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메리 제이 블라이즈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VH1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include(틀:Essence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R&B 아티스트)] ---- [include(틀:Essence 선정 역대 최고의 R&B 솔로 가수)] ---- [include(틀:빌보드 선정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 [[그래미 어워드|[[파일:Grammy.svg|width=50]]]] ||<:> '''[[그래미 어워드|{{{#DAA520 그래미 어워드}}}]] [br]{{{+2 {{{#DAA520 9회 수상}}}}}}''' [* 총 37회 후보 지명]||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1 {{{#e5d85c '''최우수 R&B 앨범상'''}}}}}} || || {{{-1 제48회[br]([[2006년]])}}} || → || {{{-1 '''제49회[br]([[2007년]])'''}}} || → || {{{-1 제50회[br]([[2008년]])}}} || || {{{-1 "Get Lifted" - [[존 레전드]]}}} || → || {{{-1 '''"The Breakthrough"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 || {{{-1 "Funk This" - [[샤카 칸]]}}} || ||<-5> {{{-1 {{{#e5d85c '''최우수 여성 R&B 보컬 퍼포먼스상'''}}}}}} || || {{{-1 제48회[br]([[2006년]])}}} || → || {{{-1 '''제49회[br]([[2007년]])'''}}} || → || {{{-1 제50회[br]([[2008년]])}}} || || {{{-1 "[[We Belong Together]]" - [[머라이어 캐리]]}}} || → || {{{-1 '''"[[Be Without You]]"'''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 || {{{-1 "[[As I Am#s-2|No One]]" - [[앨리샤 키스]]}}} ||}}}}}} ||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앨범))]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여성 아티스트)]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1990년대 아티스트,순위=91)] ---- ||<#0c0000><-5> {{{-1 {{{#e5d85c '''역대 [[에미상|{{{#e5d85c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 ||<-5> [[파일:emmylogo.png|width=160]] || ||<#0c0000><-5> {{{-1 {{{#e5d85c '''최우수 버라이어티 스페셜상 (생방송)'''}}}}}} || || {{{-1 '''[[제73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제73회]][br]([[2021년]])'''}}} || → || {{{-1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제74회]][br]([[2022년]])'''}}} || → || {{{-1 '''[[제75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제75회]][br]([[2023년]])'''}}} || || {{{-1 [[스티븐 콜베어]][br](스티븐 콜베어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특집)}}} || → || {{{-1 [[닥터드레]], [[스눕 독]], '''메리 제이 블라이즈''', [[에미넴]], [[켄드릭 라마]], [[50 센트]][br]'''(펩시 슈퍼볼 LVI 하프타임 쇼)'''}}}[* 메인 출연자 자격으로 수상.] || → || || ---- [include(틀:역대 BET 어워드 평생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메리 제이 블라이즈,영어명=MARY J. BLIGE,분야=음악,입성날짜=2018년 1월 11일,위치=6201)] ---- }}} || ||<-2> ''' {{{+1 메리 제이 블라이즈}}}[br]Mary J. Blige'''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mjb.jpg |width=100%]]}}} || || '''본명''' ||Mary Jane Blige[br]메리 제인 블라이즈 || ||<|2> '''출생''' ||[[1971년]] [[1월 11일]] ([age(1971-01-11)]세) || ||[[뉴욕주]] [[뉴욕시]] [[브롱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데뷔''' ||1992년 1집 ''[[What's the 411?]]''|| || '''활동 기간''' ||1988년 ~ 현재|| || '''장르''' ||[[힙합 음악|힙합]], [[소울 음악|소울]], [[컨템퍼러리 R&B|R&B]] || || '''신체''' ||175cm || || '''배우자''' ||켄두 아이작 ^^(2003-2018: 이혼)^^ || || '''링크''' ||[[https://instagram.com/therealmaryjblige?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maryjblig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ryjblige, 크기=22)] [[https://www.youtube.com/user/maryjbligemusi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서명''' ||[[파일:marylogo-e1566065566308.pn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hI7GqHxr7EE)] > '''Queen of the Hip-hop soul''' 미국의 아티스트. Queen of the Hip-hop soul[* [[:분류:힙합 소울|힙합 소울]]의 여왕. 힙합 소울은 컨템퍼러리 R&B의 하위 장르이다.]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2000년대를 대표하는 가수 중 하나로 꼽힌다. 메리 제이 블라이즈의 목소리는 정말 이 장르를 하기위해 태어난 사람처럼 소울풀하다. 특히 힙합 소울과 [[컨템퍼러리 R&B|알앤비]]에서 그녀의 실력이 보인다. 전세계적으로 4500만장의 앨범 판매고를 올리는 등 상업적으로도 성공한 가수이다. 2010년대 이후부터는 [[엄브렐러 아카데미(드라마)]] 등에 출연하며 배우로도 활발히 활동하면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슈퍼볼 56]]의 하프타임 쇼에 [[닥터 드레]], [[켄드릭 라마]], [[에미넴]], [[스눕 독]], 즉 닥터 드레 사단과 함께 공연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 상세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자선가이다. 1991년 Uptown Record사에서 데뷔를 했고, 지금까지 13개의 앨범을 발매하였으며, 그중 8개는 전세계적으로 멀티플래티넘을 받았다. 지금까지 9개의 [[그래미]]상, 세번의 [[골든글로브]]상을 받았다. 그리고 두번이나 [[아카데미 시상식]]에 노미네이트되었다. 1992년에 첫 앨범인 '[[What's the 411?]]'으로 데뷔했고, 1994년도에 두번째 앨범 '[[My Life]]'가 발매되었다. 두 앨범 모두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 선정되었다.[* 각각 271위, 126위] == 생애 == === 데뷔 이전 === [[뉴욕 주]]에서 자랐다, 7살 때까지 [[조지아 주]] 사바나에서 유년기를 보내기도 했다. 부모님과 다시 뉴욕으로 돌아온 후에 뉴욕 주 욘커스에 위치한 the Schlobohm Housing Projects에 거주했다. 엄마는 간호사였고 아빠는 재즈 뮤지션이었다고 한다. 1970년대 중반, 아빠가 가족을 떠난 후로는 엄마의 수입에 의존해 살았다. 이후, 조지아 주 리치몬드 힐에 살기 시작했다. [[휘트니 휴스턴]], [[아레사 프랭클린]]과 같은 미국 흑인 음악의 전설적인 가수들이 노래를 교회에서 배운 것처럼 그곳에 위치한 Pentecostal 교회에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앞으로 여러 시련을 겪고 뉴욕에 위치한 Schlobohm Houses로 이사를 가 엄마, 언니와 함께지냈다. 고등학교에서 자퇴한 후 음악 커리어를 쌓기 위해 Pride라고 불리는 밴드에서 짧게나마 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 실력을 인정받아 Uptown Record와 계악을 해서 그 회사에서 가장 젊고 첫번째 여성 아티스트가 되었다고. === 1집 [[What's the 411?]]와 2집 [[My Life]] === 소속사와 계약 후에 예명인 [[펍 대디|Puff Daddy]]로도 알려져있는 프로듀서 Sean Combs(션 콤즈)와 일하기를 시작했다.[* 이 당시는 래퍼가 아니라 업타운 레코드의 프로듀서로 일했었다. 펍 대디가 래퍼로 전향한 것은 그의 친구 [[비기]]가 사망한 직후인 1997년이다.] 그는 책임 프로듀서로 앨범의 중요부분을 담당했다. 1집 < [[What's the 411?]] >의 제목 중 '411'은 과거 메리의 직업이었던 전화교환수에서 따왔다고 한다. 1집 < [[What's the 411?]] >은 1992년 7월 28일 발표되었고 평론가들에게 긍정적인 평을 얻었다. [[빌보드 200]] 6위, Top R&B/Hip-Hop Albums부분에서는 1위를 찍었다. [[Soul Train|Soul Train Music Awards]]에서 2개의 상을 받았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만 300만장이 넘게 팔렸다. 또 90년대의 중요한 앨범 중 하나로 평을 받아왔다. 힙합 비트에 곁들어진 메리의 목소리는 [[컨템퍼러리 R&B|Contemporary R&B]]에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 영향력 == === 그가 영향을 받은 사람 === * [[아레사 프랭클린]] * [[샤카 칸]] * [[니나 시몬]] * [[티나 터너]] * [[휘트니 휴스턴]] * [[머라이어 캐리]] * [[자넷 잭슨]] * [[빌리 홀리데이]] * [[글래디스 나이트]] * [[마빈 게이]] * [[패티 라벨]] * [[루서 밴드로스]] === 그가 영향을 준 사람 === * [[비욘세]] * [[Adele|아델]] * [[제시 제이]] * [[리아나]] * [[테일러 스위프트]] * [[카디비]] * [[Lizzo]]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1. [[What's the 411?]] (1992) * 2. [[My Life]] (1994) * 3. Share My World (1997) * 4. Mary (1999) * 5. No More Drama (2001) * 6. Love & Life (2003) * 7. The Breakthrough (2005) * 8. Growing Pains (2007) * 9. Stronger with Each Tear (2009) * 10. My Life II... The Journey Continues (Act 1) (2011) * 11. A Mary Christmas (2013) * 12. The London Sessions (2014) * 13. Strength of a Woman (2017) === 싱글 === ||<-4> '''{{{#fff Mary J. Blige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50]]]] Hot 100 기록}}}''' || || '''순위''' || '''연도''' || '''곡명''' || '''비고''' || || '''#1^^(6주)^^''' || '''2001''' || '''[[Family Affair]]''' || || ||<|2> #2 || 1996 || [[Not Gon' Cry]] || || || 2006 || Runaway Love ||[* [[Ludacris]] 곡을 피쳐링] || ||<|2> #3 || 1995 || [[I'll Be There for You / You're All I Need to Get By]][* [[마빈 게이]]와 테미 터렐의 1968년 곡 [[You're All I Need to Get By]]를 차용한 곡이다.] ||[* Method Man의 곡을 피쳐링]|| || 2005 || [[Be Without You]] || || || #7 || 1992 || [[Real Love(메리 제이 블라이즈)|Real Love]] || || || #11 || 2008 || [[Just Stand Up!]] || [* with Various Artists] || || #12 || 2002 || [[Rainy Dayz]] || [* feat. [[Ja Rule]]] || || #14 || 1996 || [[Touch Me Tease Me]] || [* Case의 곡을 Foxy Brown과 함께 피쳐링] || || #15 || 2001 || [[No More Drama]] || || || #21 || 1997 || I Can Love You || [* feat. [[Lil' Kim]]] || ||<|3> #22 || 1995 || I'm Goin' Down || || || 2003 || Love @ 1st Sight || [* feat. Method Man]|| || 2007 || Just Fine || || || #24 || 1997 || Everything || || || #28 || 1992 || [[Sweet Thing]] || || ||<|4> #29 || 1992 || [[You Remind Me]] || [* 데뷔 싱글] || || 1994 || Be Happy || || || 2003 || Ooh! || || || 2009 || Remember Me || [* [[T.I.]] 곡에 피쳐링] || || #32 || 2006 || Enough Cryin || || || #38 || 2000 || 911 || [* Wyclef Jean의 곡에 피쳐링] || || #39 || 1995 || Mary Jane (All Night Long) || || || #41 || 2003 || Not Today || [* featuring Eve] || == 여담 == [[Sia]]의 출세곡 Titanium을 원래 부르기로 했던 가수였다. [[케이티 페리]]에게 이 데모를 줬다가 Firework와 너무 비슷하다고 거절당한 시아가 그녀에게 줄 데모를 우연히 입수한 [[다비드 게타]]가 데모에다가 그냥 프로듀싱을 했는데 초대박이 나 버렸다. 허나 시아는 이 때 은퇴를 생각하고 있었던 입장이라 게타가 사과를 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2009년의 마지막 히트곡 [[Empire State Of Mind]]의 보컬 역시 원래 메리 제이 블라이즈를 고려하고 있었다고 한다. [[분류:메리 제이 블라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