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프로야구/1군구장)] [include(틀: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이지진구 야구장 로고.svg|width=50%]]}}} || ||<-2>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2> '''{{{+2 메이지 진구 야구장}}}[br]明治神宮野球場 | Meiji Jingu Stadium''' || || '''위치''' ||[[도쿄도]] [[신주쿠구]] 카스미가오카마치 3-1|| || '''기공''' ||[[1925년]] [[12월]]|| || '''개장''' ||[[1926년]] [[10월 22일]]|| || '''홈 구단'''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토에이 플라이어즈]] (1962~1963)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073180,#7fa9f8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1964~ )'''|| || '''수용인원''' ||37,933석|| || '''건축비용''' ||1926년 기준 약 53만 엔|| || '''크기''' ||좌우측 폴대 - 97.5m[br]좌우중간 - 112.3m[br]중앙 - 120m[br]펜스 높이 - 3.5m|| || '''잔디''' ||인조잔디|| ||<-2> {{{#000 [[http://www.jingu-stadium.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ingu_stadiumpr, 크기=25)] | [[https://instagram.com/jingu_stadiump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明治神宮野球場, 너비=100%, 높이=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이지진구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이지진구2.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도쿄도]] [[신주쿠구]]의 가스미가오카마치(霞ヶ丘町)에 소재한 [[야구장]]. [[간사이]]의 [[한신 고시엔 구장]]과 쌍벽을 이루는 '''일본 학생 야구의 성지'''이며, [[일본프로야구]]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홈구장이다''' . 구장 명칭은 구장의 부지가 [[메이지 신궁]]의 외원(진구가이엔)[* 神宮外苑. 메이지 신궁 본체와는 센다가야 시가지를 사이에 두고 1km 이상 뚝 떨어져 있다.]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지어진 것으로 구장의 소유권 또한 메이지 신궁 법인이 갖고 있다. 부속 시설로 주로 고교 야구 및 골프연습장으로 사용되는 제 2구장이 있다. 일본프로야구 12개 구단 본거지 중 고시엔 다음으로 오래된 구장으로 개장 100년이 가까워진 데다 증축이나 리모델링을 제대로 한 적이 없어 시설 측면에서 낙후되어 있다. 진구가이엔의 재개발에 맞추어 럭비장과 부지를 맞바꾸어 재건축이 될 예정이다. == 상세 == === 프로경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ingu3.jpg|width=100%]]}}}|| 프로 구단이 쓰기 시작한 것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토에이 플라이어즈]]가 원 본거지인 고마자와 구장이 [[1964 도쿄 올림픽]] 축구장 부지로 선정되어 헐리는(...) 바람에 [[집시 롯데|떠돌이 신세]]가 되자 1962년에 임시로 사용하면서부터였다. 처음엔 몇 년만 쓰고 나갈 예정이였고 실제로 토에이는 2년만에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쓰던[* 이전에 같이 쓴 적은 있다.] [[고라쿠엔 구장]]을 같이 쓰기로 합의하면서 나갔다. 그런데 코쿠테츠 스왈로즈, 그러니까 지금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갑툭튀하여 진구 구장을 쓰겠다고 선언하고 짐 싸서 들어와 버렸다.[* 그 뒤 후신 닛타쿠홈과 일본햄 포함하여 1980년까지 준본거지 구장으로서 많은 시합이 열렸고 1973~1977년까지는 롯데 오리온즈 주최 시합경기도 개최됐다.] 물론 2년 동안 토에이가 쓰는 것조차 아니꼽게 보던 대학 야구회에서는 맹반대했다. 이에 당시 모기업인 [[일본국유철도]] 측에서는[* 근데 정작 [[일본국유철도]]는 1965년 시즌 도중 야구단을 [[산케이 신문]] 측에 팔아 버렸다(...) 이후 1969년 [[야쿠르트]]에 다시 매각되어 지금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된다.] 들어가는 대신에 노후화된 시설을 대대적으로 수리하고 증축까지 해주겠다는 조건을 내걸고 간신히 합의하여 눌러앉는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1978년 일본시리즈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의 홈 경기는 [[고라쿠엔 스타디움|고라쿠엔 구장]]에서 벌어졌다. 이유는 당시 [[도쿄 6대학]] 연맹의 경기 일정과 겹쳤기 때문.[* 수정 전 관중수용량이 3만 명 미만 때문이란 잘못된 정보가 적혀있었다. 이미 토에이가 [[1962년 일본시리즈]]를 여기서 치른 바 있다. 다만, 홈 경기인 5차전은 [[고라쿠엔 스타디움|고라쿠엔 구장]]에서 치뤘다.] 그리고 3년 뒤, [[일본국유철도]]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대규모 증축 공사를 시행하여 현대적인 구장으로 탈바꿈시켰다. ~~저때 일본국철 적자 행진으로 허덕이던 때인데?~~[* 1980년대 일본국유철도는 이미 회생 불능 상태여서 [[국철재건법]]을 통해 신규 노선 건설을 중단하거나 [[특정지방교통선|기존 노선을 폐선하거나 제3섹터로 넘기는 등]] 갱생을 위해 눈물나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철의 상태는 이 정도 노력만으로는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1987년 [[JR그룹]] 발족과 같이 [[민영화]]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정부가 같이 보유하던 [[일본항공]]도 같이 민영화되었다.] 그리고 이 진구 구장을 사용하는 프로팀은 계속해서 진구 구장을 아마 야구인들을 위해 개보수하는 의무를 지게 하였다. 가장 최근의 리모델링은 2007년 시즌 종료 후 이루어졌다. [[목동 야구장|아마와 프로가 함께 쓰는 구장]]이면서도 상당히 깔끔하고 편한 상태를 유지 중이다. 그래도 지은 지 오래된, 프로와 아마가 함께 쓰는 구장에 프로팀 자체가 다른 구단들에 비해 돈이 많은 것도 아니라 다른 프로팀의 홈 구장들에 비해서는 락커룸이나 기타 선수들을 위한 제반시설이 다소 열악한 편으로, 2000년대 이후 야쿠르트에서 자주 부상자가 나오는 이유[* 이를 두고 나온 말이 '''"야전병원(ヤ戦病院)"'''.]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 === 대학야구의 성지 === 진구 구장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의 홈 경기장일 뿐만 아니라, 일본 고교야구에서 [[한신 고시엔 구장]]을 성지로 여기는 것처럼 대학 야구에선 진구 구장이 성지로 여겨진다. 1929년부터 [[도쿄 6대학]] 리그, 도토 대학야구연맹 리그 경기 및 전일본대학야구선수권대회가 열린다.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고시엔]]의 도쿄 지역 예선도 동-서지구 공통으로 8강전부터 여기서 치르며, 고시엔의 도쿄 예선은 전국구 레벨로 치열하다. 실제로 최근 10년간 열린 여름 고시엔 중 2번을 (2006년의 와세다 실업 고교, 2011년의 니혼대학부속 제 3고교 등) 서도쿄지구 출신 팀들이 제패한 바 있다. 그래서 [[아다치 미츠루]]가 그린 고교야구 만화에서는 고시엔보다 진구 구장이 더 자주 나온다.[* 고시엔 구장을 중점적으로 등장시키는 만화는 주인공 팀들이 결승까지 올라가는 [[H2]] 정도. 나머지 [[터치(만화)|터치]]나 [[크로스 게임]] 등에서는 도쿄 지역예선을 제패해 고시엔에 진출하는 정도에서 스토리를 완결하므로 고시엔을 그릴 일이 별로 없다.] 대학야구 스케줄 때문에 메이지진구 구장에서는 주말 경기 상당수가 야간에 편성된다. 오후에는 대학야구 경기가 있기 때문. 또한 월요일에 이 구장에서 대학야구 경기를 하기도 한다. === 역사 === || [[파일:external/www.jingu-stadium.com/img_history_01_02.jpg|width=500]] || || 건설 당시 모습. || [[https://www.google.co.kr/maps/place/%EB%A9%94%EC%9D%B4%EC%A7%80+%EC%A7%84%EA%B5%AC+%EC%95%BC%EA%B5%AC%EC%9E%A5/@35.6749735,139.7163075,912m/data=!3m1!1e3!4m2!3m1!1s0x0:0xd77cdd9acee43080|카스미가오카(霞ヶ丘)]]는 원래 다이묘의 사격장과 구 육군의 연병장 부지가 있던 곳으로, [[메이지 덴노]] 사후 신궁과 더불어 서양식 공원으로 조성된 부지이다. 이후 1910~20년대에 [[일본]]에서 학생계몽운동 등으로 '학생들에게 좋은 시설을 주자'는 시류를 따라 육상경기장과 야구장 등의 체육시설이 조성되었으며, 이 때 야구장은 공사비를 신궁 측의 후원단체와 [[도쿄 6대학]] 야구 연맹이 분담함에 따라 구장은 신궁이 보유하고 대학을 중심으로 한 아마추어 경기를 우선으로 하게 되었다. || [[파일:external/www.jingu-stadium.com/img_history_01_14.jpg|width=500]] || || [[파일:external/www.library.metro.tokyo.jp/31_008.jpg|width=500]] || || 완공 직후 모습. 위는 사진이고 아래는 조감도. || 1925년 10월 22일에 국립 경기장이 완성되었는데, 야구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1926년 10월 22일에 완공되었다. 총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53만 엔으로[* [[https://www.boj.or.jp/announcements/education/oshiete/history/j12.htm/|일본은행 자료의 기업물가]]로 환산할 경우 2017년 가치로는 2.8억 엔이 된다.] 이 중 48만 엔을 메이지 신궁 봉찬회에서, 5만엔을 [[도쿄 6대학]] 야구 연맹에서 부담하였다. 이후 1931년 도쿄 6대학 연맹에서 다시 55만 엔을 들여 확장 공사를 했다. 1934년 [[베이브 루스]]를 필두로 한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방일했을 때 이곳에서 경기를 가졌다. 미국의 야구장들이 대부분 재개발되면서 2023년 현재 베이브 루스가 뛴 경기장은 메이지진구를 포함해 전세계에 3곳밖에 남지 않았다. 1956년에는 진구 가이엔의 관할이 정리되어 육상 경기장은 정부(문부성)로 이관되고 야구장을 포함한 나머지 시설은 메이지 신궁 법인에 불하되었다. 원래 가이엔과 무관하게 민간에서 건설한 럭비장은 1962년 국가 관할에 들어갔다. 이 곳에서 [[1958 도쿄 아시안 게임]]과 [[1964 도쿄 올림픽]]이 개최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일본 스포츠의 성지와도 같은 곳. 야구장도 [[한신 고시엔 구장]] 다음으로 일본에서 두 번째로 오래되었다. 한국의 [[동대문야구장]]보다 1년 늦게 지어졌으며, 실제로도 위상이 비슷하다. || [[파일:external/www.library.metro.tokyo.jp/31_007.jpg|width=100%]] || || 완공된 직후의 카스미가오카. || 구장 근처에는 국유 시설인 국립 카스미가오카 경기장이 있다. 북서쪽으로 [[2020 도쿄 올림픽]]의 주경기장인 [[도쿄 신국립 경기장]][* 사진 왼편에 보이는 건물이다. 2015년까지는 구 국립 경기장([[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이 있었다.], 남쪽으로는 [[치치부노미야 럭비장]]이 인접해 있다. 육상 경기장은 원래 야구장과 같이 메이지 신궁의 소유였다가 1956년 국가에 이관된 것이며, 럭비장은 처음부터 메이지 신궁과 무관했다. || [[파일:zjfGdqFr.jpg|width=100%]] || || 도쿄 국립경기장의 전경. [br] 위에서부터 '''[[치치부노미야 럭비장]]''' / '''메이지진구 야구장''' / '''메이지제2구장''' /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은 [[2020 도쿄 올림픽]]을 위해 철거되었고, [[도쿄 신국립 경기장]]이 그 자리에 건설되었다.] 이다. || || [[파일:TokyoOLstadium6.jpg|width=100%]] || || [[도쿄 국립경기장]]이 완공된 이후의 전경. || 아울러 구장의 소재지는 하라주쿠에 인접하고 그 땅값 비싼 아오야마 일대로, 국유지 없이 경기장을 만든다면 저런 노른자위같은 땅에 짓기는 애초에 무리일 정도로 입지가 좋다. === 재건축 계획 === 개장 90년을 넘긴 현재 노후화 문제가 지적되어 2020년 올림픽 후에는 인접한 럭비장과 함께 재건축될 예정이다. 2017년에 보도된 [[https://www.sanspo.com/sports/news/20170728/oly17072812560001-n1.html|기사]]에 의하면 우선 북쪽의 제2구장을 철거하여 럭비장을 1단계 신축하고, 다시 럭비장을 철거한 부지에 야구장을 신축할 계획에 있다. 신축 구장의 개장은 2032년으로 예정되어 있다.([[https://www.iza.ne.jp/article/20210624-EN5S3L2BRNOIBK7L5NNXTCV5ZI/|기사]]) 그러나, 구장 주변 진구가이엔 재개발 계획에 대한 도쿄도민들의 반응은 녹지가 부족한 도쿄에서 나무를 베고 이를 고층 빌딩으로 채운다는 점에서 의외로 부정적이다. [[사카모토 류이치]]도 생전에 반대 의견을 표하기도 했으며, [[샌드위치맨(오와라이)|샌드위치맨]] 다테, 토미자와도 재개발이 꼭 필요하냐고 부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이 외에도 [[쿠와타 케이스케]], [[무라카미 하루키]] 등의 유명 인사들도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 여담 == * 여담으로 스피드건 구속 측정이 다른 구장에 비해 후하게 나오는 편이라고 한다. [[마크 크룬]], [[사토 요시노리]], [[임창용]] 등 [[오타니 쇼헤이]] 이전에 160km/h를 넘긴 [[일본프로야구]] 최고구속 기록은 십중팔구 진구에서 찍혔다고 생각하면 된다.~~여기서 [[키타무라 코우]]가 160을 찍기도 했다.~~ * NPB 구장들 중 유일하게 불펜 시설이 없다. [[링센트럴 콜리세움|파울 지역에 만든 간이 마운드와 홈플레이트에서 투구 연습을 해야 하므로 간간히 날아오는 파울볼에 그대로 뒤집어진다.]] * 2007년까지 좌, 우측폴대까지의 거리가 91m에 불과해 좌우측 펜스가 가장 짧은 [[사직 야구장]](95m)[*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모델로 했다.]보다 더 작은 구장이었다. 2007 시즌 후 10억 엔을 들여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했고 양쪽을 98m로 확장하였으며 외야 펜스 높이를 3.5m에서 4.5m로 높이는 등 일부 변화를 주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일본 프로야구]] 1군 홈구장들 중에서는 가장 홈런이 잘 나오고 타자친화적인 구장이다. 덕분에 이 구장을 홈으로 쓰는 야쿠르트는 홈런타자를 중심으로 한 뻥야구를 팀 컬러로 삼고 있다. 특히 외야가 좁아서 수비하기는 편한 덕에 외야수비는 허접하지만 장타력이 뛰어난 선수들([[알렉스 라미레스]], [[블라디미르 발렌틴]], [[도밍고 산타나]] 등)을 용병으로 많이 데려오고, 이 선수들의 허접한 수비는 아예 공이 외야로 못 나가도록 땅볼투수들을 데려와 메꾸는 편이다. 다만 땅볼투수라는게 BABIP, 운빨을 좀 많이 타는 만큼 장타력이 강점이고 투수진이 고질적 약점인 팀. 삼진율 높은 파이어볼러도 좋아는 하지만, 이 팀 지갑사정이 그리 좋지가 않아서 자주 영입은 못하는 편이다. * 1969년 4월 펜스광고가 설치되었으며 1981년 한번 폐지되었다가 2000년대 초기부터 벤치 부근, 2006년부터 외야 부분에 펜스광고가 설치되었다. * 1989년 8월 7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친선경기가 열렸다. * [[2020년 도쿄 올림픽]] 위원회에서 올림픽 기간 전후 약 7개월 동안 이 구장을 스포츠 물품창고(...)로 사용하려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전술되었듯 진구 구장은 프로야구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외에도 많은 대학팀들이 같이 사용하는 구장이기 때문에[* 대학야구에 우선 사용권을 주면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는 주말 야간 홈경기를 많이 한다.] 이 계획이 정말 실현된다면 피해가 만만치 않을 것이다. 결국 2016년 4월 26일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구단과 대학연맹에서 이 계획을 거부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http://headlines.yahoo.co.jp/hl?a=20160426-00000051-dal-base.view-000|링크]] 여론 또한 야구나 소프트볼 경기 개최를 위해서라면 모를까, 고시엔과 더불어 일본 야구의 성지 중 하나인 진구 구장을 창고 대용으로 사용하겠다는 계획에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단, 프로야구는 올림픽 기간 동안 시즌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후 2016년 5월에 전용 기간을 80일로 줄이고 용도를 내빈 대응 용도로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조직위원회와 프로, 아마 야구 단체가 합의를 보았다. [[https://mainichi.jp/sportsspecial/articles/20160514/k00/00m/050/110000c|기사]] 2018년에는 전용 기간이 70일로 확정되었다.([[https://www.nikkansports.com/baseball/news/201807240000674.html|기사]]) 사실 이 곳은 올림픽 주경기장인 [[도쿄 신국립 경기장]] 바로 옆에 있기 때문에 어차피 올림픽 무렵이 되면 보안구역으로 설정할 수 밖에 없어서, 성지건 어쩌건 간에 올림픽 때 일반 야구 경기를 치르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하다. 그러니 그냥 경기장을 비워놓으니 자재창고라도 활용하는게 적절하기에 이렇게 된 것이다. 현실적으로도 육상경기에 개폐회식까지 치르려면 경기장 이외의 공간이 필요한데, 현실적으로 그럴 곳이 별로 없으니 이곳을 활용하는게 베스트이기도 하고. 실례로 한국의 경우에도 [[2018 평창 동계올림픽]]때 강릉에 위치한 빙상 경기장들 한 가운데 [[강릉종합운동장]]이 위치한 관계로 이곳도 같이 보안구역으로 설정할 수 밖에 없었고, 그때문에 [[강원FC]]가 강릉에서 홈경기를 치를 수 없게 되어 평창과 춘천으로 홈구장을 옮겼고, 이 경기장은 올림픽 기간 중 직원, 자원봉사자 사무실 등으로 활용된 사례가 있다. * [[도쿄 돔]]과 더불어 [[도쿄]]를 기반으로 하는 시계 회사인 [[SEIKO|세이코]]가 시계 스폰서를 한다. * 일본 여성 아이돌 그룹인 [[노기자카46]]가 매년 이 곳에서 여름 콘서트 투어를 진행하기도 한다.(2014년 8월 30일, 2015년 8월 30일 · 31일, 2016년 8월 28일 - 30일, 2017년 7월 1일 · 2일, 2018년 7월 6일 - 8일 , 2019년 8월 30일 - 9월 1일, 2022년 8월 29일 - 31일 , 2023년 8월 25일 - 28일) * 1루측 관람석에서 [[NTT 도코모 요요기 빌딩]]을 맞바로 볼 수 있다. 야간경기 시 해질녘의 풍경이 상당히 괜찮다. ~~야구 관람도 하고 신카이 마코토 화보집도 보고~~ * 한신전에서는 [[도쿄온도]]만 나오면 '''35,650명의 관중들이 하나가 되어 '죽어라 요미우리'를 외친다. 한신의 홈구장인 [[한신 고시엔 구장]]과 똑같다...''' * 구장 길 건너편에 있는 닛폰 세이넨칸 호텔(日本青年館ホテル)의 일부 객실과 로비에서는 야구장의 그라운드가 한눈에 들어온다. 조명탑으로 인해서 약간 가리는 부분도 있지만 [[리글리 필드|스코어보드도 선명하게 보이고 경기를 관람하는 데 아무 지장이 없을 정도]][* 아니 스코어보드가 시야에 방해가 되는 리글리 필드의 루프탑 관람석보다 가리는 게 거의 없어 훨씬 전망이 좋다.] [[로저스 센터|호텔방에서 맥주 마시면서 야구를 관람하는 특별한 체험]]을 해보고 싶으면 이 호텔에 숙박하면서 체크인 할 때 구장 쪽 방을 달라고 요구해보자. 운이 좋으면 한국인 스탭이 카운터에 근무 중일 수도 있고 일본인 스탭들도 일본 호텔 치고는 비교적 영어를 잘하는 편이라 의사소통에 큰 문제는 없다. 해당 호텔에서도 로비나 식당에서 야구를 관람할 수 있다는 것을 어필하고 있기도 하고. 호텔 자체도 2017년에 리뉴얼 오픈한 호텔이라 매우 깔끔하고 방도 일반적인 일본의 호텔에 비해서는 조금 여유가 있는 편이다. 저녁에 열리는 프로야구 뿐만 아니라 오전 중에는 도쿄 6대학 리그의 리그전도 열리기 때문에 아침부터 호텔방에서 야구를 직관하는 진귀한 체험이 가능하다. 2020년 시즌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무관중으로 개막을 하고 완화된 후에도 입장 관중을 5000명으로 제한을 하자 해당 호텔의 야구장이 보이는 쪽의 객실 예약이 쇄도하여 방을 구할 수가 없다고 한다. * 구장에서 동쪽 방향의 부지에는 연식야구나 소프트볼 등으로 쓰이는 운동장이 있다. 문제는 진구 야구장에서 프로야구 경기 전에 보통 대학 경기가 열리는 탓에 프로 선수들의 워밍업을 본 구장에서는 못하고 연식야구장에서 하는 일이 흔하다. * 진구 구장도 은근히 먹을 게 많은 편이다. 모듬소시지와 감자튀김, 맥주가 유명한 편. [[http://www.jingu-stadium.com/shop_info/lp/recommendation/gourmet%20guide.pdf|2019년 구루메가이드]] 구장에 [[배스킨라빈스]]도 있으며, 맥주 반값데이 걸리면 [[잠실야구장]]보다 싼값으로 맥주를 마실 수 있다. * 2020년 6월 21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주니치 드래건스간의 경기에서 --무관중 시합이라-- 중계음성이 그라운드로 들어가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https://m.sports.naver.com/news.nhn?oid=477&aid=0000249502|관련기사]] 문제는 중계방송을 하면서 아나운서가 "포수가 바깥쪽으로 빠져 앉았습니다.", "몸쪽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등등의 멘트가 그라운드로 그대로 전달되면서 본의아니게 [[사인 훔치기|타자에게 사인을 유출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었다. 그래서 주니치의 [[요다 츠요시]] 감독이 강력하게 항의를 했고. 그렇다고 중계를 안 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 일단 임시방편으로 중계석 앞에 투명 가림막을 설치해서 중계 내용이 그라운드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고 한다. [[e스포츠]] 초기([[타임머신#s-6|타임머신]] 도입 이전)의 [[귀맵]] 논란이 연상되는 사건이다. * 2020년 10월 24일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경기에서 아라시 페스티벌의 풍선이 날라와 경기가 중단된 적이 있었다.(...) ([[https://youtu.be/vhZbv7dnOgM|영상]]) == 교통편 == 인근 지하철역으로는 [[긴자선]]의 [[가이엔마에역]], [[긴자선]], [[한조몬선]], [[오에도선]]의 [[아오야마잇초메역]], [[오에도선]] [[코쿠리츠쿄기죠역]], 그리고 [[츄오-소부선]]의 [[시나노마치역]]이 있다. JR [[센다가야역]]도 도보 권역이긴 하나 국립경기장의 공사 탓에 경로가 불편한 편. 여담이지만 [[너의 이름은.]]에서 자주 등장한 시나노마치역 앞 육교 등의 배경 스팟이 줄줄이 나온다.[* 아닌 게 아니라 시나노마치역 인근이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생활권이어서 인근 배경이 감독의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한다. [[언어의 정원]]에 등장하는 신주쿠 교엔도 멀지 않은 곳에 있다.] [[레이싱 게임]]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에서 3부터 단골로 나온 도쿄 R246 코스에서도 진구구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각주] [[분류:일본의 야구장]][[분류:일본의 공연장]][[분류:신주쿠구]][[분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