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5 '''望'''}}} ||||<:>{{{+5 '''梅'''}}} ||||<:>{{{+5 '''解'''}}} ||||<:>{{{+5 '''渴'''}}} || ||<:>기대할 '''망''' ||||<:>매실 '''매''' ||||<:>풀 '''해''' ||||<:>목마를 '''갈''' || 매실을 생각하고 갈증을 푼다는 뜻으로, 공상으로 마음의 위안을 얻는다는 의미다. 삼국시대 魏(위)나라 曹操(조조)가 후퇴 중에 갈증을 호소하는 麾下(휘하) 將卒(장졸)들에게 梅實(매실) 이야기를 해 주었더니, 금세 입안에 침이 괴어 갈증을 풀었다는 옛일에서 온 말이다. [[분류:고사성어]][[분류:삼국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