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lding 둘러보기 틀 보기 [include(틀:서구(부산)의 로)] [include(틀:중구(부산)의 로)] [include(틀:동구(부산)의 로)] [include(틀:부산진구의 로)]}}} || ------ ||<-4> {{{#fff {{{+1 '''망양로'''}}}[br] 望陽路 | Mangyang-ro }}} || ||<#fff> ← [[신안군|{{{#!html신안}}}]] {{{#!html방면}}}[br][[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 ||<-2><#0018a8> [[2번 국도|{{{#!html
2번
국도
}}}]] ||<#ffffff> [[부산광역시|{{{#!html부산}}}]] {{{#!html방면}}} →[br][[구덕로]] || ||<#fff> ← [[부산광역시|{{{#!html부산}}}]] {{{#!html방면}}}[br][[구덕로]] ||<-2><#0018a8> [[77번 국도|{{{#!html
77번
국도
}}}]] ||<#ffffff> [[파주시|{{{#!html파주}}}]] {{{#!html방면}}} →[br][[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 || ||<#fff> {{{#!html
기 점}}} ||<-2><#2131AA> [[10번 부산광역시도|{{{#!html
1004번
부산광역시도
}}}]] ||<#fff> [[문현동|{{{#!html문현동}}}]] {{{#!html방면}}} →[br][[자유평화로|미개통]] || ||<-4> '''{{{#fff 노선 번호}}}''' || ||<-4> '''[[2번 국도]]'''[br]'''[[77번 국도]]'''[br]'''[[10번 부산광역시도|1004번 부산광역시도]]''' || ||<-4> '''{{{#fff 기점}}}''' || ||<-4>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서대신동2가]] [[서대신역|서대신사거리]] || ||<-4> '''{{{#fff 종점}}}''' || ||<-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범곡교차로 || ||<-4> '''{{{#fff 연장}}}''' || ||<-4> 9.8km || ||<-4> '''{{{#fff 관리}}}''' || ||<-4> [[부산시설공단|[[파일:부산시설공단 로고.svg|width=120]]]] || ||<-4> '''{{{#fff 왕복 차로 수}}}''' || ||<-4> 2~4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 [[서대신역|서대신사거리]] ↔ [[구덕운동장|구덕사거리]] ↔ [[중앙공원(부산)|중앙공원]] ↔ 범곡교차로 ||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서대신동2가]] [[서대신역|서대신사거리]]에서 출발하여 [[부산진구]] [[범천동]] 범곡교차로에서 끝나는 도로. [[2번 국도]], [[77번 국도]]와 [[10번 부산광역시도|1004번 부산광역시도]]의 일부이다. == 상세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를 출발해 [[중구(부산)|중구]], [[동구(부산)|동구]], [[부산진구]]에 걸쳐 상당히 긴 구간을 자랑하는 길이다. 부산에서 동네 이름을 지정하지 않고[* 부산은 지형 특성상 산복도로가 많아, 망양로 구간 외의 산복도로를 이야기할 때는 'xx동 산복도로'라는 식으로 부르는 게 편하다.] '''[[산복도로]]'''라고 부르는 길은 십중팔구 이 길을 뜻한다고 보면 된다. 다만 전 구간이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서구 일부 지역[* 특히 [[서대신역]]~[[구덕운동장]] 앞길은 애시당초 산길이 아니다.]과 부산진구 쪽의 망양로[* 이쪽은 산복도로에서 내려오는 길에 해당한다.]는 산복도로로 부르는 일이 없다. 일반적으로는 [[동아대학교병원]] 근처 오르막길이 시작되는 삼거리부터 [[동대신동]][* 밑에 보이는 [[부산터널]] 빠져나가는 길 멀리 보인다.] - [[보수동]] - [[대청동(부산)|대청동]] - 민주공원 - [[영주동(부산)|영주동]] - [[초량동]]의 이바구길 - [[수정동(부산)|수정동]]에 이르는 구간이 산복도로로 통칭된다. 수정동(수정삼거리)까지 왔을 경우 경관을 계속 감상하고 싶다면 계속 망양로를 따라가지 않고 바로 옆에 있는 증산로로 진입해야 한다. 그 이유는 수정삼거리 너머부터는 지역 고개인 성북고개[* 증산공원, 동구도서관 등이 있는 고개이다.] 안쪽으로 들어가서[* 성북로 입구까지가 마지막 오르막길이고 그 이후부터는 범일초등학교를 거쳐 내리막길뿐이다.] 더는 경관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성북고개를 둘러서 가는 증산로를 따라가야 바깥 풍경을 계속해서 감상할 수 있다. 10km 가까이 되는 길에서 동구가 무려 절반이 넘는 5km이나 차지하는데, 이는 서구,중구는 일부만 지나가고 부산진구는 거의 끝자락이기 때문이다. 반면 동구는 끝에서부터 끝까지 남북으로 길게 뻗어져있다.[* 실제로 기점인 서대신역부터 중구와 동구의 경계인 영주삼거리까지의 거리는 약 4.5km인데, 여기서부터 동구와 부산진구의 경계가 5km 뒤인 9.5km쯤에 있다.] '''산복도로 르네상스'''라는 시 차원의 프로젝트 덕에 길 자체가 관광명소가 되다시피 했다. 하지만 차량을 이용해 지나가면 그냥 바다가 보이는 산동네일 뿐이고 골목을 누벼야 참맛을 알 수 있는 관광지이니 참고. [[분류:서구(부산)의 도로]][[분류:중구(부산)의 도로]][[분류:동구(부산)의 도로]][[분류:부산진구의 도로]][[분류:2번 국도]][[분류:77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