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한의 국가)] [목차] == 개요 == {{{+1 萬盧國}}} 《[[삼국지(정사)|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소개된 [[마한]] 54개국 중 하나이다. 《[[남제서]]》에 따르면 490년 [[백제]]의 왕족 [[부여력]]이 [[동성왕]]에 의해 매로왕(邁盧王)이라는 작위를 제수받았다고 하며, 같은 해 귀족 [[사법명]]이 [[북위]]로 기록된 [[백제-북위 전쟁|어떤 세력을 격파하자]] 495년에 그 공훈으로 매라왕(邁羅王)에 임명되었다고 전한다. 또한 《[[삼국사기]]》에는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웅진도독부]]가 설치될 때 매라현(邁羅縣)이라는 지명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의 '매로'와 '매라'는 과거 만로국이 위치했던 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위치는 불명이나, 《삼국지》에 기재된 마한 소국 목록에서 보통 [[익산시]]에 비정되는 [[감해국]]과 [[김제시]]에 비정되는 [[벽비리국]] 사이에 등장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라북도]] [[군산시]] 일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기록된 [[백제]]의 지명 마서량현(馬西良縣)은 군산시 [[옥구읍]]에 있었는데, 웅진도독부 기사에는 위 문단에서 언급한 매라현이 마사량(麻斯良)[* 《삼국사기》 〈지리지〉 4권에도 기록된 표기로, 마서량현과 동일한 지명을 다른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바로 다음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만로국 역시 옥구읍과 가까운 지역에 자리잡았을 것이다. 멸망한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만로국과 인접해 있던 벽비리국이 《[[일본서기]]》의 기록을 통해 369년 3월 백제에 항복했다는 사실이 확인되므로 만로국 역시 비슷한 시기에 백제에 흡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남제서》의 기록을 통해 적어도 5세기 말에는 백제의 직할령으로 편입되었음이 입증된다. [[분류: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