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비에 돌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2>
{{{#ffffff '''{{{+2 {{{#1393C2 마티아스}}}와 {{{#C72E28 막심}}}}}}''' (2019)[br]''Matthias & Maxi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티아스와 막심 국내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2> '''{{{#ffffff ▲}}} {{{#1393C2 국내}}} {{{#C72E28 포스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티아스와 막심 포스터.jpg|width=100%]]}}} || ||<-2> '''{{{#5fc6e9 ▲ 원본 포스터}}}''' || || '''{{{#1393C2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C72E28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자비에 돌란]]}}} || || '''{{{#1393C2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자비에 돌란]]}}} || || '''{{{#C72E28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자비에 돌란]], 낸시 그랜트 엘리샤 카미츠, 나다나엘 카미츠}}} || || '''{{{#1393C2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가브리엘 달메이다 프레이타스, [[자비에 돌란]] [[해리스 딕킨슨]], 앤 도벌 ,,외,,}}} || || '''{{{#C72E28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앙드레 터핀}}} || || '''{{{#1393C2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자비에 돌란}}} || || '''{{{#C72E28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콜롬보 레이비, 파스칼 데센느}}} || || '''{{{#1393C2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미셸 블라이스}}} || || '''{{{#C72E28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자비에 돌란]], 피에르이브 가이로드}}} || || '''{{{#1393C2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Fonds Quebecor, PHI Studio, SODEC, Sons of Manual, Telefilm Canada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MK2, Super Ecran}}} || || '''{{{#C72E28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엣나인필름]]}}} || || '''{{{#1393C2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Seville International[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Diaphana Films[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엣나인필름]]}}} || || '''{{{#C72E28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2019년 칸 영화제|[[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19년 05월 19일[br][[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2019년 10월 09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019년 10월 1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6월 30일}}} || || '''[[화면비율|{{{#1393C2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 : 1}}} || || '''{{{#C72E28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19분}}} || || '''{{{#1393C2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C72E28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863,999}}} || || '''{{{#1393C2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374,739}}} || || '''{{{#C72E28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12,531명}}} || || '''{{{#1393C2 국내 스트리밍}}}'''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C72E28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자비에 돌란]] 감독, 주연의 2019년작 [[캐나다]], [[프랑스]] 영화. [[2019년 칸 영화제]] 경쟁부문 출품작.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vUt_mxFndQ)]}}}|| || {{{#5fc6e9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네이버 영화]] ||
'''{{{#1393C2 “이해하고 싶어...}}} {{{#C72E28 이게 우리야”}}}''' {{{#ffffff 단지 친구 사이의 ‘{{{#1393C2 마티아스}}}’와 ‘{{{#C72E28 막심}}}’이 뜻밖의 키스 이후 마주한 세상, 그 시작을 담은 이 순간 뜨겁게 빛나는 우리들의 드라마 너와 나의 드라마는 지금부터}}}|| == 등장인물 == * 가브리엘 달메이다 프레이타스 - 마티아스 역 잘 정돈한 수염을 기르고 있는 남성. 직장에서 승진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의욕적인 편이다. 어느 날 리베트와 내기에서 지는 바람에 반강제적으로 출연한 에리카의 영화에서 상대역이 된 막심과 키스를 하게 된다. * [[자비에 돌란]] - 막심 역 오른 뺨에 있는 큰 붉은 점이 특징인 조용하고 온순한 편인 남성. 바텐더이고, 어머니를 돌보고 있다. 호주로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 어느 날 에리카의 영화에 출연했는데, 하필 마티아스와 키스를 하는 장면이 있었다. * [[해리스 딕킨슨]] - 맥아피 역 * 앤 도벌 - 마뇽 역 * 피어-룩 펑크 - 리베트 역 마티아스, 막심의 불알친구. 티격태격하는 악우에 가깝다. 동생인 에리카가 영화과 학생인데, 급히 2명의 남자 배우를 섭외해야 하는 상황에서 1명은 막심이 하게 되었고, 다른 1명은 리벳이 마티아스에게 내기를 걸어 이겨서 반강제적으로 마티아스를 출연시킨다. * 사무엘 구띠에 - 프랑크 역 * 안토니 필론 - 브라스 역 * 아디브 알카리데 - 샤리프 역 * 미쉘린 버나드 - 프란신 역 * 마릴린 캐스톤과이 - 사라 역 마티아스의 여자친구. * 캐서린 브루넷 - 리사 역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matthias-maxime, critic=60, user=6.6)]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matthias_and_maxime, tomato=66, popcorn=75)] [include(틀:평가/IMDb, code=tt8767908, user=6.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matthias-maxime, user=3.6)]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62235, presse=3.3, spectateurs=3.4)]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178613, user=7.034)]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72984, user=3.63)]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84127,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3795,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134129, user=7.4)]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07Z1e,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5690, light=76.19)]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5273, expert=7.0, audience=8.04, user=8.36)]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31311, expert=없음, user=7.8)] [include(틀:평가/CGV, code=83297, egg=90)] [include(틀:평가/MRQE, code=matthias-and-maxime-m100127533, critic=67, user=없음)] > Matthias and Maxime enchants almost as much as it frustrates, although Xavier Dolan fans may appreciate seeing the writer-director working at a more restrained pitch. >---- > '''<마티아스와 막심>은 황홀한 만큼이나 실망스럽기도 하다. 비록 자비에 돌란 감독의 팬들은 그가 이전보다 조금 더 절제된 내용의 각본으로 작업하는 것을 보게 되어 환영할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평론가 평 === > '''모든 좋은 관계엔 좋은 우정이 있다, 그게 사랑이라도.''' >---- > - [[이동진]] '''(★★★☆)''' > '''수다와 냉가슴 그리고 리듬''' >---- > - [[박평식]] '''(★★★)''' > '''딴 건 몰라도, <Song for Zula>가 흐르는 시퀀스 2개는 황홀하다''' >----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 '''키스, 영화보다 중요한 건 마티아스와 막심''' >---- > - 김철홍 '''(★★★☆)''' > '''조마조마하게 애틋하게 황홀하게'''[br][br]인물이 처한 (‘어떤 상황’이 아닌) ‘어떤 상태’를 자비에 돌란은 어쩜 이토록 애틋하고도 조마조마하게 시청각적으로 구현해 내는가. 상대에게 향하는 마음을 애써 모른 척하다가, 그 마음이 무엇인지 몰라 배회하다가, 그럼에도 어찌할 수 없이 끌리는 본능의 순간들이 스크린 안에서 요동친다. 무엇보다, 무한반복으로 보고 싶은 황홀한 시퀀스가 있다. 어떤 영화는 장면 하나로 여러 단점을 잊게 하기도 하는데, <마티아스와 막심>이 유독 그렇다. 미학적인 미장센과 음악을 감각적으로 배치하는 돌란의 센스는 새로운 게 아니지만, 그 스타일이 조금 더 담백해지고 깊어졌음을 확인했다. >---- > - 정시우 '''(★★★★)''' > 이 작품에서는 거의 처음으로[br]'''청춘을 추억하는 것만 같은 향수의 기분에[br]가득 차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br]<마티아스와 막심>은 얼핏 보면 소품처럼 보이지만[br]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자유가 있고,[br]얼핏 보면 단순한 얘기처럼 보이지만[br]감정적으로는 매우 복잡한 심리가 있습니다. > > [br]'''친구이자, 연인, 형제 같은 이 상관 관계가[br]마티아스와 막심 사이에 놓여져 있습니다.'''[br]이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br]주인공들은 소년과 어른의 세계를 불안정한 상태로 오갑니다.[br]돌란이 찍고 싶어하는 주인공들은 바로 그 불안정한 상태,[br]그 상태를 오가는 심리 상태입니다. > > [br]'''이 영화는 사랑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br]우정 그리고 퀘벡 공동체에 관한 이야기입니다.'''[br]공동체 안에서 두 사람을 묶어주고 있는 감정은 우정과 사랑,[br]그런데 이 사랑은 매우 특별한 사랑입니다.[br]이 둘이 공존하는 것이 가능한가,[br]그리고 지금 이것을 질문하고 있는 것인가라는[br]질문까지 포함하는 영화입니다. > > [br]''자비에 돌란은 화면이 세련되게 보이기를 원치 않습니다.''[br]어린 시절의 그는 멋진 장면을 찍기를 원했지만[br]<마티아스와 맥심>은 그것과 별개인 장면들이 있습니다.[br]'''감정을 쫓는 관객들에게 이 순간이 긴장에 차있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만[br]그걸 별 것 아니게 찍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본 셈이죠.''' > > [br]자비에 돌란은 본인이 무엇을 찍고 있는지[br]정확하게 알고 있었습니다.[br]''그래서 영화는 더 훌륭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br]영화를 찍으며 이 영화에 흐르는 감정들,[br]영화의 세계를 심지어[br]영화 속 인물들조차도 설명하지 못하는 세계를 찍었습니다. > > [br]영화 속 인물들조차도 미처 눈치채지 못하는[br]그냥 스쳐 지나가버리고 있는 것만 같은 터치를[br]이 영화에서는 더 없이 적절한 표현으로 찍어가고 있습니다.[br]'''오늘 날 그걸 흉내내는 것이 아니라 정말 찍어내는 재능을 가진 사람이[br]저는 자비에 돌란이라고 생각합니다.''' > > [br]<마티아스와 막심>은 자비에 돌란의 '''새로운 출발'''이라고[br]확실히 선언할 수 있을 것 입니다.[br]혹은 '''자비에 돌란이 지난 10년을 돌아보는 영화'''라고 말하고 싶어집니다. > > [br]''이 영화는 분명 자비에 돌란이 성숙했음을 보여주는 영화입니다.''[br]저는 이 사람의 다음 영화가 빨리 보고 싶습니다. > > - [[정성일]] [[https://twitter.com/at9film/status/1268430833817317376|출처]]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1,863,999''' ||<:> '''(기준일자)''' ||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374,739''' ||<:> 미정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ffffff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수상 및 후보 이력 == * [[2019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 후보 == 기타 == * 자비에 돌란 영화중 [[탐엣더팜]] 이후로 6년만에 감독 본인 영화에 스스로 주연으로 나온 영화다. == 외부 링크 == * [[https://www.imdb.com/title/tt8767908/?ref_=ttfc_fc_tt|IMDB]] - [[IMDb]]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xP0w_phYrb4|유튜브]] - [[이동진]] 평론가 [[영화당]] 해설 [[분류:2019년 영화]][[분류:캐나다의 드라마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캐나다의 퀴어 영화]][[분류:프랑스의 퀴어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