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GX/등장인물]] ||<-4><#000000> '''{{{#fff 프로필}}}''' || ||<-3>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태그포스만죠메장남.pn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태그포스만죠메차남.png|width=100%]]}}} || ||<-4> {{{#ffffff,#dddddd {{{-2 [[유희왕 태그 포스|{{{#fff 유희왕 태그 포스}}}]] 기본 스탠딩 일러스트}}}}}} || ||<#000000> '''{{{#fff 이름}}}''' ||<-2>[[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万丈目, ruby=まんじょうめ)][ruby(長作, ruby=ちょうさく)][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조샤크 [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lade Princeton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万丈目, ruby=まんじょうめ)][ruby(正司, ruby=しょうじ)][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레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Jagger Princeton || ||<#000000> '''{{{#fff 성별}}}''' ||<-3>남성 || ||<#000000> '''{{{#fff 나이}}}''' ||<-3>불명[* 두 사람 모두 성인으로 보여 막내인 쥰과는 터울이 꽤 있는 듯 하다. 쇼지와는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나 쵸사쿠의 외모로 보아 최소 10세 언저리 즈음의 터울인 듯하다.] || ||<#000000> '''{{{#fff 가족}}}''' ||<-3>남동생 [[만죠메 쥰]] || ||<#000000> '''{{{#fff 직업}}}''' ||<-2>[[정치인]][* 작중에서 선거유세 때문에 바쁘다는 언급이 있었다.] ||[[금융인]][* 작중에서 은행 결산 때문에 바쁘다는 언급이 있었다.] || ||<#000000> '''{{{#fff 소속}}}''' ||<-3>만죠메 그룹 || ||<|3><#000000> '''{{{#fff 성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히라노 타카히로^^쵸사쿠^^[br]토미타 마코토^^쇼지^^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3>불명^^쵸사쿠^^[* [[윤동기]]로 추정.][br][[손정성]]^^쇼지^^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3>토니 살레르노^^쵸사쿠^^[*A 12화], 조나단 토드 로스^^쵸사쿠^^[*B 25화~49화][br]조나단 토드 로스^^쇼지^^[*A], 맷 호버맨^^쇼지^^[*B]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등장인물. [[만죠메 쥰]]의 친형들이다. == 작중 행적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정계재계듀얼계.png|width=100%]]}}} || [[대기업]] 만죠메 그룹을 관리하는 가문으로 장남 쵸사쿠, 차남 쇼지, 삼남이자 막내 쥰으로 구성된 일가족이다. 쵸사쿠와 쇼지는 각각 [[정계]]와 [[재계]]의 톱, 그리고 쥰은 [[듀얼 만능주의|카드게임계의 톱이 되어 만죠메 그룹이 세계를 제패하겠다는 야망을 꿈꾸고 있었다.]] 허나 그것을 이루기 위해 [[듀얼 아카데미아]]에 입학한 쥰은 카드게임계의 톱은 커녕 당장 오벨리스크 블루 자리를 유지하기도 간당간당한 상태가 되어[* 이유는 당연히[[유우키 쥬다이|.........]]] 듀얼 아카데미아를 탈주, 분교 아카데미아 노스 교의 킹에 등극하여 듀얼 아카데미아 본교 VS 노스 교 대항전 대표로 출전하게 된다. 쵸사쿠와 쇼지는 막내를 밀어준다는 명분으로 일본 전국 TV 중계를 하거나, 자신들이 준 레어 카드[* 사족으로 이 카드들 중에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이 포함되어 있었다.]를 사용할 것을 강요하고, 우리 형제의 열등생이지만 만죠메 그룹의 이름을 건 이상 패배는 결코 허용되지 않는다며 쥰에게 압박을 주었다. 듀얼에서 자신의 카드로 이기고 싶었던 쥰은 쵸사쿠와 쇼지가 준 카드를 쓰지 않았고 [[유우키 쥬다이]]에게 패배하자 격분하여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쥰의 멱살을 붙잡고 비난했다. 이들 형제가 막내를 몰아붙이는 방식이 심해 제 3자인 쥬다이조차 만죠메를 두둔했고, 당시 엘리트주의에 찌들어있던 크로노스 교수도 이에 동의했다. 이대로 물러나는가 싶었더니 35화에서 이번에는 본인들이 직접 듀얼 아카데미아를 손에 넣어 카드게임계에 군림하는 것으로 방향을 수정. 듀얼 아카데미아의 매각 건을 의논하기 위해 오너 [[카이바 세토]]를 찾아가 매각을 제의했더니 > '''좋지. 미래의 로드는 자신 스스로의 손으로 여는 것.''' > '''듀얼 아카데미아에는 네 녀석에게 질 듀얼리스트 따위, 한 명도 없다.''' > '''네 놈이 이기면 학교 따위 내주마!''' 라는 대답을 받아 학교의 매각을 건 듀얼 대전의 상대방으로 동생인 쥰을 지목한다. 단, 이미 듀얼리스트인 쥰과 달리 쵸사쿠는 초심자라서 공격력 500이하의 몬스터만 사용하는 핸디캡을 달기로 하고.[* 카이바는 이 또한 "초보자 상대니까 당연하지."라며 허락했다.] 이후 듀얼에서 쵸사쿠가 패배하자 복수를 하겠다는 쇼지를 말리며 쥰은 우리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커져 있었다며 막내를 인정하는 발언을 남긴다. 이 듀얼을 마지막으로 만죠메 형제들이 등장하는 일은 1기 후반부 삼환마 사건 때 지나가듯 나오는 것[* 이 분들 카드도 예외없이 삼환마한테 정기를 빨린다.]을 빼면 없지만, 쵸사쿠가 쥰의 성장을 인정한 점을 고려하면 형제 관계는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4기에서 쥰이 계속 프로리그 취업에 실패하자 만죠메 그룹을 스폰서로 쓰면 안 되냐는 방해꾼 옐로의 물음에 "형들에게 입은 은혜를 갚겠다."고 말했으니 1기 이후로는 동생을 지원해준 듯. == 기타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애니패러렐레어.png|width=100%]]}}} || * 쵸사쿠의 듀얼은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몇 안 되게 레어도가 표현된다.[* 최초는 듀얼몬스터즈에서 나온 유우기vs밴디트 키스 전. 이 외에는 ARC-V에서 [[사와타리 신고]]의 초반 덱.] 전부 [[패러렐 레어]] 사양이라 솔리드 비전으로 소환된 몬스터들도 홀로그램처럼 반짝거린다. * 12화에서 만죠메 그룹의 세계 재패 계획을 설명하며 정계, 재계, 그리고 듀얼계를 말하는 부분이 심히 유희왕스러워서 종종 커뮤니티 등지에서 유희왕의 [[듀얼 만능주의]] 수준을 요약할 때 자주 언급된다. 유희왕을 모르는 사람은 일개 카드 게임이 정치권과 경제권에 버금가는 입지를 가진다는 점에서, 유희왕을 아는 사람은 형들이 동생한테 가장 힘든 분야를 몰아줬다면서 웃음거리가 되는 부분. * 쥰을 포함한 이들 삼형제 이름의 모티브는 일본의 1970년대 코미디언 트리오 레츠고 세 마리(レツゴー三匹). 구성원의 이름이 한자는 좀 다르지만 쇼지, 쥰, 쵸사쿠로 거의 노린 수준. * 유희왕에서 흔치 않게 형제끼리 매우 닮은 케이스다. 당장 전작의 [[카이바 세토]] - [[카이바 모쿠바]]는 물론, ZEXAL의 [[텐조 카이토]] - [[텐조 하루토]]나 트론 일가까지 친형제임에도 외모가 닮은 구석이 하나 없는데 만죠메 삼형제는 머리색, 눈색, 눈매까지 같은 유전자를 공유했다 느껴질 정도로 유사하다. 사족으로 큰형인 쵸사쿠가 턱수염이 난 외모인 것으로 보아 쥰과는 터울이 꽤 되는 듯하다. * [[https://youtu.be/u4-5pofdH3g|만죠메 형제 더빙판 보이스]]. == 사용 카드 == 작중에서는 쵸사쿠만 듀얼을 했다. 25화에서 쥰한테 사용을 거절당한 카드들로 덱을 구축. 빠르게 몬스터를 전개해서 타점으로 밀어붙이는 단순하고 강한 전술[* 물론 현실 OCG에서도 자주 쓰인 패턴이긴 하다. 쵸사쿠의 소지 카드들을 보면 대략 드래곤족 비트다운으로 보는 것이 맞다.]로 초심자치고는 핸디캡을 건 상태이던 쥰을 몰아붙였다. 심지어 당시 경기를 보고 있던 미사와는 '''저 사람 초심자가 정말 맞나?'''라고 말할 정도. 나중에 [[삼환마]]의 강림으로 인해 이 카드들의 혼이 흡수당하는 일이 벌어졌지만 쥬다이의 승리 후 원래대로 돌아오게 된다. * 일반 몬스터 * [[신룡 라그나로크]] * [[다이아몬드 드래곤]] * [[에머랄드 드래곤]] * [[사파이어 드래곤]] * [[트라이혼 드래곤]] * [[붉은 눈의 흑룡]] * 효과 몬스터 * [[드래곤의 제왕]] * [[해룡-다이달로스]] * [[가변기수 간나드래곤]] * [[속사포 드래곤]] * [[레어메탈 드래곤]] *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다만 당시에는 현실에서나 애니에서나 금지였기에 실제로는 덱에 넣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융합 몬스터 * [[용마인 킹드라군]] * [[블랙 데몬즈 드래곤]] * 마법 카드 * [[융합(마법 카드)|융합]] * 함정 카드 * [[더스트 토네이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GX/등장인물, version=311, paragraph=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