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마크 그랜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라운드 지명선수)] ---- ||
'''{{{#ffffff 마크 그랜트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34번}}}''' || || [[마이크 크루코]][br](1983) || {{{+1 →}}} || '''{{{#ffffff 마크 그랜트[br](1984)}}}''' || {{{+1 →}}} || 바비 무어[br](1985)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47번}}}''' || || 데니스 리틀존[br](1979) || {{{+1 →}}} || '''{{{#ffffff 마크 그랜트[br](1984)}}}''' || {{{+1 →}}} || 프랭크 윌리엄스[br](1984~1986)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46번}}}''' || || 마이크 제프코트[br](1985) || {{{+1 →}}} || '''{{{#ffffff 마크 그랜트[br](1986~1987)}}}''' || {{{+1 →}}} || 존 펠만[br](1987)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52번}}}''' || || [[테리 멀홀랜드]][br](1986) || {{{+1 →}}} || '''{{{#ffffff 마크 그랜트[br](1986~1987)}}}''' || {{{+1 →}}} || 러스 스완[br](1989)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55번}}}''' || || 마크 뎀프시[br](1982) || {{{+1 →}}} || '''{{{#ffffff 마크 그랜트[br](1987)}}}''' || {{{+1 →}}} || 키스 콤스톡[br](1987) || ||<-5> '''{{{#de6108 [[샌디에이고 파드리스|{{{#de6108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52번}}}''' || || 짐 스틸스[br](1987) || {{{+1 →}}} || '''{{{#312821 마크 그랜트[br](1987)}}}''' || {{{+1 →}}} || 데이브 레이퍼[br](1988~1989) || ||<-5> '''{{{#de6108 [[샌디에이고 파드리스|{{{#de6108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55번}}}''' || || 루이스 데레온[br](1982) || {{{+1 →}}} || '''{{{#312821 마크 그랜트[br](1987~1990)}}}''' || {{{+1 →}}} || 안드레스 베루멘[br](1995~1996)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55번}}}''' || || [[브라이언 스니커]][br](1988~1990) || {{{+1 →}}} || '''{{{#ffffff 마크 그랜트[br](1990)}}}''' || {{{+1 →}}} || [[케이시 켈리]][br](2016) || ||<-5> '''{{{#ffffff [[시애틀 매리너스|{{{#ffffff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50번}}}''' || || 테리 테일러[br](1988) || {{{+1 →}}} || '''{{{#000000 마크 그랜트[br](1992)}}}''' || {{{+1 →}}} || 밥 아이롤트[br](1993)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7번}}}''' || || 롭 머피[br](1992) || {{{+1 →}}} || '''{{{#000000 마크 그랜트[br](1993)}}}''' || {{{+1 →}}} || [[C.J. 니코스키]][br](1998) || ||<-5> '''{{{#c4ced4 [[콜로라도 로키스|{{{#c4ced4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55번}}}''' || || 팀 창단 || {{{+1 →}}} || '''{{{#ffffff 마크 그랜트[br](1993)}}}''' || {{{+1 →}}} || 조 그라헤[br](1995)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rk-grant.jpg|width=100%]]}}} || ||<-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지역방송 해설자''' || ||<-2> '''{{{#2f241d {{{+2 마크 앤드류 그랜트}}}[br]Mark Andrew Grant}}}''' || ||<|2> '''출생''' ||[[1963년]] [[10월 24일]] ([age(1963-10-24)]세) || ||[[일리노이|일리노이 주]] 오로라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학력''' ||졸리엣 카톨릭 아카데미 || || '''신체''' ||188cm / 89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1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0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 '''소속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84, 1986~1987)[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87~1990)[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990)[br][[시애틀 매리너스]] (1992)[br][[휴스턴 애스트로스]] (1993)[br][[콜로라도 로키스]] (1993)[br][[퉁이 라이온스]] (1996) || || '''SNS''' ||[[https://www.instagram.com/somekindanic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udcat55,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우완 투수 출신 방송 해설가. == 경력 == 데뷔 초에는 나름 촉망받던 유망주였다. 90마일 중후반대의 묵직한 직구와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 싱커를 구사했던 무게감이 있던 투수였다. 아쉬운 것은 유리몸이었다는건데, 이러한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트레이닝을 했던 탓도 있고, 잘 하지 못해서 부상이 많았다는 점이다. 결국 이리저리 팀을 옮겨다니면서 커리어를 쌓아나갔고, 결국 1993년 시즌을 끝으로 30살의 이른 나이에 선수생활을 마쳤다. 그래도 선수생활은 짧았지만, 방송가의 생활은 거의 30년에 가까워지고 있는데, 이유는 말주변이 대단히 좋아서 그렇다. 선수 시절 인터뷰 할 때도 익살스러운 입담으로 리포터와 아나운서들의 배꼽을 잡기 바빴을 정도. 중계방송 시작 전에는 세이버매트릭스를 참고하면서 준비하는만큼 새로운 트렌드에 대해서도 개방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토니 그윈|아버지]] 만큼 선수생활은 화려하지 못했지만, 통계를 보는 눈에 도가 튼 [[토니 그윈 주니어]]와 야구 이야기를 많이 주고받는다고 하며, 나이 어린 선수들과도 허물없이 지낸다.][* 이는 자신만의 철칙이 있기에 가능한 것인데, 젊은 사람과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같이 일하는 것이 본인에게도 커다란 자기계발이 된다 믿고 있다. 이는 실제로 연구 결과로 존재하는 이론이다.] 이 점이 장점이 되어서 현재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지역방송 채널에서 해설자로 롱런하고 있다. == 여담 == * 투수 출신이다보니 교체 타이밍이라든지 심리적인 압박을 받았을 것이라는 예측을 잘한다. 그래서 감독들이 그랜트의 말을 좀 들었으면 하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김선우(1977)|김선우]]의 경우도 투수출신이다보니 교체 타이밍 등을 정말 잘 맞추고 있다.] * 2014년에는 [[밀워키 브루어스]] 중계진에 들어와서는 House of Pain의 Jump Around[* 참고로 이 노래는 [[위스콘신 대학교]] 학생들이 모교 미식축구팀을 응원하기 위해 일명 "Jumpimg Time"이라고 하는 동작에 맞춰 격렬하게 뜀뛰곤 한다. 쿵쿵거리는 소리 때문에 원정팀 선수들도 죽을 맛이라고 한다.] 노래에 맞춰 신나게 춤을 추고 도망갔다. 장난기도 충만하다. [youtube(J0BjPLRmmxo)] * 2021년 7월 8일, [[펫코 파크]]에서 열린 [[워싱턴 내셔널스]]와의 홈 경기에서 파드리스가 경기 초반 8-0으로 뒤지자 4회초 경기 도중 [[돈 오실로]]에게 "이 경기를 이긴다면 (약 47km 거리인) 캘리포니아 알파인에서 펫코 파크까지 걸어오겠다"는 약속을 했는데 4회말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의 솔로홈런부터 시작된 빅이닝에 방점을 찍은 구원투수 [[다니엘 카마레나]]의 만루홈런과 [[트렌트 그리샴]]의 끝내기 안타에 힘입어 정말로 9-8로 승부를 뒤엎고 승리했다.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남성 방송인]][[분류:야구 해설자]][[분류:1963년 출생]][[분류:1984년 데뷔]][[분류:2009년 은퇴]][[분류:오로라(일리노이)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은퇴, 이적]][[분류: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은퇴, 이적]][[분류:시애틀 매리너스/은퇴, 이적]][[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분류:콜로라도 로키스/은퇴, 이적]][[분류:샌디에이고 파드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