이며 공간감 있는 트랩 비트가 특징이다. 어린시절부터 [[그린데이]]의 [[American Idiot]]을 듣고 특유의 어둡고 퇴폐적인 느낌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신스웨이브]] 스타일의 사운드 디자인,곡구성을 많이 사용하고 [[The Weeknd]] 이전에 [[뉴트로]], 신스웨이브를 트렌디화한 주역중 한명이다. 이러한 스타일을 극대화 시킨 그의 믹스테잎 (2017)는 앨범 컨셉부터 [[사이버펑크]]적 요소가 가미되었고, 백인음악인 신스웨이브[* 일렉트로니카 계열의 장르이기도 하고 주로 백인 남성층 커뮤니티에게 만들어지고 소비되던 마이너한 장르였다.]와 [[트랩(음악)|트랩]]을 절묘하게 크로스오버해, 이 믹스테잎 발매이후 트랩 비트에 8,90년대 신스 사운드가 자주 차용되는등, 많은 비트메이커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다른 트랩 프로듀서와 가장 차별점을 두는 부분은 간결함과 깔끔함이다. 멜로디 구성 자체를 한 마디를 반복하지 않고 무드만 비슷비슷하면서 미묘하게 다르게 찍는지라 비트라기보단 연주곡 느낌이 든다. 따라서 여타 트랩곡과 달리 메트로 부민의 비트는 한 곡을 자주 들어도 쉽게 질리지 않으며[* 특히 [[Gunna]]와 함께한 'Space Cadet'이라는 곡은 메트로 부민의 이러한 특징을 잘 살린 대표적인 히트곡 중 하나이다.] 장시간 들어도 귀가 피로하지 않고 자연스러워 대중들에게도 어필이 쉽기도 하다. '''한마디로 비트가 매우 고급스럽다.''' 컴프레서를 많이 먹여 딴딴한 드럼 사운드와 어택감이 강조된 808 베이스를 사용해 리듬센션을 굉장히 쌈박(?)하게 잘찍는다.[* "트랩은 리듬만 잘찍어도 8할은 먹고 들어간다"..는 소리가 있을정도로 드럼을 잘찍는게 중요한데 그러한 트렌드에 가장 잘맞는 비트메이커라고 볼 수 있다 ] 래퍼 중에선 [[Future]], [[21 Savage]], [[Offset]] 등 멈블 래퍼와 궁합이 상당하다. 특히 [[Future]]와는 메트로 부민이 지금만큼 뜨기 전부터 많은 작업을 해왔던 사이이며 [[Future]]의 히트곡 대부분이 자신의 프로덕션 담당곡이다. 이외에도 [[Pusha T]], [[Kanye West]], [[ScHoolboy Q]], [[Solange Knowles]], [[James Blake]], [[Big Sean]] 등의 아티스트와 작업으로 폭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메트로 부민은 곧 [[Lil Durk]]와 함께 합작 프로젝트 를 발표할 예정이다. [[21 Savage]]와 함께 <[[SAVAGE MODE II]]>를 작업하기도 했다. [[The Weeknd]]의 4집 앨범 <[[After Hours]]>의 총 4곡에 참여했고, 이 중 '<[[Heartless]]>'로 프로덕션 싱글 중 두 번째 빌보드 싱글 차트 '''1위'''를 달성했다. 참여한 곡 중에는 [[Oneohtrix Point Never]]와 함께한 곡 'Untill I Bleed Out'도 있다. [[The Weeknd]]의 5집 [[Dawn FM]]에서도 프로듀서로 참여한 듯 새 앨범과 관련한 트윗들을 리트윗하고 있었지만 결국 참여하지 않았다.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 * (with [[Offset]], [[21 Savage]]) (2017) * (with [[Big Sean]]) (2017) * <[[Not All Heroes Wear Capes]]> (2018) * <[[HEROES & VILLAINS]]> (2022) === EP === * (with [[21 Savage]]) (2016) * <[[SAVAGE MODE II]]> (with [[21 Savage]]) (2020) === 믹스테잎 === * <19 & Boomin> (2013) * (with [[Gucci Mane]]) (2017) * (with [[NAV]]) (2017) == 프로덕션 디스코그래피 == === [[빌보드 핫 100]] 1위 === * [[Migos]] - [[Bad and Boujee]] (feat. [[Lil Uzi Vert]]) (2017)^^3주 연속^^ * [[The Weeknd]] - [[Heartless]] (2019)^^1주^^ === 빌보드 핫 100 2위 === === 빌보드 핫 100 3~10위 === * [[Big Sean]] - Bounce Back (2016)^^6위^^ * [[Post Malone]] - Congratulations (feat. [[Quavo]]) (2017)^^8위^^ * [[Kodak Black]] - Tunnel Vision (2017)^^6위^^ * [[Future]] - Mask Off (2017)^^5위^^ * [[Creepin']] (2022)^^3위^^[* [[The Weeknd]] & [[21 Savage]]와의 합작.] * Superhero (Heroes & Villains) (2022)^^8위^^[* [[Future]] & [[Chris Brown]]과의 합작.] === 빌보드 핫 100 11~20위 === * [[iLovemakonnen]] - Tuesday (feat. [[Drake]]) (2014)^^12위^^ * [[Drake]] & [[Future]] - Jumpman (2015)^^12위^^ * [[Future]] - Low Life (feat. [[The Weeknd]]) (2016)^^18위^^ * [[21 Savage]] - Bank Account (2017)^^12위^^ * [[Gucci Mane]] - I Get the Bag (feat. [[Migos]]) (2017)^^11위^^ * [[Offset]] & [[Metro Boomin]] - Ric Flair Drip (2018)^^13위^^ == 여담 == * [[블랙넛]]이 그의 예명을 본따 Seoul Metro Boomin(서울메트로부민)이라는 예명으로 프로듀서 활동을 하고 있다. [* 시그니처 사운드도 메트로 부민의 'If Young Metro Don't Trust You I'm Gon' Shoot You' 에서 따온 '만약 블랙넛이 너를 못믿으면 그냥 쏴버려' 를 사용하고있다.]역시 블랙넛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지만 외힙에는 아예 관심도 없던 리스너들이 이 예명때문에 메트로 부민을 알게되는 사례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 [[머리띠 #s-2.3 | 반다나]]를 상당히 애용했다. 사진을 찾아봐도 10개중에 9개는 반다나를 착용한 사진일 정도. 2019년 은퇴와 번복 선언 이후 [[드레드록스]] 머리스타일로 바꾼 후에는 반다나를 착용하지 않는다. * 작업 영상등을 보면 [[RAZER]]사의 노트북을 애용하는것으로 보인다. * 프로듀싱에 [[FL Studio]]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https://youtu.be/SC4xMk98Pdc?t=32s|#]] [[https://youtu.be/xXNbt0yCfLQ|#]]유튜브에 메트로부민의 beat making 영상을 모두 찾아봐도 FL Studio만 사용하고 있는걸로 보인다. * [[https://www.instagram.com/p/CORWlK_FVZK/|#]] 최근 들어서는 프로듀싱에 구형 [[Music Production Center|MPC]]를 활용하는 듯하다. * 래퍼 [[Big Sean]]과 2017년 12월 8일에 콜라보 앨범을 공개했다. * 2022년 6월, 모친이 살해당했다. 모친의 남편이 살해 후 자살했다고 알려져 있다. [[https://www.google.com/amp/s/amp.tmz.com/2022/06/05/metro-boomin-mother-killed-by-husband-commits-suicide-after/|#]] * 메트로 부민은 [[X(SNS)|X]]에 자주 "Thank god for the day!"라며 안전하게 하루를 시작한 것에 신에게 감사하다는 트윗을 올린다. 모친을 잃은 끔찍한 상황 이후 한동안 올리지 않았지만, 6월 말 다시 한 번 이 트윗을 올렸고, 반 년만에 [[HEROES & VILLAINS|새 앨범]]을 들고와 공개했다.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의 사운드 트랙에 참여했으며, 영화 속 '메트로 부민 스파이더맨'으로서 짧게 등장했다. * 최근 본인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Future]]와의 앨범을 곧 공개할것을 알렸다. [[분류:미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1993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세인트루이스 출신 인물]][[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