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크 키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IA 타이거즈 외국인 선수)]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외국인 선수)] ---- [include(틀:두산 베어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마크 키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1|[[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02 KBO 리그 다승왕}}}''' || ---- ||<-5>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fff 등번호 53번}}}''' || || [[루이스 안두하]](2001) || → || '''키퍼(2002~2003)''' || → || [[마이크 존슨|마이클 키트 존슨]](2004) || ||<-5> '''[[두산 베어스|{{{#fff 두산 베어스}}}]] {{{#fff 등번호 33번}}}''' || || [[마이크 쿨바]](2003) || → || '''키퍼(2003~2004.7.24.)''' || → || [[이지 알칸트라]](2004.8.1.~2004) || ---- }}} || }}} || ---- || '''이름''' || 마크 키퍼 (Mark Kiefer) || || '''생년월일''' || [[1968년]] [[11월 13일]] ([age(1968-11-13)]세)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지'''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오렌지 카운티(캘리포니아)|오렌지 카운티]] 오렌지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1987년 드래프트 21라운드 (전체 539번, [[밀워키 브루어스|MIL]]) || || '''소속팀''' || [[밀워키 브루어스]] (1988~1996) [br] [[싱농 불스]] (1997~2000) [br]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01) [br] '''[[KIA 타이거즈]] (2002~2003)''' [br] [[두산 베어스]] (2003~2004) || [목차] [clearfix] == 개요 == [[KBO 리그]]의 前 [[KIA 타이거즈]], 前 [[두산 베어스]] 외국인 투수. == 선수 경력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 === [[대만 프로야구 리그|CPBL]] === === [[KBO 리그]] === ==== [[KIA 타이거즈]] ==== '''외국인 투수 최초 다승왕에 오른 선수''' 메이저리그 경험이 있고[* 1993년부터 1996년까지 44게임에 출장했다.] 대만프로야구 팀인 [[싱농 불스]]에서 4시즌동안 55승을 올려 동양야구에 경험있던 투수였다. 2002년 시즌을 앞두고 [[KIA 타이거즈]]에서 [[다니엘 리오스]]와 함께 영입하였는데 제구력은 훌륭했으나 구속이 느리다는 점이 단점이었다. 이러한 불안감이 있었지만 202.2이닝을 소화했고 19승을 올려 다승왕에 등극, 한국프로야구 사상 첫 외국인 다승왕이 되었다.[* 당시 그의 승수인 19승은 2022년까지 20년 동안 KBO 외국인 투수 입단 첫 해 기록 승수 1위였다가 2023년 NC의 [[에릭 페디]]가 20승을 기록하며 경신했다.] 또한 [[다니엘 리오스]]가 14승을 기록해 합작승이 33승이 되었다. 2016년 기준으로 전구단 역대 외국인투수 합작승 전체 3위에 있다.[* 1위는 2016년 두산 베어스의 [[더스틴 니퍼트]](22승)+[[마이클 보우덴]](18승)=40승. 2위는 2007년 두산의 [[다니엘 리오스]](22승)+[[맷 랜들]](12승)=34승. 공교롭게도 1, 2위 모두 두산.] 첫시즌을 성공한 그에게 타이거즈 코칭스탭은 스프링캠프때 자율권을 주었고 이게 발단이 되었는지 한국 무대 2년차인 2003년 시즌부터는 방어율 4점대에 평균이닝 5이닝정도만 소화하는 평범한 투수로 전락해버렸고 결국 내부적으로는 퇴출을 결정했으나 삼성, LG, 한화와 같은 순위경쟁팀이 데려갈까 우려하여 웨이버공시는 하지 않고 트레이드 대상에 올렸다. 그러다가 결국 2003년 7월 10일, [[두산 베어스]]의 우완투수 [[최용호(야구)|최용호]][* 1995년 [[OB 베어스]]에서 데뷔한 우완 투수로 나름 1999년 선발 로테이션을 돌아주며 규정이닝도 채워본 선수였는데 2003년 시즌 중 KIA로 트레이드된 뒤 [[손혁]]처럼 갑자기 야구를 그만두고 은퇴하겠다는 모습을 보인 적도 있다. 이후 어찌어찌 복귀하긴 했으나 그 뒤로 야구에 대한 열정이 식었는지 1군에는 거의 올라오지 못하고 2005년 외야수 [[신동주(야구)|신동주]]와 트레이드되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한 뒤 2006년 시즌 후 방출되어 은퇴했다.]와 1:1 트레이드를 하여 키퍼는 두산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한편 KIA는 키퍼의 대체 선수로 캐나다 출신인 [[마이크 존슨|마이클 키트 존슨]]을 영입하였다. ==== [[두산 베어스]] ==== ||
[[파일:Mark Kiefer2003.png]] || [[파일:Mark Kiefer2004_1.jpg|width=350]] || ||<-2> [[두산 베어스]] 시절(2003~2004) || 두산 유니폼을 입은 키퍼는 KIA 시절에 흔들렸던 모습이 사라지고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다음해 재계약에 성공한다. 하지만 2004시즌 6월 이후 극도의 부진한 모습에 코칭스탭과 당시 두산 감독이였던 [[김경문]] 감독과의 사이도 좋지 않았고 또한 [[김경문]] 감독은 그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했다. 결국 시즌 중간에 퇴출 당하였고 이후로는 시카고 컵스 소속 스카우터가 된 듯하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성적}}}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 1993 ||<|4> [[밀워키 브루어스|MIL]] || 6 || 0 || 1 || 0 || 0 || 9⅓ || 0.00 || 3 || 0 || 5 || 1 || 7 || 0.86 || || 1994 || 7 || 1 || 0 || 0 || 0 || 10⅔ || 8.44 || 15 || 4 || 8 || 0 || 8 || 2.16 || || 1995 || 24 || 4 || 1 || 0 || 0 || 49⅔ || 3.44 || 37 || 6 || 27 || 2 || 41 || 1.29 || || 1996 || 7 || 0 || 0 || 0 || 0 || 10 || 8.10 || 15 || 1 || 5 || 1 || 5 || 2.00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4시즌) || 44 || 5 || 1 || 1 || 0 || 79⅔ || 4.29 || 70 || 11 || 45 || 4 || 61 || 1.44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02 || [[KIA 타이거즈|KIA]] || 32 || '''202⅓'''[br](3위) || '''{{{#red,#ff0000 19}}}'''[br](1위) || 9 || 0 || 0 || 3.34 || 172 || '''24'''[br](2위) || 52 || 16 || 135 || '''1.11'''[br](2위)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03 || [[KIA 타이거즈|KIA]] / [[두산 베어스|두산]] || 29 || 168⅔ || 8 || 7 || 0 || 0 || 3.79 || 160 || 15 || 46 || 17 || 77 || '''{{{#red,#ff0000 1.22}}}'''[br](1위) || || 2004 || [[두산 베어스|두산]] || 19 || 103⅔ || 7 || 9 || 0 || 0 || 4.69 || 115 || 12 || 38 || 7 || 50 || 1.48 || ||<-2> '''[[KBO 리그|KBO]] 통산''' [br] (3시즌) || 80 || 474⅔ || 34 || 25 || 0 || 0 || 3.79 || 447 || 51 || 136 || 40 || 262 || 1.23 || == 여담 == 여담으로 그의 형 스티브 키퍼도 메이저 리그에서 뛰었다고 한다. 포지션은 [[3루수]]로 오클랜드에서 데뷔하여 밀워키, 뉴욕 양키스에서 총 6시즌을 뛰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KBO)]] * [[야구 관련 인물(기타 리그)]]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오렌지(캘리포니아) 출신 인물]][[분류:1968년 출생]][[분류:1988년 데뷔]][[분류:2004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KBO 다승왕]][[분류:쥔궈 베어스-싱농 베어스-싱농 불스-이다 라이노스-푸방 가디언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