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20호 ||<|2> ← || '''121호''' ||<|2> → || 122호 || || [[지장사 팔상도]] || '''만월암 석불좌상''' ||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0호}}}]]''' || ||<-2> {{{#fff {{{+1 '''만월암 석불좌상'''}}}[br]{{{-1 滿月庵 石佛坐像}}}}}}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길 92-4,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길 92-4[br]([[도봉동]] 산31, 만월암) || || '''{{{#fff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 '''{{{#fff 수량 / 면적}}}''' || 1軀 || || '''{{{#fff 지정연도}}}''' || [[1999년]] [[5월 19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조선 후기]]([[1784년]])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만월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36299.jpg|width=100%]]}}} || || {{{#fff ''' 만월암 석불좌상[* [[https://m.cha.go.kr/public/commentary/selectImgDetail.do?s_kdcd=&s_ctcd=&ccbaKdcd=21&ccbaAsno=01210000&ccbaCtcd=11®ion=&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ccbaCncl=&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cbaLcto=&ccbaGcode=&ccbaBcode=&ccbaMcode=&culPageNo=1&returnUrl=&ccbaCpno=2111101210000&tabGubun=#&gid=null&pid=1|사진 출처 - 문화재청 나만의 문화유산해설사.]]]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만월암의 석불좌상이다. '석불좌상(石佛坐像)'은 '[[돌]](石)로 만든 앉아 계신(坐) [[부처님]](佛)의 상(像)'을 말한다. 1999년 5월 19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1호로 지정받았다. == 상세 == 만월암의 만월보전 안에 있다. 만월보전은 석굴에 마련된 법당으로 2002년에 혜공 스님이 지었다. 조선 후기에는 나무로 불상을 많이 만들었으며, 돌로 만든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런 면에서 이 석불좌상은 희귀한 가치가 있다. 언제 만들었는지는 모르나 석굴 벽에 '[[건륭제|건륭]] 49년 6월에 금칠을 다시 칠했다'고 새겨진 것을 보아, 최소 1784년([[정조(조선)|정조]] 8년) 이전에는 제작한 듯 하다. [[삼전도의 굴욕]] 이후 조선에서는 [[청나라]]의 [[연호]]를 사용했으므로, 당시 청나라 황제였던 [[건륭제]]의 연호를 쓴 것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3630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만월암석불좌상우측협시불상.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36302.jpg|width=100%]]}}} || ||<-3> {{{#fff '''만월암 석불좌상. 왼쪽은 본존불, 가운데와 오른쪽은 본존불을 모시는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다.[* [[https://m.cha.go.kr/public/commentary/selectImgDetail.do?s_kdcd=&s_ctcd=&ccbaKdcd=21&ccbaAsno=01210000&ccbaCtcd=11®ion=&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ccbaCncl=&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cbaLcto=&ccbaGcode=&ccbaBcode=&ccbaMcode=&culPageNo=1&returnUrl=&ccbaCpno=2111101210000&tabGubun=#&gid=null&pid=1|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나만의 문화유산해설사.]][br][[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303&ccbaKdcd=21&ccbaAsno=01210000&ccbaCtcd=11|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br][[https://m.cha.go.kr/public/commentary/selectImgDetail.do?s_kdcd=&s_ctcd=&ccbaKdcd=21&ccbaAsno=01210000&ccbaCtcd=11®ion=&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ccbaCncl=&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cbaLcto=&ccbaGcode=&ccbaBcode=&ccbaMcode=&culPageNo=1&returnUrl=&ccbaCpno=2111101210000&tabGubun=#&gid=null&pid=1|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나만의 문화유산해설사.]]] '''}}} || 가운데에 메인 [[불상]]이 크게 있다. 이를 본존불이라 한다. 높이는 1.5m 정도로 웬만한 사람 크기만 하다. 머리 위에는 볼록 튀어나온 부분이 있고[* 이를 정상계주라고 한다.], 머리와 육계[* [[상투]]같이 생긴 것인데, 상투와는 다르다. 상투는 머리카락만 올리는 것이고, 육계는 불교설화에 따르면 [[부처님]]의 정수리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형태가 된 것이기 때문이다.]의 경계선 부분에는 반달 모양의 중간계주가 묘사되어 있다. 불상 색은 흰 색이며 얼굴은 입체감이 뚜렷하다. 상체에 [[가사]]를 착용했는데 그 위에 한 벌 더 입었다. 오른손은 다리에 놓았고 왼손은 살짝 들어 오른발 위에 두었는데 왼손 위에는 빨간 구슬이 놓여 있다. 이 구슬이 [[약]] 사발을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석상에서 묘사한 부처님을 약사불로 여기는 경우도 있지만, 근현대에 따로 만든 것이라서 확실하지는 않다. 그 양 옆에 부처님을 모시는 관음보살상과 [[지장보살]]상이 있다. 메인 불상처럼 다 결가부좌를 한 채 앉아 있으며, 색은 흰색이다. 크기는 매우 작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지장사 극락구품도, version=6)] [[분류:석조 불상]][[분류:좌불상]][[분류:서울특별시의 불상]][[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