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2 '''만리포 해수욕장'''}}}[br]'''萬里浦海水浴場 | Mallipo Beac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만리포해수욕장.jpg|width=100%]]}}} || ||<-2> {{{#white 만리포해수욕장의 모습}}}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지는만리포.jpg|width=100%]]}}} || ||<-2> {{{#white 만리포해수욕장 광장에서 바라본 일몰 무렵의 만리포의 모습.}}} || || '''{{{#white 개장일}}}''' || [[1955년]] || || '''{{{#white 주소}}}'''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 ||<-2> [[http://www.malipo.net/tour04.php|사이트]] || [목차] [clearfix] [[파일:만리포노래비.jpg]] >똑딱선 기적소리 젊은 꿈을 싣고서 >갈매기 노래하는 만리포라 내 사랑 >그립고 안타까워 울던 밤아 안녕히 >희망의 꽃구름도 둥실둥실 춤춘다 > >점찍은 작은 섬을 굽이굽이 돌아서 >구십리 뱃길 위에 은비늘이 곱구나 >그대와 마주앉아 불러보는 샹송 >노젓는 뱃사공도 벙실벙실 웃는다 > >[[만리포사랑]] - [[반야월]] 작사 / [[김교성]] 작곡 / [[박경원(1931)|박경원]] 노래 == 개요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에 있는 [[해수욕장]]. [[대천해수욕장]]과 더불어 충청남도에서 유명한 해수욕장 중 하나다. == 역사 == 만리포가 첫 개장한 건 1955년이다. 2007년에는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태안 기름유출 사고]]를 직접적으로 피해를 보기도 했다. == 특징 == * 대한민국 충남 태안반도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해수욕장 앞 만리포 노래비 옆 바닥에 [정서진] "서쪽 땅끝"이라고 새겨진 돌판이 있는데 정서진(正西津)을 잘못 이해한데서 생긴 것이며, 공식적으로 정서진은 인천에 있다. * 백사장 좌우 끝 (지도상으로는 남/북 끝)에는 숲(북)갯바위(남)가 있어서 낚시객들이 바위 위에서 낚시를 한다. 넙치, 가자미 도다리 등이 잡히며, 갯바위 부근에서는 때에 따라 감성돔 같은 고급 어종까지 낚인다.(씨알은 작은 편이다) 맹독이 있어 아무 쓸모 없는 복섬(지역명 졸복)도 잘 올라온다. 해수욕장 안 하는 기간에는 백사장 가운데에서 200 미터 이상 미끼를 날리는 초 원투 [[낚시]]를 하는 낚시꾼도 꽤 있다. 야간에는 붕장어도 나온다. 서해인이라 간만 차가 커서 물가로 다가가고 물러나 가면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심심치 않게 고기가 나온다. * 북쪽으로 올라가면서 천리포, 백리포, 십리포, 일리포로 1/10씩 줄어드는 이름의 작은 해안이 더 있다. 규모도 갈수록 줄어드는데, 크기마저 십분의 일은 아니고, 천리포는 해안선 길이는 만리포의 절반 정도이나 닭섬이라는 썰물 때 걸어 들어갈 수 있는 섬이 있고, 방파제와 배가 들어오는 포구인 천리포항이 있어서 전체 규모가 꽤 크다. 만리포와 천리포 사이에는 천리포 수목원이 있다. 천리포는 방파제 덕에 내항이 매우 잔잔하고 파도도 거의 안 들어와서 어린이들과 놀기 좋은 편. == 접근성 및 교통 == * [[32번 국도]]([[서해로]])의 기점이 있는 곳이라, 자가용을 이용해 수도권에서 내려온다면 [[서해안고속도로]] [[서산IC]]에서 진출해 32번 국도 표지만 보고 쭉 따라가면 된다. 서산 도심에서는 양열(북)로를 이용해 서산 도심 외곽을 지나가는 우회로도 있다. * 해수욕장 인근에 만리포시외버스정류소가 있으며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 성남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다만, 운행횟수는 중간 경유지 태안에서 일부 편성이 타절 또는 종착지인 안면도로 향하는 차편이 있어 배차가 적은 편인데다, 막차가 생각보다 빨리 끊기기에 시간표를 확인해야 한다. [[분류:충청남도의 해수욕장]][[분류:태안군의 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