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farm6.static.flickr.com/5552552940_7f189a6cfc.jpg]] [목차] == 개요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의 [[가공의 작품|극중극 마법소녀물]] '스타더스트☆위치 메루루(星くず☆うぃちメルル)'의 주인공. 성우는 [[타무라 유카리]]. 캐릭터디자인은 [[요시자키 미네]].[* [[개구리 중사 케로로]]의 원작자이며 [[https://youtu.be/mOwgdc_0XVQ|케로로 7기 ED]]에 나오는 그 춤을 가져다 썼다.] 변신전의 본명은 '''아카보시 메루'''다. == 상세 == [[코우사카 키리노]]가 매우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배틀물이며 광선을 쏘아댄다던가 테마가 우정이라고 묘사되는것을 보면 사실상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가 원형임을 알 수 있다. 물론 메루루의 원형 역시 그 주인공인 [[타카마치 나노하]]이며 작중에서 메루루의 성우를 맡은 호시노 쿠라라는 '''나노하와 성우가 같다.''' 오프닝 가사도 심히 비범하여 [[쿠로네코(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쿠로네코]]의 요약에 따르면 [[스타라이트 브레이커|전력으로 전개하는 마법]]을 [[타카마치 나노하|제로 거리에서 날려줄 테니]] [[페이트 테스타로사|움직이지 마 짜샤]]. 보다시피 전파송에다가 변신 장면도 위험하기 짝이 없다. TV판에선 대량의 리본으로 가렸다지만. 결정적으로 [[타카마치 나노하|누구]]가 생각나는 게 친구라는 소녀인 알파 오메가를 '''웃으면서''' 메테오 임팩트로 꿰뚫어 증발시킨다. 하지만 매지컬 필드 안에서 일어난 일이라 죽은 사람도 재생 가능. 보면 알겠지만 [[봉절]]에서 따온 것이다. 상당한 인기를 끌어서 미국이나 유럽에도 방영되었으며 키리노가 일본에 돌아온후인 약 6월경의 시점에서 3기가 방영되었다. 2기의 마지막에 우주 최강의 스타더스트 위치가 된 메루루가 다크 위치가 되고, 메루루에 맞서 싸우는 3명의 새로운 주인공이 등장한다는 충격적인 내용이다. ~~그리고 [[브리짓 에반스|이걸 예언한 사람]]이 있다~~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500px-Dark_Witch_Meruru.png]] 내여귀 2기 1화에 나온 '''다크 위치 메루루'''의 모습. '''우주로 날아오르더니 지구를 [[개발살]]내 버렸다(...).''' [[쿠루스 카나코]]는 코스프레하면 메루루와 똑같이 생겼으며 성우도 메루루와 동일. 이는 4권에서 아라가키 아야세에게 속아서 코스프레 대회에 메루루 코스프레로 참가하고 1위를 먹음으로서 인증되었다. 이 코스프레 대회의 관객이었던 키리노는 친구를 보고 코피를 흘리는 장면을 연출하였다. 근데 정작 그게 카나코인지는 못 알아본다(...). '스타더스트☆위치 메루루 3기 방영직전 팬 감사제'에 갔을때는 카나코인지 알고는 있는데 아마 아야세에게 피규어를 선물받을때 자초지종을 알게된 듯 하다 후속작 [[에로망가 선생]]에서도 이 작품이 등장하는데, 아예 이 작품을 만든 각본가와 감독이 직접 등장한다. 각본가 아오이 마키나는 아예 새로운 히로인으로 등장했다. 제작진이 극중극 속에 들어가다니. 소설판 일러스트와 TV판 일러스트의 복장이 상당히 다른데, 소설쪽에서는 말 그대로 '옷이 리본 뿐'이라는 엄청 위험한 차림을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작중의 TV판은 수위 탓인지 상당히 많이 바뀐 편. 그런데 작중 DVD판[* 이 문서 가장 위의 이미지.]에서는 원작의 묘사대로 변했다. 게다가 소설에서 메루루는 [[바르디슈]]와 비슷하게 생긴 파괴병기를 사용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냥 요술봉으로 순화되었다. 애니판 블루레이&DVD 특전 영상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사실 메루루한테도 '''오빠가 있으며 사이가 매우 좋다고 한다.''' 원작에선 9권에서 메루루가 '''여동생물'''이라는 언급. 즉 까놓고 말해 결국 '''키리노가 좋아하는 작품들은 게임, 애니 불문하고 전부 여동생물'''이란 결론이 나온다. 참고로 [[https://youtu.be/iI1-MjWIN-Y|오프닝 PV]]가 존재한다. 제목은 めてお☆いんぱくと. 그리고 [[유튜브]] 합성계에서 메루메루 거리는 장면만 반복하는 [[밈]]을 만들어냈다. [[http://www.youtube.com/watch?v=25D3HbUZShk|'''10시간''' 동안 메루메루]] [[나래하제]]팀에서 [[http://www.naraehaje.com/songs/146174|더빙까지 나왔다.]] 비록 창작물 속의 창작물일 뿐이지만 오프닝 PV가 꽤나 인기가 좋다. 관련 매드무비로 오케스트라 버전 등 2차창작이 꽤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오프닝 후반에 메루루의 공격으로 에로스의 사지가 찢어지는 듯한 묘사와 그 다음에 마법으로 도시가 파괴되는 듯한 장면이 나와서 오히려 메루루가 악당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 인기에 힘입어 결국 [[http://alonestar.egloos.com/4761600|'''넨도로이드 피규어''']]로도 출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njNPuDkAJ|더빙도 나왔다.]] [[왈도체|힘쌔고 강해보인다!]][* 티비플의 '''[[박준원(성우)|마스터딸기]]'''의 첫 더빙작~~이자 전설의 레전드~~으로서, 그 덕에 원본 티비플 영상은 구름에 파묻혀서 보기가 매우 힘들었었다. 이 때문에 티비플에서는 마스터딸기의 스타더스트 위치 메루루의 더빙을 사실상 원본 취급하고 있다. 옆의 바카야로이드도 해당 더빙 버전의 패러디. 그리고 해당 티비플러는 이후 진짜 성우가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99zTYvePT4/374629|키라도 한국어!!로 따라 불렀다카더라.]] 등장인물 * 아카호시 메루/메루루 - CV: [[타무라 유카리|호시노 쿠라라]] ([[쿠루스 카나코]]와 더블 캐스팅) * 타나토스 에로스 - CV: [[하야미 사오리]] ([[아라가키 아야세]]와 더블 캐스팅) * 코메트 - CV: [[이와타 미츠오]] [[분류: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등장인물]] [[분류:에로망가 선생/등장인물]][[분류:인터넷 밈/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