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천문학]][[분류:항성]] [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5><:> [[메시에 천체 목록|{{{#FFFFFF '''메시에 천체'''}}}]] || || {{{#000000 {{{+1 '''[[메시에 39|M39]]'''}}} [br] '''메시에 39'''}}} [br] 백조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M40'''}}}[br] '''메시에 40'''}}} [br] 큰곰자리의 이중성 ||<:> {{{+1 →}}} || {{{#000000 {{{+1 '''[[메시에 41|M41]]'''}}} [br] '''메시에 41'''}}} [br] 큰개자리의 산개성단 || ||||<-3><:> {{{#FFFFFF '''M40'''[br]{{{+3 '''메시에 40'''}}}[br]Messier 40}}} || ||||<-3> [[파일:external/scienceblogs.com/messier-40.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A: 12h 22m 12.5278s [br] B: 12h 22m 18.9989s || || {{{#FFFFFF 적위}}} || A: +58° 4′ 58.539″ [br] B: +58° 5′ 10.364″ || || {{{#FFFFFF 별자리}}} || [[큰곰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광학적 [[이중성]] [br] A: [[거성|K0III형 거성]] [br] B: [[황색 주계열성|G0V형 주계열성]] || ||<|2> {{{#FFFFFF '''거리'''}}} || {{{#FFFFFF A}}} || 350±30 [[파섹]][br] 1,140±100 [[광년]] || || {{{#FFFFFF B}}} || 140±5 [[파섹]] [br] 460±20 [[광년]] || ||<|2> {{{#FFFFFF '''질량'''}}} || {{{#FFFFFF A}}} || 1.1''M,,☉,,'' || || {{{#FFFFFF B}}} || 1.2''M,,☉,,'' || ||<|2> {{{#FFFFFF '''운동'''}}} ||<|2> {{{#FFFFFF 시선속도}}} || A: -37.67(±0.28) km/s || || B: 30.64(±1.08) km/s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2> {{{#FFFFFF '''겉보기 등급'''}}} || 8.4 || || A: 9.64, B: 10.11 || ||<-3> {{{#FFFFFF '''명칭'''}}} || ||<-3> [[메시에 천체 목록|M]]40, Winnecke 4, WNC 4, BD+56 1372[br] CCDM 12223+5805, WDS J12222+5805 || ||<-3> A: HD 238107, SAO 28353 [br] B: HD 238108, SAO 28355 || [목차] == 개요 == {{{+1 Messier 40 / WNC 4}}} '''M40'''은 [[큰곰자리]]에 있는 [[이중성]]이다.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였다. == 역사 == 1764년 10월 24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17세기에 활동한 천문학자인 요한 헤벨리우스가 [[성운]]이 있다고 보고한 지역을 훑어 보다 성운은 찾지 못하고 이 별만 찾아 위치를 '''정확히''' 기록하였다.[* 메시에는 헤벨리우스가 관측을 할 때 색수차가 심한 망원경으로 봐서 이 별이 성운처럼 보였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당시에는 색지움 렌즈가 없었으니 그럴 만도 하다. 하지만 사실 헤벨리우스가 관측한 별은 근처에 있는 다른 두 별이었다.] 문제는 [[메시에 천체 목록]]이 본디 [[혜성]]과 혼동할 만한 [[성운]]이나 [[성단]]을 기록한 것인데 뜬금없이 별이 기록되어 있는데다 그가 1764년 기록을 할 때에 바쁜 나머지 이전에 ''nébuleuse'' 즉, 성운이라고 적어놓은 것을 누락하여 그대로 책에 실리게 되었다. 그 때문에 [[샤를 메시에]]만은 이 '''별'''에 대해 정확히 설명하고 위치를 기록했지만 이후에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을 비롯한 많은 천문학자들이 '''성운'''을 찾지 못하고 근 200년을 ''사라진 천체''로 보낸다. 그 후 1863년 독일의 천문학자 Friedrich August Theodor Winnecke(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테오도어 비네케, 이하 비네케)가 독자적으로 같은 위치에서 발견하여 자신의 목록에 기록하였고 WNC 4(Winnecke #4)가 되었다.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external/messier.seds.org/m40.jpg|width=100%]]}}} || || 1966년 6월 13일 애리조나주 프레스콧에서 12.5인치 반사망원경으로 10분 노출하여 찍은 M40 || 그 후 1966년 미국의 천문학자 존 말라스가 WNC 4의 기록과 [[메시에 천체 목록]]의 기록을 분석해 메시에가 M40을 '별 2개'라 묘사한 것을 확인하여 WNC 4가 M40이라는 것을 입증하였고, 이로써 약 200년만에 '''실종'''되었던 이 별은 다시 M40이라 불리우게 되었다. 헤벨리우스가 M40의 위치에서 봤다는 성운은 M40 근처에 있는 나선은하 NGC 4290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위의 흑백 사진에서 M40 왼쪽에 보이는 은하가 바로 이 은하이다.] 이 은하는 겉보기등급이 12등급정도 되는데 당시의 큰 망원경으로는 볼 수 있는 은하였지만 메시에가 사용했던 망원경이 이것을 볼 만큼 좋지 않아 메시에가 놓쳤을 수도 있다. == 특징 == M40은 [[메시에 천체 목록]]에서 유일무이한 광학적 [[이중성]][* 맨눈으로는 하나로 보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두 별로 보이는 별을 이중성이라 한다. 그 중 단순히 비슷한 시선에 있어서 둘로 보이는 광학적 이중성과 실제로 가까이 붙어 있는 물리적 이중성으로 나뉜다.]이자 근 200년간 사람들에게 빅엿을 먹인 천체 중 하나이다.[* 현재도 사람들에게 빅엿을 먹이는 메시에 목록에는 [[메시에 102|M102]]가 있다. 그 외의 메시에 목록은 오류가 정정되었다.] 두 별은 [[겉보기등급]]이 각각 9.6등급과 10.1등급이며 [[분광형]]은 각각 G0III과 K0V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각각 460광년, 1,140광년 정도이다. 1991년에 히파르코스 위성이 관측한 데이터와 예전 기록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두 별의 간격이 서서히 멀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01년 브라이언 스키프, 2002년 리처드 뉴젠트 등이 두 별이 물리적 이중성이 아닌 광학적 이중성임을 제안하였고. 가이아 위성의 더 정확한 데이터에 의해 두 별은 사실 600광년 가까이 떨어져 있는 아무 상관없는 별임이 밝혀졌다. == 위치 및 찾는 방법 == [[파일:external/freestarcharts.com/M40_M97_M108_M109_Finder_Chart.jpg]] M40은 우리가 흔히 [[북두칠성]]이라 부르는 국자 모양에서 바가지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별이자 가장 어두운 별인 메그레즈의 북동쪽으로 약 2° 떨어져 있다. ==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 [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