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include(틀:수도권 전철 경춘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KORAIL_White_로고.svg|height=15]]]][br]{{{#fff '''{{{+2 망우선}}}''' [br] 忘憂線 | Mangu Line}}} || ||<-2> [[파일:7sEvTKx.png|width=350]] || ||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파일:대한민국정부상징_좌우.svg|width=180]]]][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노선번호''' ||20301|| || '''노선명''' ||중앙선 망우선 (中央線 忘憂線)|| ||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 '''영업거리''' ||4.9㎞|| || '''궤간''' ||1435㎜|| || '''역수''' ||2|| || '''기점''' ||[[망우역]]|| || '''종점''' ||[[성북역]][* 망우선 측 광운대역 역명은 서류상 성북역으로 기재되어 있다. 안내 시에는 광운대역으로 안내한다.]|| ||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방식''' ||[[열차자동정지장치|ATS-S1]]|| || '''선로최고속도''' ||80km/h|| || '''개업일''' ||[[1964년]] [[1월 11일]]|| || '''운영노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br][[ITX-청춘]] (망우~상봉),[br] [[화물열차]]|| [목차] [clearfix] == 개요 == '''망우선'''(忘憂線, Mangu Line)은 [[대한민국]] [[한국철도공사]]가 관리하는 [[철도]] 노선으로, 1964년 1월 11일에 개통되었다. [[경원선]], [[경춘선]], [[중앙선]]의 [[삼각선]]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삼각선 자체는 [[1940년대]]에도 존재했는데, [[6.25 전쟁]]으로 파괴되었다가 재개통한 것으로 추측된다.[* [[https://blog.naver.com/anstein99/222459697895|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youtube(4SPIwtfjXvE)] 전기기관차 원활한 화물 수송을 하기 위해 1973년 6월 20일에 전철화 개통에 들어갔고 [[수도권 전철]] [[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의 차량사업소인 [[이문차량사업소]]가 이 선로에 있기도 하다. 영업을 끝낸 [[경원선]] 차량[*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운행하는 [[코레일]] 소속 차량 중 일부이다. 거의 대부분은 [[구로차량사업소]], [[병점차량사업소]] 등에서 관할한다.]들은 [[이문차량사업소]]에 들어와야 한다. 기존에 관리하던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열차들은 2012년 [[용문차량사업소]]가 완공되어 전부 [[용문차량사업소]] 소속으로 옮겨졌다. 중정비는 이문기지에서 하고 있었으나 경의·중앙선 직결과 함께 문산기지로 옮겨갔다. [[광운대역]]으로 가는 중에는 [[석계역]]과 선로가 나란히 있다. 2012년부터 약 1년간 [[경춘선]] 선로가 [[중앙선]] 본선으로 진입하도록 높이를 높이기 위해 기존 노면에 있던 망우선 선로를 철거하고 고가 선로로 다시 깔았다. 이 공사로 생활권 단절 문제를 해소시켰다. 또한, 2013년 11월 4일부터 [[경춘선]] 전동열차가 단선인 망우선을 통해 [[광운대역]]과 [[상봉역]] 간을 평일에 한하여 아침 1회, 저녁 1회 왕복으로 운행하게 되었고, 이는 망우선 최초의 정기 여객취급이 되었다. 상봉-광운대 구간은 약 8분 정도가 소요되고, 서행운행을 한다. 또 전동차가 다니는 구간이지만 운임 계산은 망우선을 이용하지 않으며, 회기역 경유보다 상봉역-태릉입구역-석계역 3회 환승이 거리가 짧아 이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구리역]] - [[광운대역]] 운임은 1250원이 아니라 1350원(교통카드)이다. 해당 구간 내에는 중간정차역이 없으며, [[신이문역]]이 있는 곳에서 비껴 들어와 [[경원선]]과 나란히 운행한다. [[경원선]]과 선로가 나란히 놓여 있는 [[석계역]]은 망우선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경춘선]] 전동열차가 전혀 정차할 수 없다. 즉, 신이문-석계 구간에 연결선로를 설치하거나, 석계역에 별도로 전용 승강장을 추가로 건설하지 않는 이상 6호선 직접 환승은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두 가능성 모두 적은 수요, 극히 적은 운행횟수, 비효율적인 설치 구조 등의 문제로 추후에도 정차할 가능성은 낮다. [[석계역]]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역 자체가 굴다리 위에 건설되었다 보니 건드리기가 애매하다. 수요가 그래도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보니 망우선 일부를 개량해서 경춘선을 신이문역까지만 운행하면 어떻겠냐는 의견도 있기는 하다. 만약 광운대행 열차를 놓쳤다면 상봉역에서 7호선 환승 - [[태릉입구역]]에서 6호선 환승 - 석계역에서 1호선 환승으로 가는 방법이 있고,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해서 [[회기역]]까지 간 후 회기역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7-6-1호선의 경우는 환승이 상당히 번거롭고 회기역 환승의 경우도 경의·중앙선의 배차간격이 길다는 게 문제이지만, 어쨌든 상시에 갈 수 있기는 하다. 망우선 상봉~신이문 구간 사이에 있는 [[이문철교]] 개량 공사로 인해서 추후에 열차 운행이 중지될 예정이다. 신강북선이 개통한다면 이쪽이 망우선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2020년 11월 12일 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798호] ||<|2> ㎞ ||<|2><-2> 역명 ||<|2> 운행계통 ||<|2> 등급 ||<-2> 접속 노선 ||<|2> 소재지 || || 연결 || 환승 || || 0.0|| [[망우역|[[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5]] 망 우]] || 忘 憂 ||tH || ⊙ ||[[수도권 전철 경춘선|[[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5]]]] [[경춘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15]]]] [[중앙선]] ||<|2> [[중랑구]] || || {{{#c0c0c0 (0.6)}}}|| [[상봉역|[[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5]] {{{#c0c0c0 상 봉}}}]][* [[중앙선]]의 역이다.] || {{{#c0c0c0 上 鳳}}} ||{{{#c0c0c0 kiT}}} || {{{#c0c0c0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15]]]][[수도권 전철 경춘선|[[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5]]]] [[중앙선]]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5]] 7호선]] || || {{{#c0c0c0 2.3}}}|| [[이문차량사업소|{{{#c0c0c0 이 문}}}]][* 현 이문차량사업소] || {{{#c0c0c0 里 門}}} || || || || || [[동대문구]] || || 4.9|| [[광운대역|[[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5]] 광운대]] || 光云大 ||T ||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경원선]] || || [[노원구]] || == 관련 문서 == *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 [[경춘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서울 경전철 신강북선]] [각주] [[분류:망우선]][[분류:1964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