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2> '''슈츠슈타펠 상급집단지도자[br]{{{+2 막시밀리안 폰 헤르프}}}[br]Maximilian von Herff ''' ||||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막시밀리안 폰 헤르프 대장.jpg|width=100%]]}}}|||| || {{{#FFF 이름}}} ||<(>'''Maximilian Karl Otto von Herff'''[br] 막시밀리안 카를 오토 폰 헤르프[*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헤르프'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 || {{{#FFF 출생}}} ||<(>[[1893년]] [[4월 17일]], [[독일 제국]] [[하노버]] || || {{{#FFF 사망}}} ||<(>[[1945년]] [[9월 6일]], [[영국]] 울버스톤 || || {{{#FFF 복무}}} ||<(>[[독일 제국군]] [br] [[독일 국방군]] [br] [[슈츠슈타펠]] (1942년 ~ 1945년) || || {{{#FFF 최종계급}}} ||<(>[[독일 국방군]] [[대령]] [br][[무장친위대]] [[슈츠슈타펠]] [[대장(계급)|대장]] (상급집단지도자) || || {{{#FFF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br] [[제2차 세계 대전]] [br] [[북아프리카 전선]] || || {{{#FFF 주요 서훈}}} ||<(> [[철십자 훈장|기사철십자 훈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치 독일]]의 [[슈츠슈타펠|친위대]] 상급집단지도자 및 [[무장친위대]] [[대장(계급)|대장]]. == 초기행적 == [[하노버]]에서 태어난 헤르프는 [[제1차 세계 대전]] 때 종군하여 1, 2급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 [[제2차 세계 대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폰 헤르프 국방군.jpg|width=100%]]}}} || ||<#ddd> 국방군 복무 시절의 사진 || 전후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나치 시대]]의 [[독일 국방군]]에 잔류했던 그는 [[1939년]]에 [[중령]]계급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맞이했다. [[북아프리카]] 전투단 <'''폰 헤르프'''>를 지휘하여 활약한 그는 [[1941년]] [[6월]]에 기사철십자 훈장을 받아 [[10월]]에 [[대령]]으로 진급했다. [[1942년]] [[4월 1일]]에 [[나치당]]에 입당한 헤르프는 [[슈츠슈타펠|친위대]]에도 동시에 들어가 [[1942년]] [[5월]]부터 패전까지 친위대 인사본부의 본부장을 지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폰 헤르프 중장.jpg|width=100%]]}}} || ||<#ddd> 친위대 집단지도자 시절의 사진 || == 전후 행적과 최후 == 친위대의 12개 본부의 본부장들 가운데서 유일하게 기사철십자 훈장소유자이기도 했던 헤르프는 독일의 패전 후 [[포로]]가 되어 수감되었다가 [[뇌졸중]]의 악화로 [[영국]]의 군사병원에서 사망했다. [[분류:1893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하노버 출신 인물]][[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의 귀족]][[분류:독일제국군/군인]][[분류:독일 국방군/인물]][[분류:나치당원]][[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뇌혈관질환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