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프랑스 출신의 네팔 승려, 사진가, 명상지도자. == 생애 == 1946년 저명한 철학교수인 아버지 밑에서 태어났으며 세포유전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2년 딜고 켄체 린포체를 스승으로 네팔에서 출가하였다. 이후 생애의 대부분을 히말라야 산맥에서 불교수행을 하며 보냈다. ===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 === >여러 명상가를 대상으로 몇 년 전 미국 위스콘신주의 매디슨대학의 '마음과 삶 연구소'가 진행한 연구에 참가했다. 256개의 센서를 붙이고 기능성자기공명영상장치(fMRI)로 뇌의 움직임을 관찰한 결과 15명 이상의 숙련된 명상가들이 자비명상을 시작했을 때 좌측뇌 전전두피질이 신경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활성화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 활성화 수치가 우연히도 내가 제일 많았던 걸 두고 언론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라고 불렀는데, 별로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나는 그것을 철학적으로 받아들여 즐기려고 한다. '당신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입니까'라는 질문을 받으면 '누구나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될 수 있어요. 올바른 곳에서 행복을 찾고 있다면 말입니다'고 답한다. 진정한 행복은 오랜 기간 지혜와 이타심, 자비를 닦음으로써만, 그리고 증오, 집착, 무지와 같은 정신적인 독소들을 제거함으로써만 얻을 수 있다. >---- >2012년 방한 시 한국일보와의 인터뷰[* [[https://m.news.zum.com/articles/4250552|"자기만의 행복은 없죠… 이타주의와 밀접한 관계" - 한국일보]]] 메디슨 대학의 명상과 두뇌, 행복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으로도 알려졌다. == 사상 == >연민은 ‘모든 중생이 고통과 그 원인에서 해탈하기를 바라는 발원’이라 할 수 있다. 고통의 성격이 어떤 것이든, 그 고통에 휘둘리는 존재들이 누구이든, 불교의 연민은 모든 존재를 두루 포용한다 >---- >티베트 지혜의 서 126~129쪽[*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37271866|알라딘: 티베트 지혜의 서]]] 이타심이 인간의 가장 본연의 감정이자 가치임을 역설하고 있다. 그가 승려가된 계기도 티베트와 네팔의 사람들에게서 사랑과 이타심을 완벽한 예를 보았고, 그들과 같은 삶을 살고 싶었기 때문이다. [[분류:티베트의 승려]][[분류:프랑스의 승려]][[분류:사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