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말레이시아 의회의 원내 구성)] ||<-2> [[파일:말레이시아 화인 협회 로고.png|width=200]] || ||<-2> {{{#fff '''Malaysian Chinese Association[br]馬來西亞華人公會'''}}} || || {{{#fff '''약칭'''}}} ||MCA, 馬華|| || {{{#fff '''한글명칭'''}}} ||말레이시아 화인 협회||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0080;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남색}}}}}}[br]{{{#!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D700;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000 금색}}}}}} || || {{{#fff '''대표'''}}} ||위 카이 시옹|| || {{{#fff '''창당일'''}}} ||[[1949년]] [[2월 27일]]|| || {{{#fff '''이념'''}}} ||[[사회보수주의]][br][[삼민주의]][br][[중국계 말레이시아인]] 권리||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우파]][* J Denis Derbyshire; Ian Derbyshire (1990). [[https://books.google.com/books?id=DIkWJ3psB2gC&pg=PA118|Political Systems Of The World]]. Allied Publishers. p. 118.]|| || {{{#fff '''당사'''}}} ||8층 Wisma MCA,[br]163, Jalan Ampang,[br]50450 [[쿠알라룸푸르]]|| || {{{#fff '''청년 조직'''}}} ||MCA 청년 섹션|| || {{{#fff '''정당 연합'''}}} ||[[국민전선(말레이시아)|국민전선]]|| || {{{#fff '''기관지'''}}} ||더 스타[br]난양 비즈니스 데일리|| || {{{#fff '''당가'''}}} ||Ma Hua Dang Ge|| || {{{#fff '''상원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calc(4*100%/70), #fff 0%)" {{{#000 '''4석 / 70석'''}}}}}} || || {{{#fff '''하원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calc(2*100%/222), #fff 0%)" {{{#000 '''2석 / 222석'''}}}}}} || || {{{#fff '''웹사이트'''}}} ||[[http://www.mca.org.my/2/|[[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MCAHQ|[[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CAHQ, 크기=25)][br][[https://www.instagram.com/mcahq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user/MCAH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t.me/mcahq|[[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5]]]]|| [목차] == 개요 == 말레이시아의 정당으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권익을 주장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화인은 [[화교]]를 뜻한다. == 상세 == 창당 당시에는 영국령 [[말라야 연방]]에 의해 암묵적으로 지원받았다. 초기 당원들도 지주, 사업가였고 [[냉전]]이 고조되면서 말레이 공산당을 반대했던 [[중국 국민당]] 계열 인사들이 많았던 것이다. [[1952년]]에 [[말레이시아 인도인 회의]], [[통일말레이국민조직]]과 연합당 이라는 정당 연합을 결성해서 1957년 말레이시아 독립 전 치러진 1955년 총선에서 15석을 획득하면서 연립 정부에 참여하게 된다. 그 뒤로 지지율이 올라서 1964년 총선에서는 27석까지 획득하게 된다. [[1969년]] 총선에서 의석 수는 줄어드는 과정에 불구하고 말레이인의 반화교 폭동이 일어나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이 큰 피해를 입은 사건 계기로 의석 수가 줄어들기도 했다. 다시 1980년대 들어서서 지지율도 회복하고, 의석 수도 다시 늘어나게 된 것이다. 그럼에도 80 ~ 90년대까지 당 내분이 크게 일어나기도 했다. 2004년 총선에서는 31석 이라는 역사상 가장 많이 차지한 의석 수를 가지다가 2008년 총선 기점으로 야권쪽으로 뭉치면서 지지율과 의석 수가 크게 떨어지게 된 것이다. [[분류:말레이시아의 정당]][[분류:사회보수주의 정당]][[분류:삼민주의]][[분류:중국 내셔널리즘 정당]][[분류:소수자 정당]][[분류:1946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