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우투우타]][[분류:내야수]][[분류:나카노시 출신 인물]][[분류:주오대학 출신]][[분류: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현역]][[분류:일본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선수]] [include(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간략(내야수))] ||
'''{{{#ffffff 마키 슈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FFFFFF 2023}}}]]''' || ---- ||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 |width=auto&height=70]][br]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c7bc69 '''우승반지'''}}}''' || || '''[[2023 APBC|{{{#FFFFFF 2023}}}]]''' || ---- ||<-5>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45]]]][br] '''{{{#ffffff 2022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2루수 부문 베스트나인}}}''' || ---- ||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45]]]][br] '''{{{#ffffff 2023년 센트럴 리그 최다 타점}}}''' || ---- ||<-5>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3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최다 안타}}}''' || || [[사노 케이타]][br]([[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br][[오카바야시 유키]][br]([[주니치 드래곤즈]]) || → || [[나카노 타쿠무]][br]([[한신 타이거스]])[br][[마키 슈고]][br]([[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 || [[TBD]][br]([[TBD]]) || ---- ||<-5> '''{{{#fff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fff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등번호 2번}}}''' || || 호세 로페스[br](2015~2020) || {{{+1 →}}} || '''{{{#ffffff 마키 슈고[br](2021~)}}}'''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横浜_牧秀悟.jpg|width=100%]]}}} || ||<-2> '''{{{#fff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No.2}}}''' || ||<-2> '''{{{#ffffff {{{+2 마키 슈고 }}}[br] 牧秀悟 / Shugo Maki }}}''' || || '''{{{#ffffff 생년월일}}}''' ||[[1998년]] [[4월 21일]] ([age(1998-04-21)]세)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ffffff 출신지}}}''' ||[[나가노현]] [[나카노시]] || || '''{{{#ffffff 신체}}}''' ||178cm / 93kg || || '''{{{#ffffff 출신학교}}}''' ||마츠모토제일고교 - [[츄오대학]] || || '''{{{#ffffff 포지션}}}''' ||[[내야수]][* 주 포지션은 2루수이며 프로 입단 후에도 2루가 메인, 1루가 서브 포지션이 되었다. 3루수도 가능하지만 [[미야자키 토시로]]가 건재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3루수로 출전하지 않고 있다. 유격수도 가능했었지만 대학시절 벌크업을 한 이후에는 봉인.] || || '''{{{#ffffff 투타}}}''' ||[[우투우타]] || || '''{{{#ffffff 프로 입단}}}''' ||2020년 드래프트 2위 || || '''{{{#ffffff 소속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21~)''' || || '''{{{#ffffff 등장곡}}}''' ||BAAD - 君が好きだと叫びたい[br][[WANDS]] - [[슬램덩크(TVA)#주제가|世界が終るまでは…]][* 팀이 카나가와현 구단이어서 과거 별명이 카나가와의 마키였는데, 우연찮게도 [[슬램덩크]]의 [[마키 신이치]]와 맞아떨어져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본인도 과거에 해남 코스프레를 하기도 했다.]|| || '''{{{#ffffff 응원가}}}''' ||[[https://youtu.be/w5ZBzcBOHlM|링크]][* '''前奏 : オオオオー オオオオー[br]전주 : 오오오오ー 오오오오ー[br]オオオオーオオ マキシュウゴ![br]오오오오ー오오 마키 슈고![br]オオオオオ オオオオオ[br]오오오오오 오오오오오[br]届け我らの声[br]토도케 와레라노코에[br]닿아라 우리들의 목소리[br]鍛えたそのパワー かっとばせ[br]키타에타소노파와- 캇토바세[br]단련된 그 파워로 날려버려라[br]勝利をさぁ目指せ ホームラン[br]쇼오리오사아메자세 호무라은[br]승리를 목표로 홈런'''][* [[타니시게 모토노부]]와 [[무라타 슈이치]]가 과거 사용했던 응원가.]|| || '''{{{#ffffff 연봉}}}''' ||2023 / ¥120,00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소속의 야구 선수. == 선수 경력 == === 프로 입단 전 === 고교 시절 3학년 봄에 현내 춘계대회 우승 기록은 가지고 있었으나 고시엔과는 인연이 없었다. 2학년과 3학년때 치른 지역예선에서 모두 첫 경기에 탈락. 고교 졸업 후 [[츄오대학]]으로 진학해 대학 1학년부터 주전을 차지하더니 3학년때 춘계리그 타격왕, 추계리그에서는 MVP를 수상했다. 또한 이 해 여름에 개최된 미일 대학야구 선수권 대회의 대표팀 멤버로 발탁되며 4번타자를 맡으면서 굵직한 실적들을 쌓았다. 이러한 실적들을 바탕으로 2020년 드래프트에서 [[사토 테루아키]]와 더불어 야수 최대어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고 그 해 드래프트에서 요코하마가 2번째 순번에서 지명하면서 요코하마에 입단했다. 등번호는 2번.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시절 === [[파일:20211028-10281159-sph-000-1-view.jpg|width=350]] ==== 2021년 ==== 본래는 2루수로 시즌을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1루수를 맡을 [[네프탈리 소토]]의 입국이 지연된 탓에 스프링캠프에서 1루수 연습을 병행하였고 결국 1루수로 시즌 개막을 맞게 되었다. 4월 중순부터 소토가 팀에 합류하자 2루수로 돌아갔고 6월까지는 맹타를 휘두르며 신인왕 레이스에서 접전을 펼쳤지만 7월부터 타격 침체와 부상으로 인해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는 고초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올림픽 휴식기를 거친 8월부터 다시 타격감을 되찾기 시작. 8월 25일 한신전에서 레이와 시대의 첫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또한 신인이 데뷔시즌에 공식전에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한 첫번째 사례로 남았다.[* 공식전으로 한정하지 않으면 [[치카모토 코지]]가 데뷔시즌인 2019년 올스타전에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9월 29일에는 시즌 118안타를 때려내면서 117안타를 쳤던 쿠와타 타케시를 넘어섰고 이로서 구단 신인 최다 안타 기록을 62년만에 경신하게 되었다. 시즌 막바지인 10월에는 주포 [[타일러 오스틴]] 부상으로 시즌을 조기에 마감하게 되어서 4번타자의 중책을 맡았는데[* 요코하마 구단 역사상 신인이 4번을 맡은것은 1960년 쿠로키 모토야스 이후 무려 61년만이다.]5할에 육박하는 고타율을 보이며 팀 타선의 중추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였다. 10월 26일에는 2루타 3방을 치면서 시즌 35개의 2루타를 기록. [[나가시마 시게오]]가 가지고 있었던 센트럴리그 신인 최다 2루타 기록을 새롭게 경신함과 동시에 5타석 연속 2루타로[* 23일날 치러진 경기에서 3번째 4번째 타석 때 2루타를 기록했다. 26일 전까지 경기가 없었기에 타석이 이어진 것.]NPB 신기록도 세웠다. 시즌 최종 성적은 .314/.356/.534 OPS .890 22홈런 71타점으로 매우 뛰어난 성적을 올렸다. 7월까지만 해도 2할 중반에 그쳤지만 후반기에 타격 페이스를 끌어올린 덕분에 3할이 넘는 타율로 시즌을 마치게 되었다. 또한 3할 달성에 성공하면서 [[키요하라 카즈히로]] 이후 역대 4번째로 3할-20홈런을 기록한 신인으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구단 역사상 최초로 규정타석 3할을 넘긴 신인으로도 기록되었다. wRC+는 147, WAR은 4.8로(npbstats.com 기준) 가히 키요하라나 [[나가시마 시게오]]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역대급 신인 타자 성적. 단숨에 일본프로야구 최고 레벨의 공격형 2루수로 거듭났다. 당연히 신인왕 후보에도 들면서 [[쿠리바야시 료지]]와 대결했으나, 실제 득표에서는 3배에 가까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pb&no=34211&page=1|차이로 쿠리바야시에게 패했다.]] 그리고 이번 시즌의 뛰어난 활약을 인정받아 센트럴리그 신인특별상[* 신인왕 경쟁자인 [[오쿠가와 야스노부]], [[나카노 타쿠무]], [[사토 테루아키]], [[이토 마사시]]와 옆 리그의 [[이토 히로미]]도 신인 특별상 수상.]을 수상했다. ==== 2022년 ==== 2022년 개막 9연패 중이던 한신에게 첫 패배를 완봉승으로 당하고, 그 후 2차전에서도 완봉패 직전에 몰린 상황에서 마키가 동점 적시타를 치면서 경기를 연장으로 끌고 갔다. 이후 연장전에서 5득점을 더 하면서 요코하마가 한신의 첫 연승을 저지했다. 코로나 양성 판정으로 잠시 팀을 이탈하기도 했으나 복귀 이후에는 소포모어 징크스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성적을 내고 있다. 6월 3일 기준 타율 1위(.319), 홈런/타점 3위(14홈런 41타점)에 세리그 유일의 규정타석 OPS 1.0을 기록하며 3관왕에 근접한 성적을 내고 있다. 그러나 6월부터 부진에 빠지면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고 식은 타격감은 8월이 되어서야 다시금 살아났다. 6월달의 부진으로 인해 2년 연속 3할에는 실패했다. 대신 전년도보다 많은 홈런과 타점을 올리며 팀의 4번타자 역할을 훌륭히 수행해낸 시즌. ==== 2023년 ==== WBC 후유증의 영향으로 인해 타격감이 좀처럼 올라오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중이다. 안타는 잊을만 하면 치고 있지만 홈런이 좀체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 그러다가 개막 이후 10번째 경기인 12일 야쿠르트전에서 결승타가 되는 마수걸이 투런 홈런을 쏘아올렸다. 이후 7월에 부침을 겪긴 했으나 5, 6, 8월에 뛰어난 성적을 올리면서 스탯을 회복했고 시즌 막바지에 들어선 현 시점에선 팀 부동의 4번타자로 맹활약하며 타선을 이끌고 있다. 홈런은 25개로 1위 [[오카모토 카즈마]]와 10개나 차이나지만 타점은 84개인 오카모토보다 3개가 많은 87타점으로 타점왕 경쟁에서 앞서나가고 있다. 9월 18일 한신전에서 결승점이 되는 2타점 3루타를 포함해 홀로 3타점을 올리며 양대리그에서 가장 먼저 100타점에 도달한 타자가 되었다. 이는 개인 첫 100타점이기도 하다. 시즌 최종 성적은 0.293-0.337-0.530, OPS 0.867, 164안타, 29홈런, 103타점을 기록했으며 안타 공동 1위, 타점 1위, 홈런 3위, 타율 4위를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다. 하지만, [[2023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퍼스트 스테이지 대결에서 2경기 모두 4번 타자 2루수로 출전해 9타수 1안타로 부진하며 허무하게 시즌을 마감했다. === 국가대표 경력 ===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1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c002d 5%, #bc002d 10%, #ffffff 25%, #ffffff 25%)"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워드마크.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75%, #ffffff 75%, #bc002d 90%, #bc002d 95%)" }}} || || {{{#d9bb46 경기}}} || {{{#d9bb46 선발}}} || {{{#d9bb46 타수}}} || {{{#d9bb46 안타}}} || {{{#d9bb46 2루타}}} || {{{#d9bb46 3루타}}} || {{{#d9bb46 홈런}}} || {{{#d9bb46 타점}}} || {{{#d9bb46 득점}}} || {{{#d9bb46 타율}}} || {{{#d9bb46 출루율}}} || {{{#d9bb46 장타율}}} || {{{#d9bb46 OPS}}} || {{{#d9bb46 도루}}} || {{{#d9bb46 삼진}}} || {{{#d9bb46 4구}}} || || 6 || 3 || 15 || 3 || 0 || 0 || 2 || 2 || 2 || .200 || .250 || .600 || 0.850 || 0 || 2 || 1 || 2022년도의 활약상을 인정받아 2023 WBC 대표팀에 승선했다. 본 포지션이 2루수인 만큼 동 포지션의 [[야마다 테츠토]]와 출전 기회를 양분할 전망. 첫 경기 중국전에선 선발로 나와 볼넷과 홈런을 기록했지만 한국전에서는 선발로 출전했으나 5타수 무안타로 부진했다. 한국전 부진 이후에는 대타로 출전했는데 체코전에선 대타 홈런을, 호주전에선 대타 안타를 기록했다. 대타로 좋은 모습을 보이자 8강 이탈리아 전에선 다시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렸지만 4타수 무안타로 침묵했다. 결국 준결승 멕시코전 이후로는 벤치로 밀려났고 멕시코전에선 대타로 1타석을 소화했지만 결승 미국전은 결장했다. 팀은 미국을 3:2 스코어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1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c002d 5%, #bc002d 10%, #ffffff 25%, #ffffff 25%)"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워드마크.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75%, #ffffff 75%, #bc002d 90%, #bc002d 95%)" }}} || || {{{#d9bb46 경기}}} || {{{#d9bb46 선발}}} || {{{#d9bb46 타수}}} || {{{#d9bb46 안타}}} || {{{#d9bb46 2루타}}} || {{{#d9bb46 3루타}}} || {{{#d9bb46 홈런}}} || {{{#d9bb46 타점}}} || {{{#d9bb46 득점}}} || {{{#d9bb46 타율}}} || {{{#d9bb46 출루율}}} || {{{#d9bb46 장타율}}} || {{{#d9bb46 OPS}}} || {{{#d9bb46 도루}}} || {{{#d9bb46 삼진}}} || {{{#d9bb46 4구}}} || || 3 || 3 || 12 || 3 || 0 || 0 || 1 || 1 || 2 || .250 || .308 || .500 || 0.808 || 0 || 2 || 1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 유일하게 WBC 참가 멤버로써 팀에 합류하게 되었다. [[이바타 히로카즈]] 대표팀 감독도 WBC 경험이 있는 선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발탁한 만큼 전 경기 4번타자라는 중책을 맡기겠다고 공언했다. 첫 경기인 대만전에서는 4타수 1안타를 기록했으며 팀은 4:0으로 승리했다. 두 번째 경기인 한국전에선 첫 타석부터 [[이의리]]를 상대로 안타를 쳤으나 2번째 타석에선 무사 만루 상황에서 병살타를 치며 타점을 기록하지 못했다. 팀은 이때 낸 1점과 [[만나미 츄세이]]의 홈런으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호주전에서는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 결승에서 다시 만난 한국과의 경기에선 삼진과 찬스에서의 내야 플라이, 실점의 빌미가 되는 실책을 범하며 [[스파이|대한민국 대표팀의 일원으로 맹활약 하였으나]] 5회 [[곽빈]]을 상대로 추격을 홈런을 때려내면서 국대 4번이라는 체면치레는 했다. 팀도 동점 이후 승부치기 상황에서 끝내기 안타로 승리하면서 커리어 2번째 국제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 플레이 스타일 == 배트컨트롤이 좋아 센터 방면이나 우측으로도 타구를 보낼 수 있으며 탄탄한 하체를 바탕으로 한 장타력 역시 일품. 대학교 2학년까지만 하더라도 상체에 의존하는 타격폼이었으나 [[사카모토 하야토]], [[스즈키 세이야]]의 폼을 참고해 하체를 기반으로 하는 폼으로 수정하고 임한 3학년 춘계대회때부터 타격 성적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주 포지션은 2루수지만 3루와 1루도 소화가 가능하다. 프로에서는 2루와 1루를 병행하는 중. 기본적인 수비력이 준수하고 특히 송구의 정확성이 상당히 높다. 이미지와는 달리 의외로 주력이 나쁘지 않아서 내야안타도 가끔씩 나오는 편이고 3루타도 3개를 기록했다. 2루까지 가기 애매한 타구에도 과감한 주루를 통해 2루타를 만들기도 한다. == 여담 == * '뭐든지 실황 J의 마키'라는 5ch발 별명이 있다.[* 5ch 내에서만 사용.] 발단은 2020년 드래프트를 앞둔 시점에서 현장은 [[사토 테루아키]]를 고평가 하는 분위기였지만 어느 뭐든지 실황 J 유저(이하 난J민)는 "사토의 대학시절 볼삼비는 나쁘고 3학년 때는 성적이 떨어지고 있다"며 거품이 끼었다고 말한 반면 "마키는 대학시절 볼삼비가 우수하고 3학년 때 오히려 성적이 좋아졌고 센터라인을 지킬 수 있는 대형 내야수"라며 저평가를 하지말아달라는 듯한 뉘앙스로 말한 것. 이렇게 됨으로써 '''현장에 와서 경기를 관전하고 선수를 분석하는 스카우터들이 직접 평가를 내린 사토 vs 제대로 경기 하나 안보고 방구석에서 스탯지에 적힌 숫자로 비교질만 하는 난J민이 평가한 마키'''라는 구도가 형성되었고 여기에서 파생된 별명이 바로 '난J의 마키'. 이 별명은 이제 한술 더 떠서 '마키 슈고(난J)', '마키 슈고(J)'로 발전하는 지경에 이르러 마치 난J라는 가상의 야구단에 소속된 선수를 부르는 것 같이 되었다.[* 보통 난J 게시판에서 스레드를 생성할 때 야구 선수를 제목에다 기입하려면 선수명 뒤에 괄호를 열고 소속팀 약호를 넣어서 표기한다. 예를 들자면 요코하마→선수명(De), 주니치→선수명(中), 히로시마→선수명(広) 등등...][* 사실 마키도 사토의 임팩트에 묻힌 감이 있었을 뿐 실제로는 대형 내야수 자원으로 분류되며 1순위 후보로도 종종 거론되기도 했다. 사토가 [[야나기타 유키]]에 비견되는 장타력과 운동 능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건 분명했지만 대학 최대어답지 않게 선구안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단점도 존재한 반면, 마키는 사토만큼 압도적인 파워 포텐셜은 아니어도 컨택, 선구안 등의 툴들이 골고루 잘 갖춰져 있고 일본 대학리그 최고 수준으로 알려진 동도 대학 1부리그를 평정했다는 점과 대학시절 쌓아둔 실적에선 사토보다 좋았다는 부분에서 결코 낮게 볼 선수가 아니었다.] 그런데 정작 정규시즌이 끝나고 보니 사토는 전반기까진 잘 버티다가 후반기에 극심한 부진에 빠지면서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고 마키는 3할에 20홈런을 비롯해 여러 기록들을 경신하는 등 사토보다 홈런 빼고는 훨씬 우수한 성적을 올려 난J민의 주장이 어느정도는 틀린 말이 아니게 되었다. 5ch은 물론이고 시즌 중반까지 한신 팬덤쪽에선 사토를 거물 신인이라 띄워주고 마키를 저평가하는 여론이 강했다. 하지만 후반기부터 사토가 나락으로 빠지면서 이러한 여론들은 자취를 감춘 상태. 결과적으로 한신 팬덤과 칸사이 언론은 극성맞은 자팀 선수 띄워주기와 설레발, 타팀 선수 깎아내리기에 대한 대가를 톡톡히 치르게 되었다.[* 다만 타카야마 슌, 에고시 타이가처럼 간사이 언론에서 역대급 신인이라고 띄워줬다가 1군에는 별로 나오지도 못하고 대차게 망한 한신 신인들과는 다르게 사토는 1군에 정착해서 나름 상위 타순에서 활약하고 있다. 어디까지나 아마추어 시절 평가받았던 포텐셜에는 못 미친다는 거지...] 신인왕 투표에서도 사토가 쿠리바야시는 커녕 마키에게마저 어마어마한 차이로 밀린 건 덤이다. 여기에 일부 한신 언론은 사토가 나락으로 가기 시작하자 신인으로 10승을 한 [[이토 마사시]]나 도루왕 [[나카노 타쿠무]]를 밀었으나, 정작 신인왕 투표 때는 한신 신인 3명이 득표가 다 나눠지면서 '''셋을 합쳐 마키 슈고 한 명의 1/3도 안 되는 득표수로 밀리고 말았다.''' 그래도 마키 + 한신 3인방 + 야쿠르트의 [[오쿠가와 야스노부]] 이렇게 5명에 옆 리그 [[이토 히로미]]까지 공동으로 특별상을 받게 되었다. * 드래프트 동기이자 선의의 [[라이벌]] 관계에 놓여있는 [[사토 테루아키]]와는 대학시절 대표팀에서 서로 안면을 튼 사이라 프로 입단 전부터 사이가 좋았다. 이러한 친분을 바탕으로 [[2020 도쿄 올림픽]] 휴식기에 둘이서 인스타라이브를 진행하기도 했다. * 2022년 시즌부터, 사노 케이타, 쿠와하라 마사유키 등의 젊은 선수들과 함께 홈런을 친 후 한 팔을 가슴정도까지 들어올려 "데스타샤!" 라고 외치는 홈런 퍼포먼스를 시작했다. 유래는 '사와얀 게임즈'[* 일본에 거주중인 우크라이나인 형제 '사와' 와 '얀' 이 운영하는 유튜브. 직접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시구를 하며 이 퍼포먼스를 하기도 했다.] 라는 유튜브 채널로, 마키나 사노가 게임광이라 영향을 받아 퍼포먼스를 시작했다고 한다. 특히 [[마리오 카트]]를 즐기는지 팀내에서 마리오 카트를 하는 모임의 멤버다. 2023년 WBC에서 홈런을 친 후에도 이 퍼포먼스를 선보여 DeNA 이외의 일본 야구팬들 사이에서도 인지도를 나름대로 높이긴 했으나 [[라스 눗바]]의 후추 그라인더 세레모니가 너무나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탓에 그렇게 부각되지는 못하고 있다. * 데뷔 3년차인데도 수많은 기록들을 보유하고 있다. 일단 데뷔 시즌부터 신인 최초 공식전 [[사이클링 히트]]나 최다 연타석 2루타 등 여러 기록들을 갈아치운 것을 시작으로 2023년 6월 9일 오릭스전엔 [[인사이드 파크 홈런]]까지 달성했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NPB)}}}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석}}}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2021 ||<|3>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DeNA]] || 137 || 523 || 153 || 35 || 3 || 22 || 71 || 73 || 2 || 27 || 85 || .314 || .356 || .534 || .890 || || 2022 || 135 || 568 || 148 || 36 || 1 || 24 || 87 || 63 || 3 || 43 || 82 || .291 || .354 || .507 || .861 || || 2023 || '''143''' || 605 || '''164''' || 39 || 3 || 29 || '''103''' || 78 || 2 || 33 || 85 || .293 || .337 || .530 || .867 || ||<-2> '''[[NPB]] 통산[br](3시즌)''' || 415 || 1696 || 465 || 110 || 7 || 75 || 261 || 214 || 7 || 103 || 252 || .299 || .349 || .523 || .872 || * [[야구 관련 인물(NP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