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SC 나폴리/간략)]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올리베라2324.webp|width=100%]]}}} || ||<-4> '''{{{#fff SSC 나폴리 No. 17}}}''' || ||<-4> '''{{{#1a90cd {{{+1 마티아스 올리베라}}} [br] Mathí­as Olivera}}}''' || ||<-2> '''본명''' ||<-2>마티아스 올리베라 미라몬테스[br]Mathí­as Olivera Miramontes || ||<|2><-2> '''출생''' ||<-2>[[1997년]] [[10월 31일]] ([age(1997-10-31)]세) || ||<-2>{{{-1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주]] [[몬테비데오]]}}} || ||<-2>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우루과이)]'''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2> '''신체''' ||<-2>[[키(신체)|키]] 184cm / [[체중]] 78kg || ||<-2> '''포지션''' ||<-2>[[레프트백]] || ||<-2> '''주발''' ||<-2>왼발 || ||<|2> '''소속''' || '''유스''' ||<-2>[[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클루브 나시오날]] (2010~2016) || || '''선수''' ||<-2>[[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클루브 나시오날]] (2016~2017) [br] CA 아테나스 (2017) [br] '''[[헤타페 CF]] (2017~2022)''' [br] → {{{-1 [[알바세테 발롬피에]] (2018~2019 / ^^임대^^)}}} [br] '''[[SSC 나폴리]] (2022~ )''' || ||<-2> '''국가대표''' ||<-2>16경기 1골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 2022~ )^^ || ||<-2> '''SNS''' ||<-2>[[https://instagram.com/mathiasolivera5?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등번호}}}'''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16번 [br] [[SSC 나폴리]] - 17번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루과이]] 국적의 [[SSC 나폴리]]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레프트백]]이다. == 클럽 경력 == [[나시오날]]의 유스 출신으로 2016년 2월 13일에 프로 데뷔에 성공했다. 그 해 2경기만을 소화한채 12월 세군다 디비시온의 CA 아테나스로 이적했다. 2017년 7월에 [[갈라타사라이 SK]]의 메디컬을 통과하여 이적에 근접했지만 계약을 맺지 않고 우루과이로 돌아왔다. === [[헤타페 CF]]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livera_getafe.jpg|width=100%]]}}} || 2017년 8월 14일, [[헤타페 CF]]와 6년 계약을 채결했다. 그리고 2018년 4월 21일 자신의 첫 프로 데뷔골을 넣으며,[[SD 에이바르]]를 상대로 1대0 승리를 이끌었다. 2018년 7월 4일, [[라리가 2]]의 [[알바세테 발롬피에]]로 임대가 결정되었다. 주전으로 활약하며 17경기에서 3골 2도움을 기록한 뒤, 2019년 1월 25일에 헤타페로 복귀했다. 2021년 여름, [[SSC 나폴리]]로의 이적설이 났다. 하지만 헤타페의 동포지션인 [[마르크 쿠쿠레야]]가 먼저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으로 이적함에 따라 남게되었다. 2021-22 시즌, 주전으로 활약하며 공수 양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22년 1월, 다시 [[SSC 나폴리]]와 링크가 나고 있다. 디마르지오에 의하면, 나폴리 측은 단순 임대를 원하고 있지만, 헤타페 측은 이적 옵션이 포함된 임대가 아니면 올리베라를 보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나폴리는 약 11m의 완전영입 옵션이 포함된 임대로 올리베라를 1월에 데려가려고 했으나 강등권 탈출에 집중해야하는 헤타페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2022년 여름, 로마노 등 여러 공신력있는 매체들에서 나폴리행이 유력하다고 점쳤다. 올리베라와 나폴리는 합의를 끝냈지만 구단 사이 이적료 의견은 좁혀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던 와중 [[SL 벤피카]]가 영입 경쟁에 참전했고 올리베라의 바이아웃인 20M을 지불할 것이라 한다. 헤타페의 강경한 입장으로 이적이 틀어지는듯 했으나 결국 2022년 5월 23일, [[SSC 나폴리]] 행이 확실시 되고 있다. 그간 올리베라는 오직 나폴리만을 원했으며, [[아스날]], 벤피카의 제안을 거절했다고 한다. 헤타페의 회장인 앙헬 토레스 또한 올리베라의 나폴리행을 인정했으며, 다음날 메디컬 테스트를 받으러 이탈리아로 향할 것이라 한다. === [[SSC 나폴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W_g6kDXoAEr0ln.jpg|width=100%]]}}} || 2022년 5월 27일, 나폴리행 오피셜이 떴다. 연봉은 초기 연봉은 약 €1.5m이며 매년 증가할 것이라한다. 이적료는 €11m 이며, 계약기간은 2027년까지이다. ==== [[SSC 나폴리/2022-23 시즌|2022-23 시즌]] ==== 부상으로 프리시즌 친선경기를 소화하지 못하기도 했으나 [[세리에 A]] 1R [[엘라스 베로나 FC|엘라스 베로나]]전에서 83분경, [[마리우 후이]]와 교체되며 그라운드를 밟았고 나폴리에서의 데뷔전을 치뤘다. 4R [[US 레체]]전에는 선발 데뷔전을 가졌으며, 풀타임을 소화했다.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1차전 [[리버풀 FC]]를 상대로 선발 출장하며 챔스 데뷔전을 가졌다. 간결한 전진 패스와 빠른 움직임으로 역습에 참여하거나 [[모하메드 살라]]를 봉쇄하는 등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며 팀의 4-1 대승에 함께했으며, 후반 74분 경 후이와 교체아웃되었다. 2차전 [[레인저스 FC]]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후반에 교체로 나와 2대1 패스로 [[자코모 라스파도리]]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자신의 나폴리에서의 첫 공격포인트이자 챔피언스 리그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3차전 [[AFC 아약스]] 원정에서 선발 출장해 풀타임을 소화하며 6-1 대승리에 기여했다. 전반 18분 경에는 동료들과의 간결하고 빠른 연계로 전진한 뒤 크로스로 라스파도리의 헤더 동점골을 어시스트하기도 했다. 9R [[US 크레모네세]] 원정에서 경기 후반 교체로 출장해 추가시간에 [[조반니 디로렌초]]의 크로스를 헤더골로 연결했다. 6차전 리버풀 원정, 살라를 완전히 봉쇄하며 나폴리 팀내 최고 평점을 기록했다. 이날 올리베라는 태클 성공률 100%(7회), 걷어내기 5회, 헤더 클리어 4회, 인터셉트 1회, 리커버리 16회, 볼경합 성공률 82%(11번 중 9번 승리)를 기록했다. 월드컵 브레이크가 끝나고 1월, 16R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 원정에서 선발 출장 후 쭉 리그 경기에서 후이에게 밀려 교체로 출장하고 있다. 23R [[US 사수올로 칼초|사수올로]]전에 오랜만에 선발 출장해 도움도 기록하고 좋은 활약을 펼쳤다. 팀은 2-0 승리. 27R [[토리노 FC|토리노]] 원정에 선발 출장,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의 백힐 패스를 받으면서 러닝 크로스로 [[빅터 오시멘]]의 쐐기골을 어시스트했다. 우승이 걸린 32R [[US 살레르니타나 1919|살레르니타나]]와의 홈경기에서 62분경, 코너킥 상황에서 헤딩골을 작렬시키며 선제골을 기록했다. ==== [[SSC 나폴리/2023-24 시즌|2023-24 시즌]] ==== == 국가대표 경력 == 2017 U-20 남미 챔피언쉽에서 우승한 우루과이 20세 이하 팀의 일원이다. [[2017 FIFA U-20 월드컵]]에서도 1골을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하며 4위로 마쳤다. 2022년 1월 28일,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와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남미)|월드컵 예선]] 15차전에 왼쪽 풀백으로 선발 출장하면서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로도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의 주전 레프트백으로 출전하고 있으며,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 출전이 거의 확실하다. 2022년 10월 말, 우루과이의 카타르 월드컵 55인 예비명단에 포함되었고 이후 정규 엔트리에 무난히 승선했다. 첫 경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전부터 팀 동료 [[김민재]]와 맞대결을 하게 되었다. 공수에서 괜찮은 모습을 보이다 79분을 소화하고 교체아웃되었고, 경기 후에는 김민재와 유니폼 교환을 하기도 했다.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과의 2차전과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가나]]와의 3차전에도 선발 출장했으나, 우루과이는 대한민국에게 다득점에서 밀려 조 3위를 기록하며 16강행이 좌절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윙어 출신답게 우루과이 내에서도 수준급의 공격적인 재능을 갖춘 레프트백. '''공을 다루는 테크닉과 강력한 왼발 킥을 두루 겸비하고 있다'''는 것이 올리베라의 플레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장점. 측면에서 올리는 왼발 크로스와 컷백뿐만 아니라 직접 박스 안으로 침투해 득점을 노릴 수 있다. 빌드업 상황에서는 본인이 드리블로 공을 운반하고 압박을 벗겨내거나, 패스를 건네주면서 공격을 매끄럽게 풀어낸다. 특히 드리블 돌파에 리듬이 붙으면 단번에 여려명의 선수를 제쳐 내는 모습도 종종 보여준다. 공격적인 테크닉뿐만 아니라 '''상당한 운동능력의 소유자'''다. 단단한 피지컬에 스피드도 빨라서 1대1 대인마크나 드리블 돌파, 볼키핑 등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좋은 운동능력을 활용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굉장히 '''투지 넘치는 선수'''다. 윙어 시절에도 공을 뺏기고 수비 상황이 되면 적극적으로 내려와서 수비에 가담해주거나 곧바로 전방 압박을 실시했다. 이는 올리베라가 풀백으로 변신하여 성공을 거두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이 성향이 지금도 여전해서 상대 윙어와의 1:1 상황에서 비교적 타이트한 대인 마크를 즐기며, 돌파를 허용할 경우에도 굉장히 저돌적으로 태클을 시도하는 편. 다만, 이러한 전투적인 성향이 너무 과해서 '''거친 수비나 돌발적인 행동'''을 취하다가 카드를 수집하는 경우가 잦다. 또한 윙어 출신답게 수비 상황에서의 기술이나 판단 등 전체적인 수비력이 좋은 편이 아니라 수비 시 위치를 잘못 잡는 경우가 많고 잔실수나 불필요한 반칙도 많이 나오는 편. == 대회 기록 == === 우승 === *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 2015-16 * [[SSC 나폴리]] * [[세리에 A]]: 2022-23 == 여담 ==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선배인 [[에딘손 카바니]]의 조언에 따라 나폴리행을 선택했다고 한다. 나폴리와 그의 에이전트 사이에 물밑 작업이 오갈때, 올리베라는 카바니에게 나폴리에 관한 정보를 요구했고, 카바니는 열정적으로 나폴리라는 환경에 대해 얘기하며 올리베라를 설득했다고 한다. * [[김민재]]와 22-23시즌부터 한솥밥을 먹게 되어, [[로드리고 벤탕쿠르]]와 함께 [[2022 카타르 월드컵]] 한국전에서 적으로서 팀 동료를 맞이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SSC 나폴리)] [각주] [[분류:1997년 출생]][[분류:몬테비데오 출신 인물]][[분류:우루과이의 축구선수]][[분류:스페인계 우루과이인]][[분류:나시오날/은퇴, 이적]][[분류:CA 아테나스/은퇴, 이적]][[분류:헤타페 CF/은퇴, 이적]][[분류:알바세테 발롬피에/은퇴, 이적]][[분류:SSC 나폴리/현역]][[분류:우루과이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참가 선수]][[분류:수비수]][[분류:레프트백]][[분류:2016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