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 '''영어판 명칭''' || '''Liliana, the Last Hope''' ||<|6>[[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207540_1.jpg|width=223px]]|| || '''한글판 명칭''' || '''마지막 희망 릴리아나''' || || '''마나비용''' ||<#000000> {{{#ffffff {1}{B}{B} }}}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플레인즈워커]] — 릴리아나 || ||||+1:최대 한 개의 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당신의 다음 턴까지 -2/-1을 받는다.[br][br]-2:당신의 서고 맨 위의 카드 두 장을 당신의 무덤에 넣는다. 그 후 당신의 무덤에서 생물 카드 한 장을 당신의 손으로 되돌릴 수 있다.[br][br]-7:당신은 "당신의 종료단 시작에, 2/2 흑색 좀비 생물 토큰 X개를 전장에 놓는다. X는 당신이 조종하는 좀비의 숫자에 2를 더한 수이다." 를 가진 휘장을 얻는다.|| || '''충성도''' || 3 ||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섬뜩한 달]] || 미식레어 || [목차] == 개요 == 관문수호대를 도와 엠라쿨에 맞서 싸우는 릴리아나를 나타낸 카드. 아이러니하게도 구 이니스트라드 시절에는 좀비 대군을 이끌고 이니스트라드의 질서에 해악을 끼쳤던 흑색 플레인즈워커 릴리아나가, 이번에는 엠라쿨에게 맞설 수 있는 '''마지막 희망'''[* 엠라쿨의 정신 오염, 엘드라지化는 생명에게만 적용된다. 즉 이미 죽은 좀비나 신령에게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그러나 정작 소설 내용에선 막판에 엠라쿨이 진정한 힘을 드러내니깐 그딴거 없이 좀비들도 엘드라지화되었다~~]이 되었다. 엘드라지화 된 수많은 인간, 늑대인간, 천사들을 좀비의 대군으로 맞서며 관문수호대를 도운 릴리아나 덕분에 관문수호대는 엠라쿨을 이니스트라드의 달에 봉인시킬 수 있었다. == 성능 == [[베일의 릴리아나]], [[이단적인 치유사 릴리아나]]에 이어 또다시 1BB로 등장하였으며 이번 컨셉은 주로 흑색의 이미지 중 하나인 사령술과 연관된 컨셉이다. +1은 [[해방된 정신술사 제이스]]의 능력의 상위 호환으로, 마나값 3짜리가 +로 방어력 1 짜리의 생물을 때려잡는 것은 전무후무한 매우 강하고 유니크한 능력이다. 게다가 생물을 잡지 못해도 공격력 -2도 부여시키기 때문에 굉장히 강력하다. -2는 자밀로 섬망 키워드를 충족시키며 동시에 생물 하나를 집어올 수 있기에 키 생물카드를 놓칠 가능성을 줄여준다. 전설적인 생물도 주울 수 있기에 [[반항적인 사령술사 릴리아나]]와 서로 보완적인 능력. -2 치고는 제한이 너무 많아서 아쉽기는 하지만 상대 덱에 따라서 +가 필요없을 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괜찮다. 궁극기는 좀비덱을 위한 필살기. 좀비를 하나도 조종하지 않아도 첫턴 2마리, 다음턴 4마리, 그 다음턴은 6마리로 계속해서 좀비가 증식하며 매스 디나이얼로 좀비들을 날려버려도 휘장은 남아있기에 다시 2마리가 소환된다. 다만 아무런 능력 없는 2/2 좀비이기에 밀리는 상황에서 돌진을 가진 거대 생물이나 비행 생물들에겐 큰 영향을 주기 힘들다.[* 그냥 지나쳐도 되는 얘기지만, 릴리아나를 3턴에 내리고 서고가 동날때까지 휘장을 계속 추가해주면 휘장의 효과를 131번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나오게 되는 좀비의 수는...2.1222332*10^62라는 무시무시한 숫자가 나오게 된다. 일반식은 a0=0, a1=2, an=2*3^n-1(단, n은 2이상)이므로, 서고 재활용까지 해서 나오는 수가 얼마인지는 심심할 때 계산해보면 좋다.] 같은 마나값의 [[베일의 릴리아나]]와 비교하면 템포는 느리지만 대신 확실한 뒷심을 보장해주는 궁극기다. 일단 프릴 직후 평가는 프로플레이어들 사이에서 살짝 의견이 분분하지만 대체로 고평가 중. Cedric Phillips같은 경우 개쩐다!라는 반응이고 [[브라이언 키블러]]는 이게 매우 좋다고? 걍 괜찮긴 한데 놀라운 성능은 아님. 섬망 덱 뜨면 또 모르겠는데, 제이스 급은 절대 아니고 돔리 급 정도. LSV는 3마나 플커는 대체적으로 좋다며 자기 보호 수단을 갖춘 [[제이스 벨레렌]]이라고 평했다. MTG 명예의 전당 멤버인 패트릭 채핀은 [[https://www.youtube.com/watch?v=S5k7r4z_hLQ|자신의 팟캐스트]]에서 일단 +1이 3마나 플커가 +로 자기보호? 게다가 이걸 쓰면 3마나 플커가 로열티 4라니! 이건 최소 [[젠디카르의 목소리 니사]]의 +1급이라며 적절히 [[Noble Hierarch|노블]], [[낙원의 새]]나 젠디카르의 목소리 니사의 식물 토큰같은 방 1 생물도 잡아 줄 수 있으며, 심지어 전투 전에 생물 약화 목적으로 사용할 수 도 있고 or 안쓰다가 (전투 피해를 받은)전투 후에 사용하여 상대에게 고민을 줄 수 있는 트릭키한 스킬로 평가하였고, 궁극기는 3마나 플레인즈워커, 그것도 3마나 플커에 +1로 자기 보호능력을 갖춘 첫 턴 로열티 4의 플레인즈워커가 게임을 날로먹는 휘장을 쓴다며, 그것도 휘장을 쓴 직후의 종료단부터 심지어 좀비들이탭돼서 들어오는것도 아니라며 아니라며 고평가하였다. -2 역시 무덤 속 그 어떤 생물도 아무 조건없이 손으로 불러올 수 있어서 핸드 이득을 주는데다가 섬망을 충족시켜 이번 세트의 [[약속된 종말 엠라쿨]]과도 어찌저찌 같이 쓸 가능성도 있기에 꽤나 훌륭한 능력이라고 평가하고서 '''최소한''' [[Ashiok, Nightmare Weaver|역대]] [[베일의 릴리아나|훌륭했던]] [[돔리 라데|3마나]] [[젠디카르의 목소리 니사|플레인즈워커들]]만큼 훌륭할거라고 확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프로플레이어들의 평가는 일단 대체적으로 모던은 베일의 릴리아나가 있으니까 좀 쉽지 않더라도 일단 스탠다드에서는 강력한 모습을 보일 성능으로 평가하는 중. 일단 프릴 직후 가격은 25불 정도. 실제로 사용 해 본 결과는... '''흑색이야? 그럼 그냥 써!'''로 요약이 가능할 정도로 흑색 섞인 모든 덱이 사용하였다. 무덤활용이 기본인 시즌패스덱이랑 섬망덱이랑 술타이컨트롤은 기본이고, BW 컨트롤은 적 템포 늦추기 위해, 출현덱은 출현으로 희생한 생물 주워올리기 위해 라는 이유로 다 채용했다. 그 효과는 물론 엄청났고, 2016년 7월 24일 SCG 이후 30불로 오른 상태. 그리고 2018년 현재는 55불~60불을 오가는 초고가 플커. 사용하다보니 잘 보이지 않던 여러 시너지가 발견되면서 베일릴리를 쓴다면 최소 1장은 반드시 들어가는 수준이 되었다. 첫째로 무덤에서 생물을 퍼오는 - 능력이 베일로 버린 주요 카드를 재활용해주는 좋은 수단이 되어 준다는 것이고, 둘째는 상대를 락킹하긴 하지만 자신이 승리수단이 되지 못하는 베일과 달리 궁극기가 99% 게임에서 승리하는 강한 승리수단이 되어주기 때문에 베일로 희망을 지키는 운영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 주요 덱 == '''[[섬뜩한 달]] 첫 프로투어'''에서 바로 메인 3장 들어간 Bw 컨트롤 덱으로 섬뜩한 달 릴리즈 되자마자 최초의 스탠다드 우승을 차지하였다. 덱은 일단 환경의 탑 덱으로 예측되던 반트 컴퍼니를 잡기 위한 [[신성한 달빛]] 2장과 매스인 쇠퇴 4장, [[어둠의 손아귀]] 4장과 [[비통한 파괴]]같은 각종 저마나 디나이얼들과 드로우 수단인 [[뼈로 친 점]], 상대 핸드를 보고 3마나 이상의 카드를 제거하는 [[정신을 범하다]] 2장. [[게트의 배신자 칼리타스]]와 [[대천사 아바신]]. 그리고 드로우 디나이얼 용도의 플레인즈워커들인 [[다시 각성한 오브 닉실리스]]와 [[천벌을 내리는 자 소린]] 2,1장씩이 들어간 컨트롤 덱. [[젠디카르의 동맹 기디온]]도 사이드에 4장 들어가서 사이드 싸움으로 갈 경우 아예 플레인즈워커 컨트롤로 변신시키기도 하는 덱이었는데. 릴리아나는 4강과 결승전에서 모두 '''궁극기를 터트리며''' 좀비 떼들을 불러내서 3:0 완성을 만들어주었다. 특히 결승전의 테무르 출현 덱은 릴리아나가 3턴부터 안착해버리니 자신의 최종병기인 엠라쿨이나 엘드라지 섬광 문어가 떴는데도 불구하고 릴리아나를 제거 못해서결국 엠블렘까지 허용하고서 넘쳐나는 좀비들에게 패배한게 인상적. --원작재현--[* 물론 엠라쿨이 직접 달리면 막기 힘들지만 덱에 한 장 들어간 Blighted Fen라는 대지로 희생시켜서 운좋게 피해없이 잡았다.] 이렇게 우승하며 바로 카킹가 55불에 등극하였다. == 기타 == 릴리아나의 리즈시절이라 할 수 있는 베일릴리보다는 약하다는 평이 많아서인지 "릴리아나의 본체는 사실 [[사슬 베일]]이다." "이게 마지막 희망이라니 관문수호대는 뭐하냐" 라며 비꼬는 글이 많다(...) 스킬 구조가 [[해방된 정신술사 제이스]]와 비슷하단 점도 까임에 한몫 하는 중[* +가 적생물약화, -가 무덤활용인점과 +한번하면 -를 2번 쓸수 있다는 점, 거기에 +능력 3번쓰면 궁극기 발동이 가능하단 점까지 비슷하다]. 반면에 의외로 상당히 활약 할 것으로 기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결국 릴리즈 첫 주의 [[http://www.mtggoldfish.com/articles/eldritch-moon-week-1-what-we-learned|MTG Goldfish 칼럼]]에서는 이번 릴리아나를 '''섬뜩한 달 카드중 가장 과소평가 받은 카드'''라고 평가하였다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플레인즈워커]]