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매직걸}}}'''[br]マジカノ}}}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지카노 단행본 만화.jpg|width=100%]]}}} || || '''{{{#373a3c,#dddddd 장르}}}''' ||[[마법소녀물|마법소녀]], [[러브 코미디]], [[하렘물|하렘]] || || '''{{{#373a3c,#dddddd 작가}}}''' ||모모세 타케아키 || || '''{{{#373a3c,#dddddd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단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학산문화사]] || || '''{{{#373a3c,#dddddd 연재처}}}''' ||월간 매거진Z || || '''{{{#373a3c,#dddddd 레이블}}}''' ||매거진 Z 코믹스 || || '''{{{#373a3c,#dddddd 연재 기간}}}''' ||2003년 4월 ~ 2008년 4월 || || '''{{{#373a3c,#dddddd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0권 ,,(2008. 05. 23. 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0권 ,,(2008. 07. 25. 完),,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마법소녀물|마법소녀]] 만화. 작가는 모모세 타케아키(百瀬武昭). '마지카노'라는 이름은 마법을 뜻하는 매직(Magic)의 'magi(マジ)'와 일본어로 '그녀'를 뜻하는 카노죠(彼女)의 'kano(カノ)'를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 줄거리 == >˝어느날 눈앞에 나타난 미소녀 마녀와의 좌충우돌 사랑 만들기˝3명의 여동생과 함께 살고 있는 중학생 하루오는 그저 평범하고 평탄한 일상에서 살고 싶어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미소녀 아유미가 같은 반으로 전학을 오고 무슨 연유에서인지 하루오의 집에 가정부로 들어온다. >예쁜 얼굴의 아유미에게 반해 그녀와의 로맨스를 기대하는 하루오. >하지만 그의 꿈은 사실 자신은 마녀라는 아유미의 고백으로 산산조각 나버리고 설상가상으로 자신의 여동생들 또한 마녀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매일매일 벌어지는 소동으로 갑작스럽게 달라진 하루오의 생활. >과연 하루오는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그리고 아유미를 향한 로맨스는 이루어질 수 있을까? == 발매 현황 == ||
'''{{{#373a3c,#dddddd 01권}}}''' || '''{{{#373a3c,#dddddd 02권}}}''' || '''{{{#373a3c,#dddddd 03권}}}''' || || [[파일:마지카노 1권.jpg|width=100%]] || [[파일:마지카노 2권.jpg|width=100%]] || [[파일:마지카노 3권.jpg|width=100%]] ||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3년 08월 2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5년 03월 25일}}}'''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4년 08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5년 04월 25일}}}'''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4년 8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5년 05월 25일}}}''' || || '''{{{#373a3c,#dddddd 04권}}}''' || '''{{{#373a3c,#dddddd 05권}}}''' || '''{{{#373a3c,#dddddd 06권}}}''' || || [[파일:마지카노 4권.jpg|width=100%]] || [[파일:마지카노 5권.jpg|width=100%]] || [[파일:마지카노 6권.jpg|width=100%]] ||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5년 07월 2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5년 09월 25일}}}'''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5년 12월 2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6년 02월 25일}}}'''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6년 04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6년 07월 25일}}}''' || || '''{{{#373a3c,#dddddd 07권}}}''' || '''{{{#373a3c,#dddddd 08권}}}''' || '''{{{#373a3c,#dddddd 09권}}}''' || || [[파일:마지카노 7권.jpg|width=100%]] || [[파일:마지카노 8권.jpg|width=100%]] || [[파일:마지카노 9권.jpg|width=100%]] ||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04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7년 06월 15일}}}'''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09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01월 25일}}}'''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12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06월 25일}}}''' || || '''{{{#373a3c,#dddddd 10권 ,,(完),,}}}''' ||  ||  || || [[파일:마지카노 10권.jpg|width=100%]] ||  ||  ||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8년 05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07월 25일}}}''' ||  ||  || 일본의 매거진 Z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한국어판은 [[학산문화사]]를 통해 매직걸이라는 이름으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총 10권이 전부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anchor(요시카와 하루오)] * '''요시카와 하루오'''(吉川春生) {{{-1 - 성우: 일본 [[이치키 미츠히로]] / 한국 [[정재헌]]}}} [[파일:요시카와 하루오 - 매직걸.jpg]] 중학교 3학년, 세명의 여동생에게 둘러 쌓여 과잉 보호를 받고 있다. 지극히 평범한 일상을 보내던 중 아유미가 가정부로 들어오면서 하루오의 일상은 평탄한 날과는 거리가 멀어진다. ---- [anchor(마미야 아유미)] * '''마미야 아유미'''(魔宮あゆみ) {{{-1 - 성우: 일본: [[노가와 사쿠라]] / 한국: [[박영희(성우)|박영희]]}}} [[파일:마미야 아유미 - 매직걸.jpg]] 마법 명가로 잘 알려진 마미야 가의 장녀. 어릴 적에 걸려버린 저주를 풀기 위해 요시카와 집안에 입주 가정부(메이드)로 들어온다. 무서울 정도로 매사에 적극적이며 자신의 매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잘 알고 있지만, 워낙 폭주 성향이 강하다보니 때때로 역효과가 나곤 한다. 뻔뻔한데다 빈말로라도 성격이 좋다고는 말할 수 없는 여자. 저주를 푸는 열쇠인 하루오를 닦달하느라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는데... ---- [anchor(쿠로스 유리)] * '''쿠로스 유리'''(黒須ゆり) {{{-1 - 성우: 일본: [[나미키 노리코]] / 한국: [[이명선]]}}} [[파일:쿠로스 유리 - 매직걸.jpg]] 하루오를 몰래 짝사랑중인 학교 학생회장. 여장부 다운 성격으로 학교에서 여학생들에게 인기가 많다. ---- [anchor(니지하라 마린)] * '''니지하라 마린'''(虹原真鈴) {{{-1 - 성우: 일본: [[모모이 하루코]] / 한국: [[문남숙]]}}} [[파일:니지하라 마린 - 매직걸.jpg]] 위치 헌터, 일명 마녀 사냥꾼이다. 하루오를 성자 하루오 선배라고 부르고 있으며, 그에게 호감을 품고 있다. 하루오 주변의 여동생을 비롯한 마녀들을 늘 '악한 마녀'라고 부르며 언젠가는 응징하겠다고 하지만 그녀들과 언제나 사이좋게(?) 지낸다.  ---- [anchor(앙쥬 리카)] * '''앙쥬 리카'''(杏樹リカ) {{{-1 - 성우: [[이노우에 나나]][* 남자 주인공 성우인 [[이치키 미츠히로]]와 2015년에 결혼했다.]}}} [[파일:앙쥬 리카 - 매직걸.jpg]] 마미야 가의 우수한 마법 메이드. 하루오의 여동생들을 능가하는 마녀이기도 하다. 아유미의 아버지가 인간세계에 아유미의 서포트를 위해 보냈다. 하루오의 마력 각성을 도울 수 있기 때문에 그를 막으려는 미치루와의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 가사 전반에 뛰어나며, 위기에 빠진 하루오와 여동생들을 수차례 도와준다. ---- [anchor(멜리사 메일스트럼)] * '''멜리사 메일스트럼''' 전멸 위기인 불사족이다. 하루오와 결혼해서 일족의 미래를 도모한다. === 요시카와 가 === [anchor(요시카와 마이카)] * '''요시카와 마이카'''(吉川舞夏) {{{-1 - 성우: 일본: [[나카하라 마이]] / 한국: [[이자명]]}}} [[파일:요시카와 마이카 - 매직걸.jpg]] 하루오의 첫째동생으로 하루오의 도시락 만들기가 취미이며 하루오를 심하게 잘 챙긴다. 하루오에게 접근하는 마녀들에게 강한 라이벌 의식을 갖고있다.  ---- [anchor(요시카와 치아키)] * '''요시카와 치아키'''(吉川千秋) {{{-1 - 성우: 일본: [[사카이 카나]] / 한국: [[최하나]]}}} [[파일:요시카와 치아키 - 매직걸.jpg]] 하루오의 둘째동생으로 왕성한 식욕을 자랑하며 운동신경 또한 뛰어나다.  ---- [anchor(요시카와 후유노)] * '''요시카와 후유노'''(吉川冬乃) {{{-1 - 성우: 일본: [[카네다 토모코]] / 한국: [[정선혜(성우)|정선혜]]}}} [[파일:요시카와 후유노 - 매직걸.jpg]] 하루오의 막내동생으로 어리면서도 집안의 재무사정에 밝다. 돈에 집착하며 항상 돈벌 궁리만 한다. === 마미야 가 === [anchor(마미야 미치루)] * '''마미야 미치루'''(魔宮みちる) {{{-1 - 성우: [[쿠와타니 나츠코]]}}} [[파일:마미야 미치루 - 매직걸.jpg]] 마미야 집안의 차녀, 즉 아유미의 여동생. 그러나 저주가 걸려 있어 마녀로서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는 아유미를 무시하면서 호시탐탐 후계자 자리를 노리고 있다. 이쪽도 성격이 나쁘기로는 언니 못지 않은 거물.  [anchor(마미야 아스미)] * '''마미야 아스미''' 마미야가 537대 당주로 평소엔 어린 소녀의 모습이지만 만월의 힘을 받으면 어른 모습이 된다. === 기타 인물 === [anchor(하리우 하지메)] * '''하리우 하지메'''(針生 ハジメ) {{{-1 - 성우: 일본: 하리사와 카츠히로 / 한국: [[이재웅(성우)|이재웅]]}}} 하루오의 친구로, 초자연 과학클럽의 회장. 항상 회원인 '후지와라 소라'랑 함께 다니며, 초자연적인 것과 남들에게 관심을 끌만한 일이 있을 때마다 등장한다. [anchor(혼고 테츠코)] * '''혼고 테츠코'''(本郷哲子) {{{-1 - 성우: 일본: [[리키마루 노리코]] / 한국: [[민지(성우)|민지]]}}} [[파일:혼고 테츠코 - 매직걸.jpg]] 하루오와 아유미네 반의 담임 선생님. 그러나 마녀의 정체를 간파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평범한 인물은 아닌 듯 하다.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2>
{{{#373a3c,#dddddd '''{{{+1 그녀는 매직걸}}}''' (2006)[br]マジカノ}}}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지카노 TV 애니메이션.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원작}}}''' ||모모세 타케아키(百瀬武昭) || || '''{{{#373a3c,#dddddd 감독}}}''' ||[[키시 세이지]]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미츠이 히데키(三井秀樹)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2>코바야시 타카시(小林多加志)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 || '''{{{#373a3c,#dddddd 서브 캐릭터 디자인}}}''' ||사사키 토시코(佐々木敏子) || || '''{{{#373a3c,#dddddd 소품 디자인}}}''' ||미즈타니 마미코(水谷麻美子)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미야케 마사카즈(三宅昌和) || || '''{{{#373a3c,#dddddd 색채 설정}}}''' ||아베 미유키(阿部みゆき)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쿠보 히로시(久保博志) || || '''{{{#373a3c,#dddddd 편집}}}''' ||사쿠라이 타카시(櫻井 崇)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이이다 사토키(飯田里樹) || || '''{{{#373a3c,#dddddd 음악}}}''' ||하라다 카츠미치(原田勝通) || || '''{{{#373a3c,#dddddd 음악 제작}}}''' ||[[란티스]] || || '''{{{#373a3c,#dddddd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우치다 야스시(内田康史)^^GDH^^[br]키무라 켄고(木村健吾)^^도쿄 키즈^^[br]나카무라 나오키(中村直樹)^^[[AT-X]]^^[br]신주쿠 고로(新宿五郎)^^닥스^^[br]소에타 히로유키(添田弘幸)^^베스트 필드^^ || || '''{{{#373a3c,#dddddd 프로듀서}}}''' ||요시다 사토루(吉田 悟)^^GDH^^[br]야마자키 아스카(山崎明日香)^^[[AT-X]]^^[br]마츠모토 신(松本 真)^^도쿄 키즈^^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도쿄 키즈(東京キッズ) || || '''{{{#373a3c,#dddddd 제작}}}''' ||매직걸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6년 1월|2006. 01. 04.]] ~ 2006. 03. 29.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사이타마]] / (수) 01: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3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gonzo.co.jp/archives/majikano/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 일본에선 [[애니메이션/2006년 1월|2006년 1월부터 3월까지]] 애니메이션을 방송했다. 감독은 [[키시 세이지]]. 한국에서는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에서 '''그녀는 매직걸'''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어 더빙판을 방영했다. 2000년대 중반 [[하렘물]]의 전형을 드러내는 작품이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1기]]가 대박을 치기 전에 유행하던 그림체와 연출 방식을 고스란히 보여 준다. 그리고 2000년대의 하렘물 단골 성우였던 [[나카하라 마이]]가 출연했고, 당시에 성우 아이돌 기획사로 유명했던 람즈(RAMS)에서 대표 성우들([[노가와 사쿠라]], [[사카이 카나코]], [[이노우에 나나]])을 꽂아 넣었다.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もっっと!}}}'''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glKfOunon8,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83o0J7RuJc,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노가와 사쿠라]] || || '''작사''' || [[미에노 히토미]] || || '''작곡''' || [[카게야마 히로노부]] || || '''편곡''' || 하시모토 유카리(橋本由香利)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키시 세이지]] || || '''연출''' || || '''작화감독''' || 屋幸秀 || || '''총 작화감독''' || 코바야시 타카시(小林多加志)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373a3c,#dddddd ED[br]マジスキMAGIC}}}'''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tf-QYt94l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gOpMYShDGQ,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클로버(クローバー)[br],,([[이노우에 나나]], [[미야자키 우이]], [[쇼우지 유이]], [[사이토 모모코]]),, || || '''작사''' || [[하타 아키]] || || '''작곡''' || 키쿠야 토모키(菊谷知樹) || || '''편곡''' || 하시모토 유카리(橋本由香利)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키시 세이지]] || || '''연출''' || || '''작화감독''' || 屋幸秀 || || '''총 작화감독''' || 코바야시 타카시(小林多加志)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미츠이 히데키(三井秀樹) * 전화 총 작화감독: 코바야시 타카시(小林多加志) ||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彼女が魔女ってマジですか?[br]그녀가 마녀란 게 사실인가요? ||<-2> [[키시 세이지]] || 와타나베 노부히로[br](渡辺伸弘) || 日: 2006.01.04.[br]韓: || || 제2화 || 生徒会長も魔女ってマジですか?[br]학생회장도 마녀라는 게 정말입니까? ||<-2> [[아사이 요시유키]] || 아오이 사요[br](青井小夜) || 日: 2006.01.11.[br]韓: || || 제3화 || 危険な兄妹ってマジですか?[br]위험한 남매라는게 정말입니까? || 무기노 아이스[br](麦野アイス) || 사도하라 타케유키[br](佐土原武之) || 사토 테츠야[br](佐藤哲也) || 日: 2006.01.18.[br]韓: || || 제4화 || 盗まれたってマジですか?[br]도둑맞았다는 게 정말입니까? || 후쿠모토 키요시[br](福本 潔) || 이케다 시게타카[br](池田重隆) || 와타나베 노부히로 || 日: 2006.01.25.[br]韓: || || 제5화 || ウィッチハンターってマジですか?[br]위치 헌터라는 게 정말입니까? ||<-2> [[키노시타 유키]] || [[요시다 유코(애니메이터)|요시다 유코]][br]이시이 유미코[br](石井ゆみこ) || 日: 2006.02.01.[br]韓: || || 제6화 || 幽霊が出たってマジですか?[br]유령이 나왔다는 게 정말입니까? ||<-2> 쇼우지 신이치[br](東海林真一) || [[히가시데 후토시]] || 日: 2006.02.08.[br]韓: || || 제7화 || メイドが来たってマジですか?[br]메이드가 왔다는 게 정말입니까? ||<-2> 아사이 요시유키 || 아오이 사요 || 日: 2006.02.15.[br]韓: || || 제8화 || 勝利のキスってマジですか?[br]승리의 키스라는 게 정말입니까? ||<|2> [[코다마 켄지]] || 사도하라 타케유키 || 와타나베 신고[br](渡邊信吾)[br]사토 테츠야 || 日: 2006.02.22.[br]韓: || || 제9화 || 眠れる王子ってマジですか?[br]잠자는 왕자라는 게 정말입니까? || 타카야마 히데키[br](高山秀樹) || 와타나베 노부히로 || 日: 2006.03.01.[br]韓: || || 제10화 || 呪いの猫パンツってマジですか?[br]저주의 고양이 팬티라는 게 정말입니까? || 키시 세이지[br]키노시타 유키 || [[앨런 스미시|타치카와타]][br](たちかわ夕一) || 요시다 유코[br]우라와 후미코[br](浦和文子) || 日: 2006.03.08.[br]韓: || || 제11화 || 聖なる夜ってマジですか?[br]성스러운 밤이라는 게 정말입니까? || 코다마 켄지 || 오가와 칸[br](小川 完) || 나카노 아키코[br](中野彰子) || 日: 2006.03.15.[br]韓: || || 제12화 || 目覚めの刻ってマジですか?[br]각성의 때라는 게 정말입니까? ||<-2> 아사이 요시유키 || 아오이 사요 || 日: 2006.03.22.[br]韓: || || 제13화 || 最終回ってマジですか?[br]최종회라는게 정말입니까? ||<-2> 키시 세이지 || 와타나베 노부히로[br]屋幸秀 || 日: 2006.03.29.[br]韓: || === 게임 === 2007년 2월에는 Windows용의 게임 '''마지카노 팬 디스크 가위바위보가 정말입니까?'''가 발매되었다.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6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마법소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