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5400 만춘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 [include(틀:BBC 선정 100대 비영어권 영화)] ---- }}}|| ---- ||<-2>
{{{#FE5400,#FE5400 '''{{{+1 만춘}}}''' (1949)[br]晩春[br]Late Spr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만춘 포스터.jpg|width=100%]]}}} || ||<-2> {{{#000 {{{#!wiki style="margin: -6px -11px" {{{#!folding 크라이테리온 블루레이 포스터 ▼ [[파일:75M2sRH7tFJjp4gxf1QNvLDp3qA8CS_large.jpg |width=100%]] }}}}}}}}} || || '''장르''' ||[[드라마]], [[가족]] || || '''감독''' ||[[오즈 야스지로]] || || '''각본''' ||[[오즈 야스지로]] [br] 노다 코고 || || '''원작''' ||히로츠 카즈오 - 소설 《아버지와 딸》 || || '''제작''' ||야마모토 타케시 || || '''출연''' ||[[하라 세츠코]] [br][[류 치슈]][br]츠키오카 유메지 || || '''촬영''' ||아츠타 유하루 || || '''편집''' ||하마무라 요시야스 || || '''음악''' ||사이토 타카노부 || ||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쇼치쿠|쇼치쿠오후나촬영소]]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쇼치쿠]]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49년]] [[9월 13일]] || || '''화면비''' ||1.37 : 1 || || '''상영 시간''' ||108분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즈 야스지로]]의 [[1949년]] 작품. 홀로 남게될 아버지를 위해 떠나지 않으려는 딸의 이야기를 정제된 형식 안에 담은 작품으로 후기 [[오즈 야스지로|오즈]] 영화의 '''출발점'''에 해당하는 영화다. 후기작 중에서 영화 길이도 짧고, 오즈 야스지로 하면 딱하고 떠오르는 인장이 담긴 영화라 [[동경이야기]]와 함께 입문작으로 추천하는 경우가 많다. [[하라 세츠코]]가 처음으로 주연을 맡은 오즈의 영화라는 점도 눈여겨 볼 부분. 그의 홈드라마 작품이 다 그러하듯 소소한 일상에서 잔잔하고 초연하면서도 깊은 사색에 잠기게하는 매력이 있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소미야가의 두 부녀는 여느때와 다름없는 늘 행복한 일상을 보내고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의 앞날을 걱정하게 된다. 아버지를 홀로 남긴채 [[시집]]가기를 꺼리는 노리코를 위해 그녀의 고모는 [[맞선]]을 보라며 닦달하고 아버지(슈키치)는 재혼을 할 의향이 있다는듯 딸을 속인다. 아무리 어머니가 돌아가셨다해도 재혼생각이 있다는 아버지에게 실망과 배신감을 느낀 노리코는 갈등 끝에 결국 맞선을 보기로 마음을 먹게되고 차차 마음의 정리가 될 때 쯤 부녀지간이 나란히 [[여행]]을 떠나게 된다 그리고 그제서야 서로의 속마음을 털어놓게 되는데... == 등장인물 == [[파일:pWZOF9k.gif]] * 소미야 노리코([[하라 세츠코]]) >저... 이대로 아버지와 함께 살고싶어요... 아버지에 대한 효심이 극진한 소미야가의 외동딸. 수수하고 조신하기만한 여자같아도 보기완 다르게 자기 할말은 하고보는 면이 있다.[* 아버지의 지인이 재혼한다고하자 사별한 부인을 두고 딴사람과 부부의 연을 맺는다는게 어지간히도 언짢았던것인지 장난스레 '''불결'''하다고 말해버렸는데 시간이 지나 그 사정을 이해하게되고 농담이라도 실언한것에대해 마음 깊이 반성하게 된다.] 아버지와 단둘이 지내고있으며 자신이 떠나면 홀로 남아 불편하고 적적해질 아버지 생각에 늘 맞선제의를 미룬다.[* 게다가 이혼경력이 있는 친한 친구에게서 결혼에 관한 안좋은 얘기를 듣다보니 회의적인 생각을 갖고있는듯하다. ~~그런데 그 친구는 결혼하라고 부추긴다~~] 그러던 어느날 조카가 혼기를 놓칠까 우려하는 고모에게서 아버지도 재혼할 의향이 있고 괜찮은 상대도 있단 얘기를 듣자[* 사실은 노리코를 시집보내기 위해 고모와 아버지가 지어낸 거짓말이었다.] 그녀의 심경이 급변, 아버지에게 차갑게 굴지를 않나 지인의 조언에도 몹시 못마땅하다는듯한 태도를 취하는 등 과도하게 예민한 모습을 보인다. 아버지를 누구보다 아낀다고 생각했지만 그 부모의 깊은 의중까진 헤아리지 못하는 영락없는 철부지.[* 아버지와 대화를 나눠봐도 통 이해할수없다는듯 ~~[[답정너]]~~ 고집을 부리는 모습에서 정신적으로 덜 성숙한 인물이라는 시선도 있는데 실제로 자녀들이 이런 상황에 처하게되면 반응은 제각각이지만 심정적으론 거의 이렇다한다. 나이나 처한 상황, 분위기에 따라 또 다른듯.] 한동안 고민끝에 결국 맞선을 보기로 결심하고 아버지와 단둘만의 여행을 떠나게 된다. 하지만 여행 중 그녀는 역시 안되겠다며 급기야 결혼을 포기하겠다는 말을 꺼내는데... [[파일:oOqOdRM.gif]] * 소미야 슈키치([[류 치슈]]) >행복은 기다리는게 아니란다. 하나뿐인 딸의 장래에 관해 늘 걱정인 아버지. 여동생과 노리코의 혼사에 관해 의논하던중 시집을 보내기로 마음먹고 적극적이게 움직이기 시작한다. 자신의 일을 돕는 조교를 소개시켜주려고한다거나[* 잘 아는 사람이며 맘에 들기도해 노리코에게 직접 의향을 물어봤는데 알고보니 그가 결혼을 약속한 사람이 있단 사실을 알게되고 어쩔수없이 포기한다. 하지만 그 둘사이의 아무 감정이 없었던건 또 아닌 것 같다.] 거짓말까지 하는등 부단히도 노력해보지만 좀처럼 일이 풀리지 않아 속이 타들어간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late-spring-1949, critic=93, user=없음)]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late_spring, tomato=100, popcorn=92)]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41154, user=8.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late-spring, user=4.3, list=Letterboxd Top 250, rank=102)]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6260, presse=없음, spectateurs=4.3)]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EK3gW, user=4.0)] == 여담 == [[파일:v0yLBpL.jpg]] 11년뒤 하라 세츠코는 같은 원작을 공유하는 [[오즈 야스지로]]의 [[가을햇살]]에서 어머니 역을 맡게 된다. 다른 작품이지만 어머니가 된 하라 세츠코의 연기도 특기할만한 점이다. [youtube(6_n7Pz1ANzw)] [[파일:bFNnYvqr.jpg]][* 당시 촬영조수와 하라 세츠코.] 이 영화에서 [[하라 세츠코]]의 자전거를 타는씬이 꽤 유명하다. 정적인 화면, 관찰자의 시점에서 바라보는 카메라 등 당시로선 기법이 굉장히 독특한 작품이었다. 오즈 야스지로의 전매특허라고 볼 수 있는 다다미 쇼트부터 시작해 어쩌면 본격적인 그의 스타일의 출발이라고도 볼 수 있는 작품.[* 단 익히 알려진 높은곳에서 찍는 부감촬영(俯瞰撮影)은 이때를 기점으로 거의 사라지게 된다.] 부녀간의 세밀한 감정과 심리묘사의 추이가 정제된 영화로 둘 간의 이야기가 꽤나 섬세하게 그려져있다. 오즈 야스지로만의 엄정한 형식미로 의미를 비추는 방식이 눈에 띈다고도 볼 수 있는 부분. 단순히 배경만을 통해서도 인물의 감정을 생생히 전달하는데 지금 봐도 표현방법이 꽤나 미적이며 첨단적이다. 이 작품의 전후를 기점으로 자신의 테크닉을 점점 정돈해가면서 그는 세대차,가족 내에서의 죽음,[[결혼]]문제,실직등과 같은 당시의 자화상격인 어느 곳에나 있을법한 [[가족]]이야기에 더욱 초점을 맞추게 된다.[* 하지만 커리어를 거듭해가며 계속해서 비슷한 작품을 만들다보니 단순한 자기복제 같이 느껴지고 그의 작품 특유의 매력이 퇴색되어갔다는 평도 더러 존재한다.] 혹자는 이 영화에서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느낀다고 하는데 사실 많은 자녀들이 부모가 재혼을 한다고 하거나 연인이 생겼다고했을 때 영화속 노리코의 극단적인 태도까진 아니더라도 비슷한 현상을 겪는다고한다. 자식의 감정에서 생각해보면 그리 달가운 일은 아닌듯한데 어쩌면 그 감정에 적절히 맞는 사실적인 묘사일지도 모른다. ||'''촬영당시의 모습'''|| [[파일:YIhrdQe.jpg]] [[파일:QvAZLuZr.jpg]] '''오즈 야스지로 감독과 그의 촬영 조수''' [[파일:L6WFq2Q.jpg]] '''영화 완성기념[[사진]]''' == 관련 문서 == * [[시네필 안내서]] [[분류:오즈 야스지로]][[분류:1949년 영화]][[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퍼블릭 도메인/영화]][[분류:쇼치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