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메기스토테리움}}}[br]Megistotherium}}}''' || ||<-2> [[파일:두개골 화석.jpg|width=100%]] || ||<#F93> '''학명''' || ''' ''Megistotherium osteothlastes'' '''[br]Savage, 1973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히아이노돈목^^Hyaenodont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히아이나일로우로스과^^Hyainailur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히아이나일로우로스아과^^Hyainailur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메기스토테리움속^^''Megistotherium''^^'''||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메기스토테리움 오스테오틀라스테스(''M. osteothlastes'')^^{{{-1 [[모식종]]}}}^^|| || [[파일:Megistotherium-osteothlastes-(2017)-738x591.jpg|width=1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생대]] [[마이오세]] 전기~중기에 [[북아프리카]]에 서식했던 히아에노돈목 [[포유류]]. 속명은 '가장 거대한(혹은 위대한) 짐승'이라는 뜻이다. == 상세 == 최초의 화석은 [[리비아]]에서 발견되었는데, 두개골 길이가 무려 65cm로 현생 [[호랑이]]의 2배에 달하는 크기를 자랑한다.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 몸길이 3.5m에 키 1.5m, 몸무게는 300kg~'''650kg''' 이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현생 육상 포유류 중 가장 거대한 육식동물인 [[북극곰]]에 맞먹는 덩치로 히아이노돈목 포유류 중에서도 상당한 체급이다. || [[파일:Screenshot_20190501-231632_Gallery.jpg|width=400]] || || 곰포테리움을 습격하는 메기스토테리움 || 리비아에서 첫 화석이 발견된 이후 [[이집트]], [[케냐]], [[우간다]], [[나미비아]] 등지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마이오세 당시 이 일대는 오늘날과는 달리 메기스토테리움과 같은 대형 포식자가 존재할 수 있을만큼 대형 초식동물이 충분히 서식하던 환경이었다. 생활사는 오늘날의 대형 [[식육목]] 포유류처럼 적극적인 포식자인 동시에 기회주의적인 청소동물이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일례로 같은 화석지에서 [[곰포테리움]]이나 [[마스토돈]]류로 추정되는 뼈가 출토되어 이 녀석이 어린 마스토돈을 잡아먹었을 가능성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일각에서는 비슷한 크기의 대형 히아이나일로우로스과[* 본래는 히아이노돈과의 하위 분류군인 히아이나일로우로스아과에 속했으나 2015년 독자적인 과로 승격되며 히아이노돈과와는 별도의 분류로 보고 있다.]의 모식속인 히아이나일로우로스(''Hyainailurus'')의 동물이명으로 보고있다. 2019년 4월 19일에 케냐에서 이들의 근연종인 [[심바쿠브와]]가 발견되었다. 항목 참조. 이들이 속한 히아이나일로우로스과는 북아메리카의 [[히아이노돈]]이 멸종한후 신생대 전기 섬대륙이었던 아프리카의 고립으로 최후의 히아이노돈목 포유류로 존속하였다. 마이오세 이후 아프리카가 북상하여 유라시아랑 충돌하는 유라시아-아프리카 대교환으로 이들은 옛 히아이노돈목과 옥시아이나목이 차지했던 유라시아로 진출하여 다시 식육류와 경쟁하였지만 급격한 기후 변화로 인해 기후가 건조해지며 자신이 즐겨먹던 대형 포유동물들이 하나 둘 멸종하고 그 니치가 새로 유입된 더 빠르고 지능적인 포유류들로 대체되며 따라 결국 변화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채 곰개류나 [[마카이로두스]]같은 [[식육목]] 포식자들에게 밀려서 멸종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히아이노돈목의 멸종으로 신생대 대형 육식동물의 자리는 식육목들이 독점하고 아프리카에서 이들의 생태적 지위는 새로히 들어온 [[사자]]와 [[검치호]], 곰으로 대체된다. 이후 곰과 검치호가 아프리카 대륙에서 멸종한 후로는 사자만 남게 되었다. == 등장 매체 == [[쥬라기 공원 빌더]]와 그 후속작인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 전시 가능한 신생대 생물로 등장한다. == 관련 문서 == * [[신생대 생물목록]] [[분류:고생물]][[분류:히아이나일로우로스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