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돌격]]시에 "만세"등의 [[배틀 크라이]]를 외치며 행하는 돌격 방식. 주로 돌격에서 외치는게 공격측의 사기 고취를 위한 자국에 대한 찬양, [[왕]]에 대한 찬양이기에 세계적으로 이런 류의 돌격은 많았지만, 이 문서에서는 특히 유명한 예시를 정리해보려 한다. === [[엘랑 비탈#s-2]] === === [[우라 돌격]] === [[러시아 제국]] 시절부터 [[소련]]을 거쳐 현대 [[러시아]]군에서도 운용하고 있는 유구한 전술로 특히 [[독소전쟁]] 당시 독일군에게 행한 우라 돌격이 유명하다. 때문에 독소전을 다루는 영화에서 소련군이 이 돌격을 감행하는 장면이 자주 연출되며, 그 중에서도 [[에너미 앳 더 게이트]]의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우라 돌격 장면이 유명하다. 단, 해당 영화에서 "2인당 한 사람에겐 총 한 정, 한사람에겐 클립 하나"를 주었다는 건 소련군에 대한 서방의 멸시가 투영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 [[반자이 돌격]] === 인류의 전사(戰史)에서 돌격을 빼놓고 얘기하기 힘들듯, 일본에서도 돌격은 가장 기본적인 전술로 전국시대 그 이전부터 행해져 왔다. 그러나, 흔히 "반자이 돌격"이라고 얘기하면 [[태평양 전쟁]]때 --[[미군]]에게 자기네가 정의구현 당한-- [[일본군]]이 미군에게 감행한 돌격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우라 돌격의 경우 알보병만 적진에 떠미는 방식이 아니라 [[공군]]과 [[기갑]], [[포병]]의 강력한 화력지원, 하다못해 [[기관총]], 그마저도 없다면 탄약이라도 넉넉히 쥐어 보내는 등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행하는 정교한 전술이었다. 그러나 일본군은 '''그럴 생각도 돈도 없었다'''. 이들은 당시 잠재적 적군인 [[국부군]], [[소련군]], [[미군]]을 일본군보다 열등하고 정신무장도 덜 되어 있는 약체군대라고 평가했다(...). 여러 이유로 당나라 군대 수준이었던 중국군과 싸우던 [[중일전쟁]]에서는 일본군이 '화력'이나 '경제력'면에선 앞서나갔으며, 이 당시엔 일본군의 보급이 어느정도 되었기에 실전에서 나름대로의 효과를 거뒀다. 그러나 그 "일본군보다 정신적으로 열등한 군대" 소련군과 맞붙은 [[할힌골 전투]]에서 이 평가가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는 걸 눈으로 확인했다. 이 전투에서 소련군은 30년전 [[러일전쟁]] 패전 이후에 그야말로 환골탈태하여 관동군에게 압도적인 참패를 안겼다. 저 지경까지 몰리면 전술이 잘못되었음을 인지하고 재검토를 할 필요가 있지만 일본군 수뇌부는 이 전술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우를 범한다. 그후 [[진주만 공습|1941년 12월 7일]], 태평양 전쟁이 개전한 후에도 정신력 운운하다 미군을 상대로 졸전을 거듭한 끝에 수치스러운 항복을 하기에 이른다. [[분류:전략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