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0deg, #E52B2E 40%, #1a1a1a 40%, #E52B2E 55%, #1a1a1a 50%, #E52B2E 50%, #E52B2E 70%, #1a1a1a 70%, #E52B2E 75%, #1a1a1a 80%, #E52B2E 80%)" {{{#FDDA25 '''마츠 셀스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fe0 0%, #009fe0 20%, #009fe0 80%, #009fe0);" {{{#ffffff '''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주장 ''' }}} }}} || || [[디미트리 리에나르]][br]{{{-1 (2021~2023) }}} || {{{+1 {{{#ffffff ▶ }}} }}} || '''{{{#ffffff 마츠 셀스[br]{{{-1 (2023~ )}}}}}}''' || {{{+1 {{{#ffffff ▶ }}} }}} || ''현직'' || ---- [include(틀:리그 1 주장)]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츠 셀스 23-24.webp|width=100%]]}}} || ||<-3> '''{{{#ffffff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No. 1}}}''' || ||<-3> '''{{{#074b94 {{{+1 마츠 셀스}}} [br] Matz Sels}}}''' || ||<-2> '''{{{#ffffff 본명}}}''' ||마츠 빌리 엘스 셀스 [br] Matz Willy Els Sels || ||<|2><-2> '''{{{#ffffff 출생}}}''' ||[[1992년]] [[2월 26일]] ([age(1992-02-26)]세) || ||[[벨기에]] [[안트베르펜]] 린트 || ||<-2>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2> '''{{{#ffffff 신체}}}''' ||[[키(신체)|키]] 188cm / [[체중]] 75kg || ||<-2> '''{{{#ffffff 포지션}}}''' ||[[골키퍼]] || ||<-2> '''{{{#ffffff 주발}}}''' ||오른발 || ||<|2> '''{{{#ffffff 소속}}}''' || '''{{{#ffffff 유스}}}''' ||콘티치 FC (1997~1999)[br][[리르서 SK]] (1999~2010) || || '''{{{#ffffff 프로}}}''' ||[[리르서 SK]] (2010~2014) [br][[KAA 헨트]] (2014~2016) [br] [[뉴캐슬 유나이티드]] (2016~2018) [br]→ {{{-1 [[RSC 안데를레흐트]] (2017~2018 / ^^임대^^)}}} [br]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2018~ )''' || ||<-2> '''{{{#ffffff 국가대표}}}''' ||6경기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2021~ )^^[* 2023년 11월 16일 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기에]]의 [[축구선수]].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소속이다. == 클럽 경력 == === 리에르스 SK === 7살에 리에르스 유스팀에 입단하여 2010년 퍼스트팀에 콜업될 때까지 10년 넘게 유스팀에서 성장해왔다. 2012-13 시즌을 앞두고 기존 주전 골리였던 [[가와시마 에이지]]가 [[스탕다르 리에주]]로 떠나면서 넘버원으로 거듭났다. 그리고 시즌이 끝난 뒤 팀이 강등당하자 재계약 제의를 거절하고 팀을 떠났다. === [[KAA 헨트]] === 2013년 12월 31일, 겨울 이적시장을 앞두고 헨트에 입단했다. 주전 골리인 프랭크 보엑스가 시즌이 끝나고 팀을 떠날 것이 유력해지면서 대체자로 영입하게 된 것이다. 그는 1월 14일 [[KV 코르트레이크]]와의 벨기에컵 8강전에서 데뷔했으며, 여러차례 선방과 승부차기에서 뛰어난 활약으로 준결승 진출에 큰 공을 세웠다. 2014-15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팀의 넘버원으로 올라섰다. 그리고 시즌 내내 최고의 퍼포먼스로 클럽 역사상 최초의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벨기에 1부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도 획득했다. 2015-16 시즌 챔피언스리그 조별라운드 [[올림피크 리옹|리옹]]전에서는 [[라카제트]]의 페널티킥을 막아내며 1:1 무승부를 이끌어냈다. 2016년 1월, 지난 시즌 뛰어난 활약으로 팀의 우승을 이끈 공로를 인정받아 벨기에 최우수 골키퍼 상을 수상했다.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2016년 6월 29일, [[EFL 챔피언십]]으로 강등당한 뉴캐슬과 5년 계약을 채결했다. 8월 5일 [[풀럼 FC|풀럼]]과의 개막전에서 첫 경기를 치른 후 8월 13일부터 9월 13일까지 4연속 클린시트를 기록하며 적응 기간 없이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9월 24일 [[아스톤 빌라]]전에서 후반 늦은 시간 코너킥 상황에서 판단미스로 동점골을 허용하며 팬들의 비판을 받았다. 그리고 다음 [[노리치 시티|노리치]]전부터는 [[칼 달로우]]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서브로 밀려났고, 30라운드 [[더비 카운티|더비]]전부터는 [[롭 엘리엇]]이 장기부상을 털고 복귀하면서 벤치에도 앉지 못하고 시즌을 마무리했다. ==== [[RSC 안데를레흐트]] (임대) ==== 자리를 잃은 셀스는 안데를레흐트로 임대를 떠나면서 1년만에 자국으로 복귀했다. ===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 2018년 7월 27일, 350만 유로에 [[리그 앙]]의 스트라스부르로 이적했다. 공교롭게도 리에르스 시절 한솥밥을 먹은 가와시마 에이지와 재회하게 됐다. 치열한 주전경쟁이 예상된다. 입단 이후 두 시즌 동안은 팀의 넘버원으로 활약했으나, 2020-21 시즌에는 가와시마에게 잠시 주전 자리를 내주기도 했다. 그러다가 2021-22 시즌부터는 다시 부동의 넘버원으로 출전 중. 2022년 6월 25일 팀과 4년 재계약을 체결했다. 2022-23 시즌 역시 맹활약을 하고 있지만 수비진의 호러쇼로 클린시트가 별로 없다. 32R [[스타드 드 랭스]]전에서는 무려 5개의 선방을 만들며 맹활약을 했다. == 국가대표 경력 == 2015년 10월, [[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안도라]]와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이스라엘]]과의 [[UEFA 유로 2016/예선/B조|유로 지역예선]] 2연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소집됐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 2020]]에 예비명단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2021년 6월 3일,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그리스]]와의 친선전에서 후반 종료를 앞두고 [[시몽 미뇰레]] 대신 교체출전하며 데뷔전을 치렀다. == 플레이 스타일 == 좋은 롱패스를 바탕으로 하는 후방 빌드업 능력이 눈에 띄는 골키퍼로 발밑이 좋다는 평을 받는다. 위치선정 능력도 좋고 전진성도 뛰어난 현대적인 골키퍼로 빠르게 뛰쳐나와 각을 좁히는 1대1 수비에 강점을 드러낸다. 다만, 판단력에 기복이 있는 편이라, 뒷공간을 내어주는 실수가 잦은 편이다. 또한 선방 능력은 뛰어나지만, 볼을 핸들링하는 데 있어서는 미숙한 모습을 보인다. == 여담 == == 같이 보기 == [include(틀: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include(틀: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분류:1992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안트베르펜 주 출신 인물]][[분류:벨기에의 축구선수]][[분류:골키퍼]][[분류:리르서 SK/은퇴, 이적]][[분류:KRC 헹크/은퇴, 이적]][[분류: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RSC 안데를레흐트/은퇴, 이적]][[분류:RC 스트라스부르/현역]][[분류:벨기에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