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OCG]]의 카운터 함정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agicJammer-ST14-JP-C.pn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agicJammer-LCJW-EN-C-1E.png|width=100%]]||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매직 재머, 일어판명칭=マジック・ジャマー, 영어판명칭=Magic Jammer, 효과1=①: 마법 카드가 발동했을 때\,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현존하는 카운터 함정 중에서 마법 카드 한정으로 봉쇄력이 가장 뛰어난 카드. 패 1장만 버리면 그 어떤 흉악한 마법 카드도 우걱우걱 씹어 드실 수 있다. 게다가 카운터 함정이라 다른 카운터 함정으로밖에 못 막는다. 카운터 함정이기 때문에 [[풍양의 아르테미스]]와 조합할 경우 실질적으로 노 코스트가 되며, [[명왕룡 반달기온]]의 소생 조건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전설의 백석]]을 버려도 사실상 노 코스트가 되기에 [[푸른 눈]] 덱이라면 1장 정도 넣어서 손해 볼 것은 없다. 다만 버리는 효과는 코스트이기 때문에 [[암흑계]]와는 상성이 맞지 않으나, 코스트로 버려져도 효과가 발동되는 [[마굉신]]이나 [[미계역]]과의 시너지가 엄청나다. 상호 호환으로 [[봉인 마법의 저주]]가 있다. 이쪽은 마법 카드를 버려야 한다는 제약이 붙긴 하지만 그 듀얼 중 같은 이름을 가진 카드를 완전 봉쇄할 수 있다. 3장을 채울 수밖에 없는 [[언데드 월드]]나 [[암흑계|암흑계의 문]] 같은 초중요 카드에게 먹인다면 상대는 정신을 [[안드로메다]]로 보낼 수밖에 없어진다. 마법 / 함정을 모두 막을 수 있는 [[마궁의 뇌물]]보다 범용성은 떨어지지만 코스트가 약간 더 가볍다. 자신이 패를 버리는 것은 골라서 버리는 것이지만, 상대가 1장 드로우하여 나오는 카드는 무작위이기 때문이다. 패를 버리는 것은 코스트이기에 발동하려면 반드시 패가 1장 이상은 있어야 한다. 패 코스트는 없지만 막힐 가능성이 있는 [[매직 드레인]]과 자주 비교되기도 한다. 자신의 입맛에 따라 골라 쓰면 될 듯하다. 육망성 검열은 여기에서도 예외 없어서 해외판에서는 마법진에 연기가 빠져나가는 식으로 변경됐다. 일본에서의 육망성 검열 이후엔 내수판도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card_search.action?ope=2&cid=4862&request_locale=ja|오망성]]으로 일러스트가 변경됐다. 어째선지 변경 후의 내수판 일러스트는 마법진의 크기도 줄어들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마리크 이슈타르]]에게 세뇌된 [[밴디트 키스]]가 [[무토우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단순히 덱에서 드로우한 것도 아니고 '''[[7 카드|소매에 숨겨두었다가 패에 있는 카드와 바꿔치기하는]] 타짜짓을 저질러서''' 필드에 세트했다. 그 후 원작에서는 마법 카드였던 [[매지컬 실크햇]]의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했는데, 이때 분명 함정 카드임에도 불구하고 키스는 발동 시에 '마법 카드'라고 발언했다. 또한 배틀 시티 본선전에서는 [[리시드]]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죠노우치가 발동한 [[희생양(유희왕)|희생양]]의 발동을 무효화시켜[* 원작에서는 [[마법 제거|마법 해제]]를 발동했다.] 궁지로 몰아넣었다. 여담으로 듀얼몬스터즈 방영 당시에는 해당 카드가 [[볼륨(유희왕)|Vol.6]] 팩을 통해 [[울트라 레어]]로 발매되었기 때문에 작중에서는 나올 때마다 환상의 레어 카드로 언급되었다. [[유희왕 GX]]에서는 [[아비도스 3세]]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해 [[히어로 플래시!!|R-라이트 저스티스]]의 발동을 막았다. [[유희왕 5D's]]에서는 [[후도 유세이]]와 가드로보와의 듀얼에서 가드로보가 사용해 [[사각에서의 일격]]의 발동을 무효화시켰다. == 관련 카드 == === [[재머|트랩 재머]] === === [[매직 드레인]] === === [[봉인 마법의 저주]] === === [[주술 말소]] === === 8식대 마법다중결계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pellShieldType8-EE1-JP-SR.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8식대 마법다중결계, 일어판명칭=八式対魔法多重結界(はちしきたいまほうたじゅうけっかい), 영어판명칭=Spell Shield Type-8, 효과1=다음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한다., 효과2=●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한 마법의 발동과 효과를 무효로 하여\,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3=●패에서 마법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마법의 발동과 효과를 무효로 하며\, 그 카드를 파괴한다.)] [[포스 필드(유희왕)|포스 필드]]의 상위 호환이자, 매직 재머, [[봉인 마법의 저주]]의 상호호환. 어떤 효과든 2개 중 하나를 선택해서 발동할 수 있으며 대상 지정 마법은 노 코스트로 무효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2번째 효과는 마법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야 하기 때문에, 매직 재머보다 코스트가 무겁고 [[봉인 마법의 저주]]보다는 효과가 떨어진다. 정발 번역이 잘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는데, '8식 대마법 다중 결계'라고 써야 한다. --[[황기|48년에 나온]]-- 마법에 대한 다중 결계라는 의미. === 대항 마술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ntiSpell-EE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대항 마술, 일어판명칭=対抗魔術(たいこうまじゅつ), 영어판명칭=Anti-Spell, 효과1=자신 필드 위의 마력 카운터를 2개 제거한다. 마법의 발동과 효과를 무효로 하여\, 그것을 파괴한다.)] 코스트가 마력 카운터로 바뀐 매직 재머. [[마력 카운터]]를 주력으로 하는 덱이라면 매직 재머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엔디미온, 매직비스트, 마도 계통에서 많이 쓰인다.] == 관련 문서 == * [[재머]] [[분류:유희왕/OCG/카운터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