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DCDC><:> '''[[파프너]] [[노퉁 모델]]''' || || [[마크 아인]] || [[마크 쯔바이]] || [[마크 드라이]] || [[마크 피어]] || '''마크 퓬프&츠쿠요미''' || [[마크 젝스|마크 젝스&아마테라스]] || [[마크 지벤]] || || [[마크 아하트]] || [[마크 노인]] || [[마크 첸]] || [[마크 엘프|마크 엘프&스사노오]] || [[마크 츠뵐프]] || [[마크 드라이첸]] || || [목차] [[파일:attachment/마크 퓬프/Markfunf.jpg]] == 개요 == Mark Fünf(マークフュンフ)[* [[움라우트]]를 제거한 대체 표기로 적었을 경우의 철자는 Mark Fuenf. 또한 발음도 일본어 발음 체계의 한계로 인해 마크 퓬프가 된 것으로, 독일어 발음에 좀 더 맞추자면 마크 퓐프가 된다.] [[창궁의 파프너 시리즈]]에 등장하는 [[노퉁 모델]] [[파프너]]. 파일럿은 [[코다테 마모루]]→[[도우마 히로토]]. 방어 특화형 기체. 전면에 배리어를 전개할 수 있는 방어필드 발생기인 [[파프너/무장#s-4.3|이지스]] 장비를 장착하고 있다. 이지스는 방어필드를 발생시키는 장치이긴 하지만 일반적인 [[방어막]] 발생기라기 보다는, 오히려 [[빔 실드]] 발생기에 가깝게 사용되는 편인 것이 특징. 또한 [[창궁의 파프너 EXODUS]]에서 이지스는 개량되어 방어필드 발생기로서의 기능만이 아니라 다연장 빔 캐논으로서의 기능도 부여받게 되었다. 방어에 사용할 때에는 방어필드를 전면에 전개하고, 공격에 사용할 때에는 다수의 빔을 쏠 수도 있게 되는 식으로 공방일체형 무장이 된 것. 이지스 덕분에 방어력은 확실히 뛰어난 기체로, 다른 기체들은 심심하면 팔다리가 잘리는데 마크 퓬프는 큰 손상을 입은 적이 별로 없다. [[마카베 아카네|묘르니아]]가 제공한 데이터로 개량되어 [[마크 드라이]], [[마크 아하트]]에 부분 이식된 이지스 시스템은 '''[[페스툼]]의 동화 공격 자체와 그 확산'''마저도 완벽하게 막아낼 수 있을 정도. == 작중 행적 == [[창궁의 파프너]]에서 카즈키가 [[타츠미야 섬]]을 나갔을 시기에 주 전력으로 활약했으며 주로 [[마크 드라이]], [[마크 아하트]]와 트리플 독 포메이션으로 전투를 행했다. [[코다테 마모루]]가 자신의 몸을 던져 적의 공격을 받아내고, 그 사이에 동료들이 [[페스툼]]을 처치하는 전법을 주로 사용했다. 물론 마모루가 이지스 시스템이 그 정도로 튼튼하다는 걸 알고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이지스 장비를 전개한 채로 몸통박치기를 하는 식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슈퍼로봇대전에서도 무장으로 재현되었다. 1기 22화에서 어떠한 공격도 하지 않고 오로지 반격만 하면서 [[지크프리트 시스템]]을 노리던 스캐럽형 페스툼을 상대하던 중 [[마카베 카즈키]]에게 [[동화 현상]]이 발발한 탓에 [[마크 자인]]이 움직이지 못하게 되며 위기에 몰리지만, 마모루의 기지로 움직이지 못하는 마크 자인의 루거 랜스에 페스툼을 직접 들어다 꽂아버리는 방식으로 처치한다. 그러나 페스툼이 소멸하면서 발생할 웜 스피어에 마크 자인은 버텨도 마크 퓸프는 버틸 수 없었고, 이에 대비해 웜 스피어가 발생할 즈음 콕핏을 사출했으나 예상과 달리 콕핏마저 웜 스피어에 휘말리는 바람에 마모루는 전사했다. [[창궁의 파프너 HEAVEN AND EARTH]] 이후로 마모루의 [[기동사무라이 고바인|고바인 헬멧]]을 물려받은 [[도우마 히로토]]가 파일럿이 된다. 이지스 장비의 방어력은 건재해, [[마크 니히트]]에게서 [[마크 드라이첸]]을 구하는 등의 활약을 했다. 이후 타츠미야 섬 전체를 동화시키려는 [[쿠루스 미사오]] 진영의 [[미르(창궁의 파프너)|미르]]를 단신으로 막아서지만 역부족으로 위기에 몰리는데, 때마침 복귀한 [[마크 자인]]이 이지스 장비를 동화시키며 힘을 빌려주어 결국 적 미르를 막아내는 데 성공한다. 2기 14화에서 [[더스틴 모건]]이 마크 퓬프의 콕핏을 저격해 파일럿인 히로토가 사망한 후, 행동불능이 된 마크 퓬프를 아르고스 소대가 끌고 갔다.[* 아르고스 소대는 신국제연합 상층부에게서 타츠미야 섬의 파프너를 가져오라는 지시를 받았기 때문에 가급적 파괴하려고 하지 않는 듯하다.] 그 후 [[인류군|신국제연합]]은 노획한 마크 퓬프를 베이스로 제 3의 [[잘바톨 모델]]인 [[마크 레종]]을 개발한다. == 츠쿠요미 == [[파일:attachment/마크 퓬프/Exampleas.jpg]] [[창궁의 파프너 EXODUS]]에 나온 마크 퓬프 개량형. 파일럿은 히로토에게서 [[기동사무라이 고바인|고바인 헬멧]]을 물려받은 [[미카가미 미미카]]. 파일럿의 요청으로 분홍색으로 도장되었으며 기체 코드는 [[츠쿠요미]]. 처음으로 등장한 마크 퓬프의 동형기이다. 방어필드의 전개를 위한 방어장비 외, 빔을 사출하는 포격전용 무장으로서도 이지스를 쓸 수 있다는 점은 개량된 마크 퓬프와 동일. 또한 파일럿의 센스가 좋아서 그런 건지는 몰라도, 방어필드의 끝 부분을 칼날처럼 활용해서 페스툼을 베어내기도 하는 등 공방일체의 백병전용 무장으로서 이지스를 활용하기도 한다. 베이스 기체인 마크 퓬프에 비해서 여러모로 상당히 공격적인 운용이 이뤄지는 것이 특징. 7화에서 새로 생긴 능력은 이지스의 방어필드 자체를 사출하는 것. 결계처럼 사용하여 [[페스툼]]을 구속하거나, 페스툼의 웜 커터와 비슷하게 상대에게 박아넣은 후 회전시켜 비틀어버리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코다테 마모루]]의 사망원인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일이다. 19화에서 [[에인헤랴르 모델]]로 개조되었다. 22화에서 갑자기 검은 구체가 된 미미카의 마음이 츠쿠요미의 콕핏으로 이동, 츠쿠요미를 기동했고 타츠미야 섬의 파프너들이 아르고스 소대가 쏜 미사일들을 처리할 때 [[쿠루스 미사오]] 측의 항모 보레알리오스 쪽으로 와 방어필드를 사출해 [[미사일]]들을 파괴했다. 25화에선 몸을 되찾은 미미카가 탑승했다. 적의 공격이 츠쿠요미가 펼쳐놓은 방어필드를 통과하자 이를 적에게 돌려보냈다. 마크 레종과 서로 이지스를 펼쳐서 맞부딪쳐서 마크 퓬프의 강화형들끼리 싸우는 장면이 연출되었다. == 사망 플래그 기체 == [[기동사무라이 고바인|고바인 헬멧]]과 더불어 [[창궁의 파프너 시리즈]]에서 사용하면 [[끔살]]을 못면하는 기체로서의 기믹이 있다. 초대 파일럿인 [[코다테 마모루]]는 웜스피어에 휘말려 뒤틀려서 시체조차 찾지 못 할 정도로 처참한 최후를 맞았고, 2대 파일럿인 [[도우마 히로토]]는 대(對)[[파프너]]용 [[대물 저격총|대물 저격]] 빔 병기를 들고 나온 [[더스틴 모건]]에게 콕핏을 저격당해 시신이 조그만한 상자에 담길 정도로(...) 훼손되어 사망하였다. 개량형인 츠쿠요미의 파일럿인 [[미카가미 미미카]] 또한, 극렬한 동화 현상에 영혼과 마음만 구체로 남고 전신이 동화되어 버려서 한동안 준사망(...)처리되어 버렸다. 전방 방위를 목적으로 설계된 [[파프너]]이다보니, 말 그대로 죽을 확률이 매우 높은 기체이긴하지만 2대까지 시신이 온전하지 못했고 3대도 그럴 뻔 걸보면 정말 마가 끼이긴 한 모양이다.--차대 파일럿은 [[기동사무라이 고바인]]을 멀리 하는 게 좋을 듯 하다-- == 슈퍼로봇대전 == === [[슈퍼로봇대전 K]] === 마크 퓬프의 무장 중에 '''고바인 스매쉬'''가 있다. 연출은 거의 [[겟타 3|대설산 떨구기]]. 원작의 1기 12화에서 나온 무장이긴 한데, 정작 원작에서는 마무리는 [[마크 드라이]]가 하고 남은 시체()를 멀리 던져버리며 외친 기술명일 뿐이다. 그런데 슈퍼로봇대전에서는 어째 필살기로 등장. [[하이퍼 오라베기]]와 비슷한 케이스다. 기체 스펙 자체는 좋은데 콤보무기 사거리가 1인 것이 흠. 적당한 파트너를 붙여서 사용하는 게 좋다.(ex/[[마크 드라이]]) [[노른(창궁의 파프너)|노른]] 시스템+이지스 장비로 EN 5로 4500의 데미지를 감소시키는 K 내 강철의 성 중 하나. 문제는 후반부에 마모루와 함께 사라진다. 끝까지 사용하려면 해피엔딩이 필수. === [[슈퍼로봇대전 UX]] === 노른 시스템이 사라지면서 이중 배리어가 불가능해졌고 페스툼의 모든 공격이 3부에 나오는 에우로스형을 제외하면 배리어 관통이라서 이지스 장비가 페스툼에 대해 전혀 쓸모가 없는 원작파괴가 일어나버린다(). 반대로 페스툼 이외의 적에 대해서라면 여전히 철벽. ~~이건 뭐 [[AT 필드]]도 아니고~~ 2부 후반인 38화에서 마모루가 사망할 때 마크 퓬프도 사라지지만 3부 첫화인 41화에서 수복되어 극장판 전개대로 히로토가 탑승한다. 여기서 마모루가 생환했다면 퓬프에 마모루나 히로토 중 하나를 택일해 태워야하는데, 마모루가 타면 1기 사양으로 돌아가서 최대사정거리가 확 줄어들지만 고바인 스매시 때문에 단독화력이 높은데다 극장판 사양의 드라이와 아하트와의 트리플독이 사용가능해지고, 히로토 탑승시엔 단독화력이 확 줄어버리는 대신 반격용 무기인 게그너 덕에 최대사정거리가 긴데다 후배조 크로스독을 쓸 수 있다는 일장일단이 있다. 어쩌다보니 K 시절의 [[마크 드라이]]의 특성이 계승되어버린 난감한 기체. [[분류:창궁의 파프너 시리즈/등장 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