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소개 == [[http://www.youtube.com/watch?v=cziGMPvr-Y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유튜브로 보기]] 과거 코미디 프로 [[웃음충전소]]에서 방영한 코너. 첫방송인 2006년 11월 22일부터 프로그램이 종영되기 2주 전인 2007년 8월 15일까지 방송하면서 웃음충전소의 오프닝을 담당했다.[* 마지막회에 '웃음충전소 남은 2주 동안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는 자막이 뜬 걸 보면 그 전부터 방송 종영이 결정된 듯 하다.] [[타짱]]과 함께 웃음충전소의 대표코너였기 때문에 방영 기간이 타짱과 같다. 출연자는 [[유상무]], [[김현숙(배우)|김현숙]], [[유세윤]]. 코너 테마곡은 칼 오르프의 Carmina Burana(카르미나 부라나) 중 O Fortuna(운명의 여신이여).[* 이 테마곡은 1982년 공익광고인 1983년 신년물이었던 "대 도약의 나래"라는 작품과 1995년 1월에 출시되었던 [[아시아자동차]] [[기아 그랜토|그랜토]] 런칭 광고에 사용되었으며 다른 예능의 배경 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오프닝 멘트는 테마곡에 맞춰 "까라면 까(까!) 하라면 해(해!) 막무가내 중창단~" 출연자 3명이 미션을 마치고 돌아와 코너를 마무리 할 때도 오프닝 멘트를 하고 끝내는데 중반부 들어서는 미션 현장에서 코너가 끝날 때가 많으며, 시민들과 같이 오프닝 멘트를 외치기도 한다. 나중에 다시 3명 모두 세트장으로 복귀한 뒤 마무리 짓는 형식으로 돌아왔지만 오프닝 멘트는 외치지 않고, 출연자 중 한명을 까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세 명이 노래를 하다가 미션이 되는 노래 가사에 경고음이 울리면 그 가사를 부른 사람이 프로 레슬러 두 명에게 끌려가 벽을 깨고 야외로 나와 노래 가사대로 행동하는 게 주 내용이다.[* 미션을 하는 장소는 대부분 사람이 많은 도심. 그러다 보니 타 연예인을 만나는 경우도 있다.([[안토니오 반데라스]], 김완기 등)] [[파일:attachment/신도림역/stripshow.jpg]] 첫 화에서 [[유상무]]가 자우림의 [[일탈(자우림)|일탈]] 가사 중 '[[신도림역]] 안에서 [[스트리퍼|스트립쇼]]'를 [[https://www.youtube.com/watch?v=QrVcsRmkJnk&t=130s|정말 실행해 화제가 됐다.[[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최신 유행 곡의 비율이 적고 [[7080세대]] 곡이 많이 나온 게 특징. 하반기에는 인지도가 낮은 곡들이 많이 나왔는데 미션이 될 만한 가사가 있는 곡을 골라야 해서 그런 듯. 처음엔 셋 다 힘든일만 했지만 시간이 지난 후 컨셉이 정해지면서 각자 미션 구성이 달라졌다. 아래에 등장인물을 참고. 가학성 문제가 지적됐는지[* 실제로 방통위에서 품위 유지 위반으로 웃음충전소 방송 자체에 권고 조치를 내렸다. 막무가내 중창단은 물론이고 타짱 또한 출연자를 쟁반으로 때리는 장면을 급격히 줄였다.] 후반부에 가면 힘든일보다는 코스프레를 하고 도심을 돌아다니며 시민들과 같이 노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한 명이 미션을 수행하러 나가면 무대에 남은 두 사람이 나간 사람~~아니, 사실 유상무만~~을 디스하기도. 시민들의 반응이 중요한 코너. 대부분 저게 뭐야 하면서 무시하지만 코너의 인기가 올라갈수록 적극적으로 반응해주는 사람들이 늘었다. 외국인들은 대체로 잘 호응해주는 편. 어떤 미션에는 출연진보다 더 이상한 시민을 만나기도 했다. 코너 특유의 거리에서 이상한 행동하며 돌아다니는 컨셉이 굉장히 민폐여도 재미는 있기 때문에 "'''요즘 이런 방송 나오면 바로 잘린다'''"며 같은 시기에 방영한 [[시키면 한다! 약간 위험한 방송|이 프로그램]][* 프로그램 컨셉도 딱 겹친다. 다만 막무가내 중창단이 단순히 웃음을 주기 위한 목적이라면 이쪽은 호기심을 풀기 위한 다른 목적을 갖고 있다.]과 마찬가지로 추억하면서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여담으로 [[김현숙(배우)|김현숙]]의 코미디언 시절 마지막 출연작이며 이후 [[tvN]]의 [[막돼먹은 영애씨]] 출연을 계기로 완전히 배우로 전업했다. == 등장인물 == * 유상무 - 힘든 일 전담.[* 유세윤이 알아봤는데 자기가 웃기지를 못하니까 힘든 일 시켜주라고 부탁한 거라고 한다.] 늪에 빠지기, 발로 차이기, '''쓰레기차에 실리기, 바퀴벌레 되기''' 등, 셋 중에서 제일 처절하게 미션을 수행한다. 여기에 [[김병만]]까지 대동해 개고생한다.[* '천둥산 박달재를 울고 넘는 우리 님아(박재홍 - 울고 넘는 박달재)', '밤비 내리는 영동교를 홀로 걷는 이 마음(주현미 - 비내리는 영동교)', '살 빠질 것 같아(방실이 - 뭐야 뭐야)' 미션에 출연했는데 세편 다 유상무를 고문했다.] 가끔 안 힘든 미션을 시키면 웃기긴 하는데 좀 짜증나는 민폐개그를 한다. 어떨 때는 세트장에 돌아왔다가 다시 미션하러 나가기도 한다. [[연인]] 때 썼던 "오빠~ 기분 좋아졌어!"를 여기서도 줄창 밀었다. 코너 하반기에는 무슨 짓을 해도 사람들이 다 싫어하는 캐릭터가 되었다. * 김현숙 - 유상무 만큼은 아니지만 모나리자가 되어서 낙서세례를 받거나 해병대 훈련을 받는 등, 은근히 힘든 일을 하고 본인도 이 점을 인정했다. 사람들을 놀래키는 미션도 자주 하는 편. 미션 도중에 남자를 꼬시는 일도 잦다. 최대 히트작이 [[출산드라]]이기 때문에 김현숙을 본 시민들은 반드시 출산드라라고 언급을 해준다. * 유세윤 - 초기에는 나머지 둘과 똑같이 힘든 일을 했지만 그 후 셋 중 제일 힘들지 않은 일을 한다.[* 가끔씩 힘든 일을 맡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1회에서 수산시장에서 해녀 복장을 하고 수조로 들어간 것.] 주로 시민들과 같이 놀고 그 와중에 여자를 꼬시는 미션이 많다. 자기는 MC를 하고 시민들을 불러모아 대회를 하기도. 유세윤이 개그 실력이 되기 때문에 대부분 재밌는 편. == 방영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막무가내 중창단/방영목록)] [각주] [[분류:KBS 예능]][[분류:2006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07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07년 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