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2022 메레츠 로고.png|width=300]] || ||<-2> {{{#fff '''מרצ'''}}} || || '''영어''' ||Meretz|| || '''한글''' ||메레츠|| || '''이념''' ||[[사회민주주의]][* Ronit Chacham (2003). ''[[https://archive.org/details/breakingranksref00chac |Breaking Ranks: Refusing to Serve in the West Bank and Gaza Strip]]''. Other Press, LLC. p. [[https://archive.org/details/breakingranksref00chac/page/60 |60]].][*A 메레츠는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만 분류되며 [[민주사회주의]] 정당으로 아예 분류되지 않고, 이스라엘 내부에서 [[중도좌파]]가 아닌 단순 좌익 정당으로 분류된다.][br][[노동 시오니즘]][br][[세속주의]][br][[진보주의]][br][[평화주의]] ,,([[양국 방안]]),,|| || '''스펙트럼''' ||[[좌익]][* Shmeul Sandler; Manfred Gerstenfeld; Jonathan Rynhold, eds. (2013). [[https://books.google.com/books?id=FVyOAQAAQBAJ&pg=PA281 |"Appendices"]]. ''Israel at the Polls 2006''. Routledge. p. 281.][*A] || || '''대표''' ||제하바 갈온[br](Zehava Gal-On)|| || '''중앙당사''' ||[[텔아비브]]|| || '''국제조직''' ||[include(틀:사회주의 인터내셔널)] [include(틀:진보동맹)]|| || '''유럽 정당''' ||[[유럽 사회당]]^^(옵저버)^^|| || '''청년 조직''' ||청년 메레츠^^(נוער מרצ)^^|| ||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00 calc(0*100%/120), #fff 0%)" {{{#000 '''0석 / 120석'''}}}}}} || || '''웹사이트''' ||[[http://meretz.org.i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px]]]] [[https://www.facebook.com/Meretz|[[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px]]]]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eretzparty, 크기=24)] [[https://www.youtube.com/user/meretz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px]]]]|| [목차] [clearfix] == 개요 == 메레츠는 좌파 시오니즘을 표방하는 [[이스라엘]]의 [[진보주의]] 정당이다. == 성향 == [[평등주의]]를 적극 표방하고 있어 빈부격차를 촉발시키는 [[신자유주의]]나 친기업 정책에 반대하며, [[성평등]]과 [[LGBT]] 권리[* 前 당수 닛잔 호로비츠는 [[커밍아웃]]한 [[동성애자]]이다.], 노동조합 강화를 지원하며, 이스라엘 특유의 평등한 사내 조직문화를 지지한다.[* [[유대인#s-5.6.2]]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이스라엘 사내 문화는 말단 사원에게도 적극적인 발언권을 줄 정도로 진보적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정부는 [[시온주의|자국의 이념]]에 어울리는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만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그러니까 페미니즘 합법정당은 이스라엘 정계의 본류(本流)가 아니다.] 또 이스라엘의 주요 시오니즘 정당 중 대-[[팔레스타인]] 태도에 있어서 가장 전향적인 정당이다. [[사회주의 인터내셔널]]과 [[진보동맹]]의 정회원이며 [[글로벌 그린스]] 회의에 참여하기도 한다. 국제적으로 메레츠는 사회민주주의, [[시민 자유지상주의]], [[극좌]] 정당 등으로 다양하게 묘사되어 왔다. == 역사 == 1992년 총선에서 정당 연합으로 첫 원내에 입성하였다. 노동당 주도의 연정에 참여하여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의 [[오슬로 협정]] 체결에 기여했다. 1996년 총선에서 참패하면서 다음 해에 독자적으로 정당을 꾸린다. 1999년 총선을 통해 다시 당세를 회복하여 노동당과 연정하였지만, 얼마 되지 않아 노동당과 갈등을 겪으며 연정에서 탈퇴하였다. 2003년 총선 이후 현재까지 고정적으로 4~6석의 의석을 유지하며 이스라엘 좌파 진영에서 중요한 위치를 유지했는데, 2022년 총선에서 원외로 추락했다. == 기타 == * 해외에도 지부를 두고 있다. [[미국]]에는 '''진보적인 이스라엘을 위한 파트너'''라는 이름으로 [[팔레스타인]]과의 [[양국 방안]] 등을 연구하고 있다.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도 있다. * 이스라엘 출신 팔레스타인 평화운동가이자 이스라엘 문학의 거장이라고 불리는 [[아모스 오즈]]가 이 정당 지지자였다. [[분류:이스라엘의 정당]][[분류:생태주의 정당]][[분류:사회민주주의 정당]][[분류:진보주의 정당]][[분류:평화주의 정당]][[분류:페미니즘 정당]][[분류:1992년 정당]][[분류: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소속]][[분류:진보동맹 소속]][[분류:좌익 내셔널리즘 정당]][[분류:시오니즘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