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집트 파라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A0522D '''이집트 제1중간기 제10왕조 4대 파라오[br]{{{+1 메리카레}}}[br]Merikar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gypte_louvre_249_palette.jpg|width=100%]][br]{{{-2 당시 서기였던 오르카우케티(Orkaukhety)의 팔레트, 메리카레의 카르투슈가 새겨져 있다.}}}}}} || ||<-2> '''휘''' ||메리카레(Merikare)[* 혹은 Merykare, Merykara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 ||<-2> '''부왕''' ||[[와카레 케티]]로 추정 || ||<-2> '''선대''' ||[[와카레 케티]]로 추정 || ||<-2> '''후대''' ||이름 없는 임시 후계자가 있었거나 [br][[멘투호테프 2세]]로 추정 || ||<-2> '''묘지''' ||메리카레의 피라미드 || ||<-2><|2> '''재위''' || '''{{{#000 이집트 파라오}}}''' || ||연도는 불명이나 재위기간은 50년으로 추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집트 제1중간기]] 10왕조의 4대이자 마지막으로 추정되는 파라오이다. == 통치 == [[와카레 케티]]의 오랜 통치[* 50년동안 통치했다. 뭔가를 많이 했을 거로 추측되지만 정확히 뭘 했는지는 기록이 부실하여 알 수 없다.]를 이어 기원전 2075년경에 즉위했다. 7왕조부터 이집트의 영역이 남부로 점점더 쇠퇴하다가 [[와카레 케티]]대에 들어서는 완전히 이집트 남부 영역까지 후퇴했는데, 아버지인 와카레 케티의 뜻을 이어받아 북부 이집트와 헤라클레오폴리트, 테베 지역을 [[나는 관대하다|관대하게]] 별개의 왕국으로 인정했다. 또한 남부의 반란을 제압하는등 10왕조에 걸맞지 않을 정도로 성군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11왕조의 대대적인 침공에 의해 급격하게 다시 쇠퇴하기 시작했고, 이름없는 후계자가 5대 파라오에 오르고 얼마 안지나서 [[멘투호테프 2세]]에 의해 10왕조는 막을 내렸다. == 메리카레의 피라미드 == 메리카레는 역사적으로 피라미드를 지었을 것으로 밝혀졌다. 건설한 시기는 대략 기원전 2040년경이고, 이름은 와지 수트 메리카레(Wadj Sut Merikare)[* "번영은 메리카레의 거처이다"]이다. 메리카레의 피라미드는 헤라클레오폴리스를 수도로 삼은 왕조에서 유일하게 역사적으로 확인된 피라미드이기도 하다. 1926년 영국의 이집트학자 세실 말라비 퍼스트(Cecil Mallaby Firth)는 [[테티#s-3|테티의 피라미드]] 남동쪽에서 메리카레의 피라미드를 발견했다고 주장했으나 해당 구조물은 테티의 피라미드 단지의 작은 제사용 피라미드로 밝혀졌다. 또한 다른 이집트학자들은 [[멩카우호르#s-4|머리 없는 피라미드]]가 메리카레의 피라미드라고 주장하였으나 해당 주장도 2008년 이집트학자 자히 하와스의 주도 아래 발굴을 하였을 때 해당 피라미드가 5왕조의 [[멩카우호르]] 소유의 피라미드임을 밝혀내어 거짓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메리카레의 피라미드는 사카라 어딘가에 위치한다는 것 외에는 밝혀진 것이 없다. [[분류:파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