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메리 마이 데드 바디}}}''' (2023)[br]關於我和鬼變成家人的那件事[* '나와 귀신이 가족이 된 일에 대해서'라는 뜻이다.][br]Marry My Dead Body}}} || || '''장르''' ||코미디, 액션 || || '''감독''' ||청웨이하오(程偉豪) || || '''각본''' ||오근용(吳瑾蓉), 청웨이하오 || || '''원작''' ||뇌치량(賴致良) - 시나리오 '關於我和鬼變成家人的那件事'[* 대만의 '제1회 들풀 프로젝트: 작가-감독 신인 창작 대회'(第一屆野草計畫·編導新秀創意戰)의 '심사위원 선정 창작 스토리 1등상'(評審團最佳創意故事首獎) 수상작.] || || '''제작''' ||임사긍(林仕肯) || || '''주연''' ||[[허광한]], [[임백굉]] || || '''주제곡''' ||[[채의림]] - '親愛的對象' || || '''제작사'''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Calendar Studios(金盞花大影業)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리안컨텐츠 || || '''배급사'''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Calendar Studios, Bole Film(伯樂影業)[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리안컨텐츠, 원더스튜디오 || || '''개봉일'''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17일([[금마장|금마장 영화제]]), 2023년 2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5월 17일 || || '''상영 시간''' ||129분 || || '''제작비''' ||'''6,000만 [[대만 달러]]'''[* [[https://www.mirrormedia.mg/story/20230209insight004/|출처]], 한화로 개봉시점인 2023년 5월 기준 25억 7천 4백만원 정도.] || || '''월드 박스오피스''' ||'''2,978,391달러'''[*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22742964/?ref_=bo_se_r_1|출처: boxofficemojo]], 한화로 개봉시점인 2023년 5월 기준 39억 3천만원 정도.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 || '''상영 등급'''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 '''공식 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marrymydeadbody|페이스북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만의 2023년 영화. 2022년에 대만의 [[금마장|금마장 영화제]]에서 최초로 소개되었다. 한국에서는 2023년 5월에 개봉했다. 감독은 청웨이하오(程偉豪)이고, [[허광한]], [[임백굉]] 등이 출연했다. ##== 포스터 == == 예고편 == [youtube(NrJmyoJ5b-w)] == 시놉시스 == >''''붉은 봉투를 줍는 자, 운명을 거스를 수 없다!'''' > >혈기왕성한 형사 우밍한은 >중요한 사건 현장에서 도로에 흩어진 증거물을 수집하던 중 >의문의 붉은 봉투를 발견하고 무심코 줍는다. >그때부터 밍한에게 벌어지는 불길한 사건들! >자신에게 다가온 '운명'을 한사코 거부하던 밍한은 >거듭되는 생명의 위협에 마지못해 인생 최대의 결심을 하는데... >얼결에 '부부'가 된 귀신과 최악의 빌런을 잡기 위해 >인간+귀신 콤비가 벌이는 극강의 공조 수사! >코믹과 액션을 버무리고 감동과 반전까지 가미한, 풀옵션 오감으로 즐기는 블록버스터. >인류애 넘치는 콤비의 격정적인 공조가 마침내 시작된다! > >'''이 콤비도, 두 사람의 공조 수사도 완전히 다 미쳤다!!!''' >---- >출처: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63878|다음 영화]] == 등장인물 == * 우밍한(吳明翰) ([[허광한]]) 사건 현장에서 우연히 붉은 봉투를 주웠다가, 그때부터 불운한 일이 생기고 귀신이 보이기 시작하고, 결국 어쩔수 없이 '운명의 상대'라는 마오방위와 영혼결혼을 한 경찰. 정강(正港)의 경찰서 수사1과에 소속되어 근무 중이었다가 파출소로 전출되어 다시 수사1과로 복귀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붉은 봉투를 주운 뒤부터 다른 이들에게 보이지 않던 귀신이 보이기 시작한다. * 마오방위(毛邦羽) ([[임백굉]]) 마오마오(毛毛)라는 애칭으로 불리우는 남자. 교통사고로 사망했는데, 이승에 한이 남아서 성불하지 못했다. 동성애자이다. * 린즈칭(林子晴) ([[왕정(배우)|왕정]]) 우밍한과 같이 수사1과에서 일하는 여경. 야심이 크다. * 마오정궈(毛正國) (탁종화) 마오방위의 아버지. 고시직한 성격이다. * 마오천아란(毛陳阿蘭) (왕만교) 마오방위의 할머니. 마오방위가 생전에 할머니인 마오천아란에게 결혼하겠다고 약속했는데, 꿈을 이루지 못하고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마오방위의 영혼결혼을 위해 붉은 봉투를 만든 장본인. * 린샤오위안(林孝遠) (채진남)[* 여담으로 잠시 마오방위가 빙의되어 [[임백굉]]이 된 것처럼 연기하는 장면이 있다.] 마약 조직의 두목. 우밍한이 일하던 수사1과에서 증거를 잡기 위해 추적 중이다. * 장융캉(張永康) (마념선) 우밍한과 린즈칭이 일하는 수사1과의 수사과장. 린샤오위안의 마약 조직을 쫓는 작전의 총책임자. * 샤오마오(小毛) 마오방위가 기르던 강아지. 우밍한이 거두어 기른다. '앉아'와 '빵야'를 굉장히 잘한다. == 설정 == * 귀신 - 이 영화에서의 귀신은 이승에 미련이 남아 있으면, [[성불]]하지 못하고 남아있게 된다는 개념이다. 언제건 빙의가 가능하나, 빙의하면 사람이 가진 [[양기#s-1]] 때문에 음기가 약해진다고 한다. 약해지면 몸이 흐릿해진다. 약해진 음기는 향불을 통해서 회복할 수 있다.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삽입곡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bDczEBeZHk)]}}}|| || {{{#373a3c,#ddd '''[[채의림]] - 愛無赦'''[* 이 영화에 타이업된 2007년 발표곡이다. 위 영상은 발표 당시 나온 MV 영상이기 때문에, 영화와는 무관하다. 영어 제목은 'Bravo Lover'이다.]}}} ---- 총격전 장면에서 삽입되었다. || === 주제곡(엔딩곡)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mNrRVp-SBc)]}}}|| || {{{#373a3c,#ddd '''[[채의림]] - 親愛的對象'''[* 영어 제목은 'Untitled'이다.]}}} || ##== 평가 == ## ## ## 영화 코드란, 개별 영화를 구분하기 위해 숫자나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번호입니다. 해당 사이트 URL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메타크리틱의 경우 'https://www.metacritic.com/movie/aquaman/critic-reviews'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 'aquaman' 부분이 코드입니다. ## 야후 재팬 영화의 경우 'https://movies.yahoo.co.jp/movie/%E3%82%A2%E3%82%AF%E3%82%A2%E3%83%9E%E3%83%B3/365472/'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일본어 부분은 무시하고 '365472'만 적으면 됩니다. ## 왓챠의 경우 URL이 'https://watcha.net/mv/aquaman-2018' 형식에서 'https://watcha.com/ko-KR/contents/mWqJbZX' 형식으로 바뀌었습니다. 'mWqJbZX'가 코드입니다. ## ## ## ## 영화코드와 평점을 입력하고 해당 틀 앞에 ##을 제거시 틀이 표시됩니다. ## 점수를 넣지않고 빈 틀만 넣는 것은 '추가 바람'이고 규정상 금지되어 있습니다. https://board.namu.wiki/b/qna/2833648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코드, critic=XX, user=X.X)]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코드, tomato=XX, popcorn=XX)] ## 틀:평가/IMDb - 틀:평가/레터박스 는 list= 또는 rank= 매개변수를 쓸 때만 해당리스트가 표시됩니다. ##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X.X, list=IMDb Top 250 등의 리스트명, rank=XXX)] ##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rank=XXX)] ##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코드, presse=X.X, spectateurs=X.X)] ##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영화코드, MYMOVIES=X.XX, CRITICA=X.XX, PUBBLICO=X.XX)] ##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코드, light=XX.XX)] ##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X.XX, audience=X.XX, user=X.XX)] ##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XX)] ##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X±)] ##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RogeEbet.com,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코드, user=X.XX)] ##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 code=영화코드, user=X.XX)] ##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 기타 == * 청웨이하오는 내한 뒤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수입 상영되는 기존의 대만 영화는 멜로물이나, 대만현대사를 다룬 역사물, 퀴어물이 주류인데, 이 작품은 다소 혼합 장르가 아닌가 묻는 기자의 질문에, 자신의 영화는 그러한 범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며 비록 동성애 캐릭터가 나오지만 상업영화이다 보니 추리극의 형태를 띄고, 형사가 펼치는 액션이나, 코미디에 가깝다고 소개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8&aid=0000055837|#]] * 청웨이하오는 이 작품의 후속편이 있느냐는 질문에 같은 세계관을 가지고 허광한이 사건을 해결하는 형태의 후속작을 제작 중이라고 인터뷰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8&aid=0000055837|#]] * 프로듀서인 진바이륜는 인터뷰에서 극 중에서 축의금으로 6,000[[대만 달러]][* 한국 개봉 시점에서 한화로 26만원 정도이다.]를 준비한 장면에 대해서, 흐를 류(流)와 여섯 육(六)이 중국 발음이 같아서 결혼 생활이 순조롭기를 바란다는 의미의 보편적인 대만 문화라고 설명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8&aid=0000055837|#]] == 둘러보기 == [include(틀:필름마크)] [[분류:2023년 영화]][[분류:대만의 코미디 영화]][[분류:대만의 액션 영화]][[분류:추리 영화]][[분류:아시아의 버디 무비]][[분류:12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