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晩春驛 / Manchun Station}}} ||<-3> {{{+2 '''만춘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함경북도 만춘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Manch'un || || [[한자]] ||<-2><|2> 晩春 || || [[중국어]] || || [[일본어]] ||<-2> [ruby(晩, ruby=マン)][ruby(春, ruby=チュン)] || ||<-3> '''주소''' || ||<-3> [[함경북도]] [[김책시]] 만춘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청진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평라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함경선]] ||<-2> 1924년 10월 11일 || ||<-3> '''열차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일신역(평라선)|일 신]][br]← 7.7 ㎞ || '''[[평라선]]'''[br]만 춘 || [[라진역|{{{#585858 {{{#!html
라진 방면
}}}}}}]][[쌍룡역(평라선)|쌍 룡]][br] 5.7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라선]]의 철도역. [[함경북도]] [[김책시]] 만춘리 소재. == 상세 == [[평양역]]을 출발해서 (완벽한 최단거리는 아니지만) 평라선을 따라 530km를 넘게 달리면 드디어 함경북도에 진입한다. 뭐 여전히 상/하행 모두에게 갈 길은 겁나게 멀지만, 하행 입장에서는 [[평안남도]] 구간 165km, [[함경남도]] 구간 365km를 지났으니 2/3이 지난 셈이다. 행정구역이 바뀌었으므로 이 역부터는 관할 구역이 [[함경남도]]와 [[강원도(북한)|강원도]]인 함흥철도총국에서 [[량강도]]와 [[함경북도]]를 관할하는 청진철도총국으로 소속이 바뀐다. [[여해진역]] - [[김책역]] 구간은 마천령산맥의 끝자락을 지나기 때문에 터널 - 잠시 휴식 - 터널 - 잠시 휴식 - 이하반복 - 갑자기 해안선으로 급 접근 - 역 통과 - 다시 터널 - 이런 식이다. 그 한가운데에 있는 역이 이 만춘역. 해안철도답게 만춘역과 해안선 사이의 거리는 불과 70여 m. 물론 마천령산맥이 길을 잘 막고 있는 관계로 사실상 마을의 성장을 기대하기는 불가능하다. [[일신역(평라선)|일신역]] 인근의 봉화리, [[쌍룡역(평라선)|쌍룡역]] 인근의 쌍룡동과 마찬가지로 평라선 아니었으면 틀림없이 소외된 마을 신세를 면치 못했을 것이다. [[분류:평라선]][[분류:192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