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ffffff ''' 마츠바라 미키 ''' }}} }}} [br] {{{+1 {{{#ffffff ''' 松原みき | Miki Matsubara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tsubaramiki.png|width=100%]]}}} || || {{{#fff '''이름''' }}} ||[ruby(松原, ruby=まつばら)] みき (마츠바라 미키, Miki Matsubara) || ||<|2> {{{#ffffff ''' 출생 ''' }}} ||[[1959년]] [[11월 28일]] || ||[[오사카부]] [[키시와다시]][* 이후 [[사카이시(오사카)|사카이시]] [[니시구]]에서 자랐다.] || ||<|2> {{{#ffffff ''' 사망 ''' }}} ||[[2004년]] [[10월 7일]] (향년 44세) || ||[[오사카부]] || || '''국적'''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일본]] || || '''신체''' ||158cm, [[O형]] || || '''학력''' ||문화학원대학 부속 스기나미 고등학교 {{{-2 (졸업)}}} || || '''직업''' ||[[가수]], [[작사가]], [[작곡가]]|| || '''데뷔''' ||[[1979년]] [[11월 5일]] [[싱글(음악)|싱글]] '[[真夜中のドア〜 Stay With Me]]'|| || '''레이블''' ||[[PONY CANYON| [[파일:Ponycanyonlong.jpg|width=150]]]][* Who Are You, - Cupid -, Myself, Paradise Beach, Cool Cut 앨범은 See Saw Records, 마지막 앨범인 Wink는 JVC 켄우드 빅터 엔터테인먼트.]|| || '''링크''' ||[[http://mikimatsubara.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8]]]] [[https://instagram.com/staywithme_miki?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8]]]]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taywithme_miki, 크기=18)] [[https://youtube.com/@staywithme_mik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공식 계정.] [[https://www.youtube.com/channel/UCT77P4HLpV7B2sbmuxa_dj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유튜브 자동 생성 계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kimatsubara.jpg|width=100%]]}}} || '''마츠바라 미키''' (松原 みき)는 [[1970년대]] [[쇼와 시대]]에 데뷔한 [[일본]]의 여성 [[가수]]이자 [[시티팝]]하면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가수]] 중 한 명이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싱어송라이터]]로 활동했으며 그 이후엔 가수 활동을 그만두고 작곡 활동을 이어나가지만 [[2004년]] [[자궁경부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2020년대]]에 들어서며 [[틱톡]]으로 마츠바라 미키의 데뷔곡 [[真夜中のドア〜 Stay With Me|'[ruby(真夜中のドア, ruby=한밤 중의 도어)]~Stay With Me~']]가 서양에서 인기를 얻으며 시티팝의 주역이 될 만큼 인지도가 커졌다. 본국인 일본에선 '''[[真夜中のドア〜 Stay With Me]]''', '''ニートな午後3時'''[* 싱글 오리콘 차트 26위, 시세이도 화장품 광고 CM송], '''Paradise beach'''[* 싱글 오리콘 차트 75위, maxell CM송], '''Hello today''' 등 다수의 곡들이 히트를 쳤다. 당시에는 춤추며 노래하는 라이브 공연 방식으로 진행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었다. == 생애 == === 데뷔까지 === [[1959년]] 11월 28일, [[오사카부]] [[키시와다시]]에서 태어나 [[사카이시(오사카)|사카이시]] 니시구 하라오카 쵸에서 어린시절을 보냈다. 어머니가 재즈 싱어였기 때문에 3살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여 [[재즈]]와 본격적으로 친해졌다. [[1972년]] 히라오카 소학교에서부터 풀학원 중학교에 입학, 이때 락에 흥미를 가지고 록밴드 '우려 (愚麗)'에 가입해 연주활동을 시작했다. [[1975년]] 풀 학원고교에 진학하여 '요시노야 밴드 (吉野家バンド)'의 키보디스트로 [[교토]]의 라이브하우스인 '타쿠타쿠 (磔磔)' 에서 활동했다. [[1977년]], 고교 3학년 때 가수로 데뷔하기 위해 홀로 [[도쿄]]로 상경해 문화대학 부속 스기나미 고등학교로 전학했다. 미군 캠프 등 각지를 전전하며 연주활동을 하다가 [[롯본기]]의 재즈 스팟인 '버드랜드 (バードランド)'에 돌연 뛰어들었는데 이때 재즈 피아니스트인 '세라 유즈루(世良譲)'에게 극찬을 받았다.[* 미키가 가수가 된 후, 같이 공연도 했다.] 하지만 이 때 [[아르바이트]]로 인한 누적된 피로와 정신적 불안이 겹쳐 시력이 급격히 나빠졌기 때문에 졸업시험은 구두시문으로 돌파한 다음 수술로 회복했다고 한다. === 데뷔 이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CqKxV5FP_g)]}}} || || {{{#ffffff '''데뷔곡이자 대표곡인 <한밤중의 도어 ~Stay With Me~>''' }}} || [[1979년]] 11월 5일 첫 싱글 '[[真夜中のドア〜 Stay With Me|한밤중의 도어 ~Stay With Me~]]'로 데뷔하여 많은 신인상을 따냈다. 이후 [[1991년]] 1월 21일까지 커플링곡을 포함, 싱글 17장, [[베스트 앨범]]을 포함한 정규앨범 15장을 발표하고 일본 각지에서 연주활동을 지속했다. [[1990년]] 이후 가수로서 활동은 그만두면서, 백밴드의 드러머였던 혼죠 마키[* 후에 치과 의사가 되었다고 한다.]와 결혼, CM송이나 애니메이션 등을 중심으로 [[작곡가]]로서 활동을 이어나간다. 특히 [[1997년]]의 NHK의 '민나노 우타[* 작곡•작사를 해서 방송국에 보내면, 가수가 대신 불러주는 프로그램.]'에서 방송된 코우다 마리코의 '아메노치 스페셜'은 큰 주목을 받으면서 [[2004년]]까지 반복해서 재방송되었다. === 사망 === 2001년, 그녀는 자신의 동료들과 주변 사람들에게 "사정상 더 이상 활동을 계속할 수 없다. 전화, 메일 등 다 끊었으니 연락하지 말라"는 식의 다소 충격적인 메일만 남기고 돌연 잠적하게 된다. 당연히 이걸 받은 사람들은 연락을 시도했지만 그녀의 연락은 없었다. 그렇게 수 년이 흘러 2004년 12월 신문을 통해 그녀의 부고 소식이 전해진다. 2004년 10월 7일 향년 4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지 두 달이 지난 후였다. 그 후 3년 뒤, 2007년 7월 20일 그의 남편도 54세로 생을 마감하게 되었다. 그때 이 공백의 시간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녀가 왜 그랬는지에 대한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지게 되는데 주변인들에게 보내는 이메일에는 차마 담을 수 없는 내용들이었다. >'"내가 가수, 작곡가로 활동하던 시기에 대해 잊어주길 바라" >"이 때의 내 생활이 병을 만든 거 같다고 생각해. 그래서 리셋해버렸어" >---- >그녀가 보냈던 메일의 내용들 2001년, 당시 잠적의 직접적인 원인[* 잠적 원인은 자신의 사촌 동생에게 처음으로 알렸다고 한다.]은 이미 자궁경부암 말기였기 때문이며, 그 이전부터 다른 사람들에게 사실을 숨기고 투병해왔고 본인 스스로 음악 커리어가 병을 만들었다 생각했다고 하니 실제로는 90년대 중에도 오랜 기간 동안 투병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https://youtu.be/JNvL8GleZow|실제로 1990년에 촬영된 마지막 라이브 녹화 영상을 보면 몸이 좀 야위어졌고, 목소리가 많이 쉬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무튼 이 때는 이미 자신의 삶의 거의 전부였던 음악 그 자체에 대해 후회하고 있었다. 심지어 죽기 1년 전에는 그동안 자기가 작곡하거나 부른 작품들을 불태워버리기까지 했다고 한다. 다만, 가족의 증언에 따르면 이는 증오라기보다는 애증이었다고 하며, 실제로 사망 일주일 전 아버지에게 이 말을 남겼다고 한다. >"나는 많은 것을 하고 싶다. 지금도 생각하고 있어. 그래서 죽고 싶지 않아." 또한 아버지의 증언으로는 그녀는 투병 중 고통으로 의식이 없을때 음악을 중얼거린 적이 자주 있었는데, 이를 보고 아버지는 그녀는 사실 음악을 계속 사랑했던게 아닐까 생각한다고 인터뷰했다. == 대표곡 == || [youtube(VEe_yIbW64w)]||[youtube(OvBUF7CbWMI)]|| ||<#835F6E> '''[[ 真夜中のドア〜 Stay With Me| {{{#fff 真夜中のドア〜 Stay With Me }}}]]''' ||<#835F6E> '''{{{#fff - Cupid -}}}''' || == 앨범 디스코그래피 == ||
<:>'''발매일'''||<:>'''제목'''||<:>'''순위'''|| || 1980.01.21 ||<:>Pocket Park || 13위 || || 1980.09.21 ||<:>Who Are You? || 24위 || || 1981.04.21 ||<:>—Cupid— || 23위 || || 1982.03.21 ||<:>Myself || 68위 || || 1982.12.05 ||<:>彩 || ? || || 1983.06.21 ||<:>Paradise Beach[* 싱글] || 75위 || || 1983.09.21 ||<:>REVUE || 73위 || || 1984.05.21 ||<:>Cool Cut || ? || || 1984.10.21 ||<:>Blue Eyes || ? || || 1985.06.05 ||<:>松原みき ベストセレクション || ? || || 1985.06.21 ||<:>LADY BOUNCE || ? || || 1986.12.05 ||<:>松原みき スーパーベスト || ? || || 1988.05.21 ||<:>WiNK || ? || == 여담 == * 국내에서는 Stay With Me가 알려지기 이전에도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의 주제가를 맡은 것을 계기로 건담 팬들에겐 약간의 지명도를 확보하고 있었다. * 그녀의 무대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요즘 세대에도 먹힐법한 세련된 아이돌같은 외모를 지니고 있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QiMF2hJa4Js|#]] 당대 최고의 아이돌인 [[마츠다 세이코]]와의 [[https://youtu.be/Z1pggC1Wwo4?si=YacLY_u1watkR3La|합동 무대]]도 있다.[* 실제로 데뷔 초에는 마츠다 세이코와 라이벌 관계였다.] 다만, 마츠바라 본인의 이미지는 아이돌과는 거리가 크게 있었다. * 원래 <[[https://youtu.be/3DMoUWvrg9o?si=ng7vPew2c5eNKWKf|Fancy Free]]>와 둘 중에 어느 것으로 데뷔할지 고심했는데, 더 팝송적인 로 데뷔하기로 하였다고 한다. * [[야마시타 타츠로]]. [[타케우치 마리야]] 등을 위시로한 [[시티팝]] 열풍을 계기로 덩달아 유튜브에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퓨전 재즈]] 장르 또는 [[베이퍼웨이브]] 등의 동영상을 볼 때 자주 맞춤 동영상에 올라오는 편이라 그녀의 곡을 찾아 듣는 해외 팬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일본어 코멘트보다 영어나 타 언어로 된 코멘트가 더 많아진 상황. 뒤늦게 사망 소식을 접하면서 안타까움이 섞인 추모의 코멘트도 꽤 보이는 편이다. * 어린 시절 미군부대에서 공연한 경험도 있어 영어로 부른 음악도 꽤 있다.[* 대놓고 리메이크한 앨범인 'Blue Eyes'가 대표적이다.] * 일본과 한국을 통틀어 마츠바라의 자료를 구하기 쉽지 않은 편이다. 오히려 야후를 포함한 다른 사이트에서는 기록이 없는 편이다. * 애니메이션 [[더티페어 시리즈#s-5.4|더티페어 극장판 프로젝트 에덴]]은 아예 [[마시모 코이치]] 감독이 마츠바라 미키의 뮤직비디오로 만들었다고 하는 작품이다. 효과음도 대사도 줄이고 마츠바라 미키의 음악이 더 잘 들리게 해놨으며 노래에 화면을 맞춰서 연출했다. 마시모 감독 말로는 더티페어의 핵심인 '레이디'와 '더티'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뮤지션은 별로 없었고 마츠바라 미키는 그것이 가능했다고 한다. * <恋にお呼ばれ>와 <恋するセゾン>, 는 재일 한국인 작사가인 강진화[* 1979년에 작사가로 데뷔하여 수많은 히트곡의 가사를 담당했다. [[보아]]와도 [[VALENTI]]를 포함한 여러 곡을 작업했고, [[나카모리 아키나]], [[나카야마 미호]] 등 80년대 아이돌들의 히트곡들을 작사했다. [[터치]]의 오프닝, [[초전자 바이오맨]]의 오프닝과 엔딩 등 애니 및 특촬물 경력도 있다.] 씨가 작사했다. * 2020년에 들어서 [[TikTok|틱톡]]에서 stay with me가 뜨게 되면서 서양팬들에게도 그녀의 이름이 알려진 모양이며, 틱톡 내에서의 시티팝 열풍의 주역이 되었다. * 미키의 많은 노래나 창법 등에서 재즈 풍이 나는데, 어머니가 재즈 가수여서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 인기에 힘 입어 마츠바라 미키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라이브 영상 3개를 업로드하였다. [[분류:일본 여가수]][[분류:1959년 출생]][[분류:1979년 데뷔]][[분류:2004년 사망]][[분류:키시와다시 출신 인물]][[분류:자궁암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