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서하 황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B1600 0%, #59412c 20%, #59412c 80%, #2B1600)" {{{#ece5b6 '''서하 제10대 황제'''}}}[br]{{{+1 {{{#ece5b6 '''末帝 | 말제'''}}}}}}}}} || || '''[[묘호|{{{#ece5b6 묘호}}}]]''' ||없음 || || '''[[시호|{{{#ece5b6 시호}}}]]''' ||없음 || || '''[[작위|{{{#ece5b6 작위}}}]]''' ||남평왕(南平王) || || '''[[제호|{{{#ece5b6 제호}}}]]''' ||말주(末主) / 말제(末帝) || || '''[[연호|{{{#ece5b6 연호}}}]]''' ||보의(寶義, 1226년 ~ 1227년) || || '''[[성씨|{{{#ece5b6 성씨}}}]]''' ||이(李) || || '''[[휘|{{{#ece5b6 휘}}}]]''' ||현(晛) || || '''{{{#ece5b6 부친}}}''' ||청평군왕(淸平郡王) || || '''{{{#ece5b6 생몰기간}}}''' ||????년 ~ 1227년 8월 28일 || || '''{{{#ece5b6 재위기간}}}''' ||1226년 ~ 1227년 8월 28일 (1년) || [목차] [clearfix] == 소개 == [[서하]]의 제10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 정식으로 추숭된 묘호와 시호가 없다. 제호는 말주(末主) 혹은 말제(末帝). 휘는 이현(李晛). 헌종의 조카이며, 헌종의 동생 청평군왕(淸平郡王)[* 이름은 실전되었다.]의 아들이었다. == 생애 == [[헌종(서하)|헌종]]이 황제로 재위할 때, 이현은 남평왕(南平王)으로 책봉되었다. 1226년, 몽골의 제6차 침공 와중에 헌종이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서 이현이 황제로 즉위했다. 1227년 6월, 몽골군이 서하의 수도 중흥부를 공격하자[* 당시 칭기즈 칸은 낙마의 영향으로 투병중에 있었다.], 중신들과 서하군은 끝까지 저항했으나 도성안에 물이 마르고 식량이 바닥나자 상황이 악화되었다. 결국 중과부적의 수세에 몰린 이현은 나중에 황실이 끝장날 것을 두려워해 도성의 문을 열고 몽골에 항복하여 멸족은 면했다.[* 이현이 [[칭기즈 칸]]에게 항복을 요청했을 때 받아들여지지 않고, [[툴루이]]에게 참수당했다고 아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이현을 충동질해서 몽골과의 적대감을 조성하던 서하의 중신들은 대부분 잡혀 죽었지만 이현은 죽지 않았다.] 그러나 [[칭기즈 칸]]이 1227년 7월 12일에 육반산에서 세상을 떠나자 몽골의 장수들은 서하의 반격을 우려했고, 결국 1227년 8월 28일, 이현은 몽골군에 의해 암살당했으며, 서하는 북송으로부터 독립한 지 10대만에 완전히 멸망하고 말았다. 당시 몽골의 임시 군주였던 [[툴루이]]는 이현에게 어떠한 시호나 묘호도 내리지 않았다. 서하의 멸망 이후, 이현의 처첩은 길거리에서 몽골군에게 붙잡혀 강간당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남평왕,version=54)] [[분류:서하의 황제]][[분류:망국의 군주]][[분류:1227년 사망]][[분류:암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