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Metalmorph-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메탈화 마법반사장갑'''|| || 일어판 명칭 ||'''メタル[ruby(化, ruby=か)]・[ruby(魔法反射装甲, ruby=まほうはんしゃそうこう)]'''|| || 영어판 명칭 ||'''Metalmorph'''|| ||<-2> 함정 / 장착 || ||<-2>상대 플레이어가 공격했을 때 필드의 몬스터 1마리를 메탈화시키고 마법 공격이라면 그것을 튕겨낸다. 그 후 장착 카드가 된다.[br]공격력+400 수비력+400||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밴디트 키스]]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준결승 듀얼에서 사용. [[데블 조아]]에게 장착해 [[데블 조아#메탈 데블 조아|메탈 데블 조아]]로 각성시켰다. 이후 [[죠노우치 카츠야]]가 [[흉내쟁이 환술사]]로 이걸 복사해서 [[메탈 붉은 눈의 흑룡]]을 만들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방영 당시 이미 OCG화된 영향인지 '마법반사장갑 메탈포스(魔法反射装甲・メタルフォース)'라는 오리지널 카드로 대체되었으나, [[SBS]] 방영판에서는 원래 카드명이 그대로 표기되었다. 원작에서는 이걸로 등장이 끝이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스텝 죠니]]라는 단역이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재등장. [[음악의 제왕]]에게 장착해 OCG 버전의 효과를 사용했으나, 정작 효과를 잘못 이해하는 바람에 그대로 유우기의 [[블랙 매지션]]에게 파괴당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는 [[죠노우치 카츠야]]가 [[다이나소 류자키]]와의 듀얼에서 발동하여 [[붉은 눈의 흑룡]]에게 장착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노스 분교의 리더 에도가와 유리가 [[만죠메 쥰]]과의 듀얼에서 사용. [[데블 조아]]에게 장착시켜 메탈 데블 조아로 만드는 데 사용했다. 이때 장착 몬스터를 이름 그대로 메탈화시킨 외형으로 바꿨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과 달리[* [[음악의 제왕]]이 장착했을 때 헤비 메탈 로커풍의 외형이 되었고, [[붉은 눈의 흑룡]]이 장착했을 때는 [[메탈 붉은 눈의 흑룡]]의 모습이 되었다. 단, 메탈 붉은 눈을 소환한 게 아니라서 공격력은 2700.] 여기선 일러스트에 나오는 연녹색 빛깔로 코팅된 듯한 모습이 되는 걸로 연출되는데... 아무래도 메탈 데블 조아와 데블 조아가 함께 필드 위에 나타나다 보니 DM 때와는 연출을 바꿨던 모양.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Metalmorph-DM2-JP-VG.png]] || 한글판 명칭 ||'''메탈화 마법반사장갑'''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メタル[ruby(化, ruby=か)]'''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DM2]]~[[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br]'''メタル[ruby(化, ruby=か)]・[ruby(魔法反射装甲, ruby=まほうはんしゃそうこう)]'''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 영어판 명칭 ||'''Metalmorph'''|| ||<-2> 마법 || ||<-2>특정 몬스터를 금속으로 변화시켜, 기계화하는 카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까지는 '메탈화(メタル化)'라는 카드명으로 등장했으며, 기본적으로 [[붉은 눈의 흑룡]]이나 [[데블 조아]]를 각각 [[메탈 붉은 눈의 흑룡]]이나 [[메탈 데블 조아]]로 변화시키기만 할 뿐 별다른 능력치 강화 효과는 없다. 다만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이 카드 2장을 융합시키면 [[천년 방패#천년 방패의 의식|천년 방패의 의식]]으로, [[미궁출현-래버린스 월-#미궁변화|미궁변화]]와 이 카드를 융합하면 [[게이트 가디언의 의식]]이 되는 등 특수 융합 패턴이 일부 마련되어 있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メタル化・魔法反射装甲.jpg|width=100%]] || [[파일:15AXJPM메탈화마법반사장갑.jpg|width=100%]] || || 일반판 || [[프리미엄 팩]] 5 버전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메탈화 마법반사장갑, 일어판명칭=メタル()魔法反射装甲(まほうはんしゃそうこう), 영어판명칭=Metalmorph, 효과1=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공격력 / 수비력 300 올리는 장착 카드로 취급하고\,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효과로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몬스터에 공격하는 데미지 계산시에만\, 그 공격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의 수치만큼 올린다.)] 발동 후 장착 카드가 되어 장착 몬스터를 강화하는 효과, 전투를 실행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을 얻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장착 함정 카드. [[쇠사슬 폭탄]]에 비하면 공격력 상승 폭은 적지만 공격 시 한정으로 엄청나게 상승한다. 일단 '원래 공격력 + 300'이 상대 카드의 공격력의 1/2보다 높기만 하면 되니 어지간히 큰 차이가 아니고서는 거의 무조건 전투에서 이긴다. 단적으로 공격력 1200짜리 몬스터가 이거 한 장으로 [[푸른 눈의 백룡]]과 자폭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아쉽게도 상대의 공격 시에는 효과가 발동되지 않으니 취약하다. 그런 주제에 함정 카드라 뽑은 턴에 바로 쓰지도 못한다. ①의 효과는 원작에서 공격력/수비력을 400 올려주며 몬스터를 기계족으로 만드는 효과였으나,[* 이 때문에 [[메탈 데블 조아]]와 [[메탈 붉은 눈의 흑룡]]은 모두 원본 몬스터보다 공격력이 400 올라가 있다.] 종족 변화 효과가 없어졌으며 공격력 / 수비력의 증가 폭이 각각 300 포인트로 조정되었다. 원작에는 없었다가, OCG화되면서 추가된 2번 효과는 장착 몬스터에게 [[사이버 오우거#사이버 오우거 2|사이버 오우거 2]]와 같은 효과를 부여해 준다. 그 당시의 설정으로 기계족은 마법 효과를 튕겨내는 효과를 지닌 몬스터들이였으므로 사실상 몬스터에게 마법 면역을 주는 카드였지만, 어째서인지 실제로 카드가 나왔을때는 이런 효과가 되었다. ~~덕분에 메탈화 몬스터들의 존재 의의가 사라졌다.~~ 오랫동안 묻혀있던 고대 카드였으나 [[라뷰린스]]에서 이 카드를 재발굴하였다. 이유는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나 [[혼돈의 전사 카오스 솔저]], [[L·G·D]] 등 고타점 내성 몬스터를 전투로 돌파하기 위해서다. 종종 [[크샤트리라]]에서 다속성, 고레벨의 몬스터를 다수 전개할 수 있다는 점을 살려 이런 링크 몬스터들을 채용하곤 하는데, 이 카드와 레이디 오브 더 라뷰린스를 사용하면 타점 6000 어라이벌도 6300으로 뚫을 수 있게 된다.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의 경우 특수 소환한 레이디 오브 라뷰린스에 장착하면 돌파할 수 없지만[* 먼저 레라뷰의 공격력이 3300에서 아스트람의 공격력을 참조해 1500 올라 4800이 되고, 아스트람의 효과가 발동해 아스트람의 공격력이 4800 올라 7800이 된다. 그 직후 아스트람의 공격력을 재참조해 1500이 아닌 3900이 오르지만, 레라뷰의 공격력은 최종적으로 7200이 되기 때문에 레라뷰가 터진다. 메탈화 마법반사장갑의 ②의 효과는 지속 효과이기 때문에 [[사신 드레드루트]]처럼 발동한 효과로 변동된 공격력을 재참조하여 다시 적용하는 재정이기 때문.[[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cggame&no=1294911&exception_mode=recommend&page=1|#]]] 대신 일반 소환한 아리안나에 장착해서 돌파하는 것이 가능하며, 쿠클락으로 세트한 턴에 바로 발동하거나 레이디 오브 라뷰린스의 효과로 서치하기도 쉬운 등 일반 함정을 서포트하는 라뷰린스에서 써먹기도 좋은 편이다. 다만 무효나 제거 효과가 전혀 없는 카드기 때문에 저 상황 이외에는 사실상 사용 가치가 없는 카드가 되어버린다는 큰 단점이 있다. 그나마 3위 입상 덱에서 쓰인 기록이 있는 [[머슈맨]]과 달리 실제 대회 환경에선 실적이 없어[* 정확히는 어느 대회 참가자가 1장 쓴 것이 화제가 되긴 했지만, 본선은커녕 예선에서 탈락했다.] 발굴 당시부터 거품이라는 평가가 더 크다. 그래도 발매된 지 20년 넘게 지난 카드가 티어 덱에서의 용도가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머슈맨과 함께 꽤 화제가 되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遊戯王真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封印されし記憶 付属カード]] || -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5]] || P5-06 || [[울트라 레어]][br][[패러렐 레어]] || 일본 || 절판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2]] || TP02-JP011 || [[노멀]] || 일본 || 절판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反撃のジャスティス!!-]] || DT03-JP046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T]]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일본 || 절판 || || [[머시너즈의 지령|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マシンナーズ・コマンド-]] || SD18-JP033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デュエリストセット Ver.マシンギア・トルーパーズ]] || DS14-JPM27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의 영광|決闘者の栄光-記憶の断片- side:武藤遊戯]] || 15AX-JPM52 || [[노멀]][br][[밀레니엄 레어]] || 일본 || ||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 DR01-JPC28 || [[노멀]] || 일본 || || ||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Yu-Gi-Oh! Forbidden Memories Premium Edition promotional cards]] || FMR-003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br]절판 ||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 PP01-EN014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미국 || 절판 || || [[머시너즈의 지령|Machina Mayhem Structure Deck]] || SDMM-EN033 || [[노멀]] || 미국 ||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2]] || DT02-EN046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T]]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미국 || 절판 ||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World Championship 2011 Card Pack]] || WP11-EN020 || [[노멀]] || 미국 || 절판 || || Star Pack 2013 || SP13-EN042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173 || [[노멀]][br][[패러렐 레어|모자이크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 LCJW-EN075 || [[노멀]] || 미국 || || || Battle Pack 3: Monster League || BP03-EN189 || [[노멀]][br][[패러렐 레어|섀터포일 레어]] || 미국 || || || [[듀얼리스트 세트|Geargia Rampage Structure Deck]] || SDGR-EN031 || [[노멀]] || 미국 || ||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 MIL1-EN045 || [[노멀]] || 미국 || || || Speed Duel: Scars of Battle || SBSC-EN030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Speed Duel GX: Duel Academy Box || SGX1-END17 || [[노멀]] || 미국 ||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Vol.2]] || TP02-KR01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 [[머시너즈의 지령|스트럭처 덱 - 머시너즈의 지령 -]] || SD18-KR033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세트|듀얼리스트 세트 「Ver.머신기아 트루퍼즈」]] || DS14-KRM30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듀얼리스트의 영광|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유희]] || 15AX-KRM52 || [[노멀]][br][[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OCG화된 카드 === ==== [[메탈 데블 조아]] ==== [[데블 조아]] 메탈화 버전. ==== [[메탈 붉은 눈의 흑룡]] ==== [[붉은 눈의 흑룡]]의 메탈화 버전. ====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 [[붉은 눈의 암룡]]의 메탈화 버전. ==== [[레어메탈화 마법반사장갑]] ==== ==== [[메탈화 기생생물#메탈화 기생생물-루나타이트|메탈화 기생생물-루나타이트]] ==== ==== [[메탈화 기생생물#메탈화 기생생물-솔타이트|메탈화 기생생물-솔타이트]] ==== ==== [[블랙 메탈 드래곤]] ====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마법반사장갑 메탈플러스]]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