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3> '''{{{#000 {{{+1 마츠시마 사건}}}[br]松島事件}}}''' || ||<-2><#C0C0FF> '''시기''' || ||<-2> [[1884년]] [[1월 4일]] ([[메이지 시대|메이지]] 17년 [[1월 4일]]) || ||<-2><#C0C0FF> '''장소''' || ||<-2> [[일본 제국]] [[오사카부]] || ||<-2><#C0C0FF> '''원인''' || ||<-2> 상호간의 위화감에서 비롯된 악감정 || ||<-2><#C0C0FF> '''교전 세력''' || ||<^|1>[[일본 제국 육군|[[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width=25]] 일본 제국 육군]] ||<^|1>[[일본 제국 경찰|[[파일:경시청 휘장.svg|width=25]] 일본 제국 경찰]] || ||<-2><#C0C0FF> '''전력''' || ||<^|1>1,400명 ||<^|1>600명 || ||<-2><#C0C0FF> '''피해''' || ||2명 사망 [br] 40여 명 부상 ||10여 명 부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1884년]]에 [[일본 제국]] [[오사카부|오사카]]에서 벌어진 군경간의 난투극. == 배경: 군경간의 위화감 == 이들의 위화감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우선 [[메이지 유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메이지 유신으로 [[사무라이]] 계급이 폐족 처분을 받은 후 이에 대한 사족 계급의 반발로 [[세이난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 제국]] 정부는 검술에 능한 사족 계급을 대대적으로 특채해 [[발도대]]라는 이름으로 경찰관으로 임용했으며 역할도 [[에도 막부|도쿠가와 막부]] 시기에 치안보조를 했던 도신 등 무사들의 역할을 계승하게 되었지만 군대는 [[대일본제국 헌법]]에 명시된 [[징병제|국민개병제]] 논리에 따라서 징병제를 실시해 평민 계급 출신을 위주로 징발했다. 이러다보니 두 집단 사이에서는 알게 모르게 위화감이 형성되었고 이 사건의 발단으로 작용했다.[* 여담으로 육군은 [[조슈]], 경찰은 [[사쓰마]]의 입김이 강한 집단이었다. 두 지역은 뿌리깊은 라이벌 관계로 육군-경찰뿐만 아니라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육군-해군(사쓰마)]]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러던 중 [[1883년]] [[12월 31일]] 만취한 군인 3명이 [[주재소]]에 들어와 당직 [[순사]]에게 '''"말투가 싸가지 없다"'''[* 경찰관이 상술한 것에서 비롯된 특유의 권위의식으로 군인들을 향해 반말한 것으로 보인다.]며 시비를 거는 일이 벌어졌다. 이들은 인근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 제국 육군|일본 육군]] 오사카 진대(大阪鎮台) 소속 장병들이었는데 몸싸움 끝에 군인들은 순사를 두들겨패고 경찰모를 빼앗아 부대로 복귀했다. 곧이어 '''새해 첫날'''인 [[1884년]] [[1월 1일]], 그 다음날인 [[1월 2일]]에도 [[외박]]을 나온 군인과 경찰관 간의 싸움이 벌어졌고 두 집단 사이에서는 긴장감이 고조되었다. == 난투극 == 1884년 [[1월 4일]] [[오사카]] 시내로 휴가를 나와 마츠시마 [[유곽]](집창촌)을 다녀오던 [[육군]] [[병사]]가 [[노상방뇨|경찰서 담벼락에 오줌을 싸다가]] 순찰을 돌던 경찰에게 붙잡혀 경찰서로 끌려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이 부대에 [[전파]]되자 사단 병력 1,400여명이 붙잡힌 [[전우]]를 구출하겠답시고 [[일본 군도|군도]]를 빼들고 경찰서로 쳐들어왔는데 이에 맞서 경찰관 600여명도 [[경찰도]]로 무장하고 이들을 공격하면서 난투극이 시작되었다. 이들을 제지하기 위해 육군 [[일본 제국 육군/헌병|헌병]] 100여명이 현장에 출동했지만 중과부적으로 싸움을 막을 수는 없었다. 이 사건은 오사카 경찰의 총 책임자였던 [[오사카부]]청 경찰부[* 지금의 오사카부 경찰본부장. [[일본 제국 경찰]]은 [[프랑스 제3공화국]]과 [[독일 제2제국]]의 경찰행정법을 본받아 [[내무성]] 직할의 경보국과 도쿄 시내의 [[경시청]]에서 근무하면서 내무대신의 지시를 받는 중앙경찰과 [[도도부현]]을 다스리는 현청에서 근무하면서 현지사의 지시를 받는 지방경찰로 인사체계가 분리되어 있었다. 여기서 [[오사카부]] 경찰은 지방경찰로 분류되어 [[오사카부]]청의 일개 부서로 존재하고 있었다.]장 오우라 가네타케(大浦兼武)[* 1850~1918, 사쓰마 출신]에게까지 전파되었고 오우라는 자신이 이 골때리는 사태를 수습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 해결 == 사실 사족 출신이었던 오우라는 [[경시청]] [[발도대]]로 특채되어 [[세이난 전쟁]]에 참전한 경력이 있었는데 이때 군부와의 업무 협약에서 지휘계통의 혼선을 막기 위해 [[일본 제국 육군|일본 육군]] [[중위]] 계급으로 임시 임관한 적이 있었다. 그런 까닭에 [[일본군]] 시절 계급장과 군복을 가지고 있었고 중위 시절 입었던 전투복을 입고 [[말(동물)|말]]을 타고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자신들의 옛 전우들이었던 군인들과 직장 후배들인 경찰들을 상대로 제발 싸움을 그만 하라고 사정했다. 결국 일본 육군은 2명의 사망자와 40여명의 부상자를 남기고 부대로 복귀했으며 경찰은 중경상 10여명의 피해를 입었다. == 사건 이후 == 일본 육군은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자기들이 먼저 쳐들어왔다가 사상자를 남기고 부대로 퇴각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우라 경찰부장이 경찰 편을 들어 부득이하게 후퇴했다"고 [[정신승리]]를 시전했고 경찰은 "군인들이 쳐들어 오길래 부득이하게 반격했다"고 반박했다. 사건을 해결한 오우라 경찰부장은 이후 [[높으신 분들]]의 신임을 얻어서 경시총감을 거쳐 내무대신까지 오르면서 승승장구했고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대한제국 훈장|훈장]]을 수여받기도 했다. 사건 이후에도 육군과 경찰 간의 갈등은 해결되지 않았다. 50년 후인 [[1933년]]에는 '''또''' [[오사카 고스톱 사건|오사카를 배경으로 경찰과 군부간의 신경전]]이 벌어졌고 [[5.15 사건]]과 [[2.26 사건]]을 겪으면서 경찰관이 쿠데타군의 총격을 받고 사살되는 일이 빈번했으며 아예 [[2.26 사건]] 당시에는 쿠데타군의 주 타격대상에 도쿄 [[경시청]]이 포함됐을 정도였다. 물론 이때 경찰 소속으로 파견된 경호 인력들이나 쿠데타에 맞서던 경찰들은 대거 학살 수준으로 사살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하루 전날인 [[궁성사건]] 당시에도 [[황궁경찰본부]]가 반란 세력인 근위대에게 무장해제당하는 등 동네북처럼 다뤄졌다. 그러나 [[일본의 항복]] 직후 두 집단 사이에서 경찰의 입김이 세지자[*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이었다. 전후에는 [[일본제국 경찰]]에게 시달렸던 일본인들이 경찰관을 상대로 보복성 행패를 부리는 일이 잦았다.] 경찰쪽에서는 [[일본군 패잔병]]들을 "그렇게 설치고 다니더니 결국 저 꼴이 났다"며 비웃거나 심지어 길거리에 돌아다니는 패잔병을 검문한답시고 구타하는 일이 빈번하게 벌어졌다. [[일본 경찰]]은 현대에도 공안경찰에 "자위대 감시반(自衛隊監視班)"까지 만들어 가면서 [[자위대]]의 [[쿠데타]]와 돌발 상황을 경계하고 있다. 경시청 관계자가 대놓고 5.15 사건과 2.26 사건을 언급하면서 "바보같은 소리일지도 모르겠지만 '''[[전과(범죄)|전과]]'''가 있는 이상 가능성은 제로라고 할 수 없다고 봅니다"라고 할 정도이며 [[http://archive.is/dHNsW|#]] 2016년에는 [[시큐리티 폴리스]]가 2.26 사건 당시 순직한 경찰관들의 무덤을 참배하는 행사를 하기도 했다. [[https://policemaniacs.com/%E8%A6%81%E4%BA%BA%E8%AD%A6%E8%AD%B7%E3%82%92%E6%8B%858%E3%81%86sp/|#1]], [[http://archive.is/qhROD|#2]] 사고를 친 부대는 [[1888년]]에 육군 [[제4사단]]으로 개편되었고 [[청일전쟁]], [[러일전쟁]]에도 투입되었지만 러일전쟁 후에는 [[땡보|상비사단임에도 불구하고 1937년까지 전선에 투입되는 일이 전혀 없었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관동군]]에 배속되어 중국 전선에 투입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에도 동원되어 당시로선 [[추축국]]이었던 [[쁠랙 피분송크람]] 치하 [[태국]]에서 패전을 맞아 해산, [[소집해제]]되었다. 이들은 [[태평양 전쟁]] 당시에도 상대적으로 안전한 곳이었던 '''[[방콕]][[땡보|에 주둔 중이었기 때문에 일본군에서 가장 전사자가 적은 부대]]'''였던 데다 [[http://blog.daum.net/shanghaicrab/11558763|귀국할 때 혈색이 너무 좋아서 군부의 배급 통제로 영양결핍에 시달리던 본토의 사람들이 놀랐다.]] == 관련 문서 == * [[오사카 고스톱 사건]] * [[자위대/사건 사고#s-4.2|하코다테 공항 MiG-25 망명 사건]] *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분류:1884년/사건사고]][[분류:일본군/사건 사고]][[분류:메이지 시대/사건 사고]][[분류:오사카부의 사건사고]][[분류:일본 경찰/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