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튀니지 마크타르 22.jpg|width=860]]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7.jpg|width=860]] 마크타리스 유적 ||[include(틀:지도,장소=마크타르 튀니지,너비=500px,높이=281px)]|| [목차] [[아랍어]]: {{{+1 مكثر }}} [[페니키아어]]: 𐤌𐤊𐤕𐤓‬𐤌 [[영어]], [[프랑스어]]: Maktar / Makthar == 개요 == [[튀니지]] 동부의 도시. [[튀니스]]에서 서남쪽으로 100km, [[베자]]에서 남쪽으로 70km, [[카이루완]]에서 서북쪽으로 60km, [[엘케프]]에서 동남쪽으로 50km 떨어진 해발 900m의 고원에 위치한다. 인구는 1만 4천명의 소도시지만, 고대 마크타리스 유적 덕에 관광객들이 방문한다. 고지대에 위치한 덕에 겨울에 가끔 눈이 내리기도 하는 등 기후가 서늘한 편이다. == 역사 ==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14.jpg|width=345]]||[[파일:튀니지 마크타르 11.jpg|width=340]]|| |||| 마크타리스 유적 지도와 헬레니즘식 피라미드 꼴 영묘 |||| 기원전 3세기 무렵 [[누미디아]]가 [[카르타고]]의 내륙 팽창을 저지하기 위해 건설한 요새 도시였다. 이후 남쪽의 [[수페툴라]], 동쪽의 시카 (엘 케프), 북쪽의 두가 등과의 교역 거점으로 번영하였고, [[마시니사]]의 치세에 이르러 누미디아의 주요 도시들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던 기원전 146년 [[3차 포에니 전쟁]]으로 카르타고가 멸망하자 로마군에게 쫓겨난 그 유민들이 남하하여 일대에 정착하였고, 도시는 페니키아어로 마크타름 (𐤌𐤊𐤕𐤓𐤏‬𐤌)이라 명명되었다. 카르타고 문화를 간직하던 도시는 [[카이사르]]에 의해 자유도시 지위를 얻었다. 로마식인 마크타리스로 개칭된 도시는 남쪽의 수페툴라, 서남쪽의 [[테베사]]와 함께 베르베르 인으로부터 로마령 아프리카의 리메스 (국경) 수비를 담당하였다. [[팍스 로마나]] 시기 마크타리스는 곡물, 올리브 기름, 가축, 직물 등의 집산지로 번영하였고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에 로마식 시가지가 세워지며 로마화가 진행되었다. 서기 146년에는 로마 식민도시 (콜로니아)로 지정되어 주민들에게 로마 시민권이 주어지는 등 점차 로마 문명에 동화되었다. 다만 한동안 기존 카르타고 공동체와 로마 이주민들은 각각 수페테스, 파구스 구역으로 분리되어 있었다고 한다. 3세기 들어 기독교화된 도시는 [[반달족]]의 침공과 [[이슬람 정복]]을 버텨내었지만 1050년경 [[파티마 왕조]]가 파견한 바누 힐랄 베두인들의 습격에 의해 파괴되었다. 한동안 폐허로 남았던 도시는 [[하프스 왕조]] 기에 재건되어 현재에 이른다. == 갤러리 ==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4.jpg|width=800]] [[파일:튀니지 마크타르 문.jpg|width=800]] 트라야누스 개선문 [[파일:튀니지 마크타르 1.jpg|width=800]] [[파일:튀니지 마크타르 5.jpg|width=800]] [[파일:튀니지 마크타르 6.jpg|width=800]]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13.jpg|width=800]] [[파일:튀니지 마크타르 3.jpg|width=800]]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5.jpg|width=800]] [[파일:튀니지 마크타르.jpg|width=800]] [[파일:튀니지 마크타르 14.jpg|width=800]] [[파일:튀니지 마크타르 4.jpg|width=800]]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12.jpg|width=800]] [[파일:튀니지 마크타르 12.jpg|width=800]]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9.jpg|width=800]]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3.jpg|width=800]]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11.jpg|width=800]] {{{#!folding [마크타리스 유적 기타 사진들] [[파일:튀니지 마크타르 7.jpg|width=800]] [[파일:마크타르 튀니지 8.jpg|width=800]]}}} [[분류:튀니지의 도시]] [[분류:로마 유적]] [[분류:튀니지의 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