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합중국의 도시철도)] [[파일:external/trimet.org/header-simplemap.gif|width=600]] 간략한 노선도. [[https://en.wikipedia.org/wiki/MAX_Light_Rail#/media/File:TriMet_Rail_Map.png|전체 노선도]] [[파일:external/2.bp.blogspot.com/Max%2B1.jpg|width=600]] [[지멘스]]제 차량 '''MAX Light Rail'''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오리건 주)|포틀랜드]]시의 [[경전철]]. 포틀랜드 지역 교통국인 TriMet에서 운영한다. 1986년 9월 5일 영업을 시작하여, 현재는 4개 노선 총연장 84.3km이 운행되고 있다. 미국 내 타 도시들처럼 여러 노선이 도심에서는 한 구간에 모이는 식으로 운행되며, 도심 밖의 구간은 대부분 전용 선로 또는 도로 중앙의 분리된 부분을 이용하여 달린다.[* 때문에 Washington Park역은 지하에 있다. 이 역은 전 구간 내에서 유일한 지하역으로, 지하 79m에 위치해 있어 미국에서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역이 되었다.] 도심에서는 일반 도로 또는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해 [[노면전차]]의 형식으로 운영되는데, 이게 노선 전체의 표정속도를 엄청나게 깎아먹는 탓에 별로 평가가 좋지 못하다. 역간 거리가 길어봤자 500m인데다가 선로가 도로 따라 이리저리 구부러지니...~~[[분당선#s-5.2|강남리 마을전철]]~~ 이러니 다운타운에서 속도가 빠를 리가 있나... 때문에 이용자들도 넷상에서[[http://portlandtransport.com/archives/2011/03/improving_trans.html|#]] 다운타운에서의 지하화를 시켜보거나 다운타운의 역 숫자를 줄여보자는 등의 토의를 하고 있지만...짧은 시간 내에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는 않는다. 노선이 꽤 멀리까지 나가기 때문에 가끔 [[코요테]]가 탑승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http://seattletransitblog.com/2009/02/04/coyote-on-portlands-max/|#]] ||노선명||개통년도||역 수||총 연장||구간|| ||Blue Line||1986||50||52.6 km||Hillsboro – City Center – Gresham|| ||Green Line||2009||28||22.7 km||Clackamas – City Center – Portland State University|| ||Red Line||2001||29||41 km||Airport – City Center – Beaverton TC|| ||Yellow Line||2004||22||12.6 km||Expo Center – City Center – Portland State University|| [[분류:경전철 노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맥스, version=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